• 제목/요약/키워드: Perceived Belongingness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9초

인지된 기기 연결성이 사물인터넷(IoT) 가전 기반 서비스의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연구 (Perceived Connectivity, Perceived Belongingness and Intention to Use IoT Appliance Based Service)

  • 진윤선;권오병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97-113
    • /
    • 2019
  • With the development of sensor, communication and intelligent software technology, expectation of IoT-based service which can receive desired service automatically and anytime, anywhere is getting higher. In addition, IoT-based services have begun to anticipate the development of a hyper-connected society. Despite these expectations and anticipations, few studies have empirically identified ways to improve the intentions of prospective customers to use IoT-based servic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theoretical model that can explain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intention of using IoT-based services.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s what factors affect the intention to use IoT-based services focusing on the connectedness. Especially, perceived connectivity with the (virtual) community, unlike the connectivity with the machines, is newly proposed, to understand the IoT technology adoption behavior. The empirical results suggest that social relationship is one of the critical factors to affect the use of services running on interconnected technology such as IoT. When IoT-based service is recognized as a link to other communities, it has been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ntention to use via perceived belongingness.

정신건강의학과 입원 환자의 좌절된 소속감, 인식된 짐스러움 및 자살사고와의 관계: 우울의 매개효과 (Relationship among Failed Belongingness, Perceived Burdensomeness, and Suicidal Ideation of Psychiatric Inpatients: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 강희양;장은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2호
    • /
    • pp.461-469
    • /
    • 2018
  • 본 연구는 정신건강의학과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자살사고에 미치는 대인관계의 영향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대상은 정신건강의학과에 입원한 환자 109명으로, 대인관계는 인식된 짐스러움과 좌절된 소속감으로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 대인관계 척도의 하위요인 중 인식된 짐스러움은 자살사고와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고, 우울을 매개로 하여 자살사고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반면 대인관계 척도의 하위 요인 중 좌절된 소속감은 우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었으나 자살사고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와 관련하여 정신건강의학과 입원 환자의 자살사고 개입을 할 때 대인관계와 관련된 변인을 다룰 수 있는 자살개입 방법이 효과적일 것에 대해 논의하였다.

공유 모빌리티 서비스의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Intention to Use Mobility Sharing Service)

  • 김용석;피채희;최정일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73-87
    • /
    • 2021
  • The COVID-19 pandemic has brought about many changes in our daily lives and in industries as a whole. The most notable change was the spread of the untact culture to minimize face-to-face contact. The spread of the untact culture has changed the use of public transportation. Looking at the results of previous SARS and MERS studies, it was found that as the pandemic spreads, the use of public transportation decreased. Recently, the mobility sharing service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personalized means of transportation instead of public transport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the mobility sharing service were to be identified by the actual users. In this study, economic benefit, convenience, sustainability, and sense of belonging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based on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pleasure of these factors of use on intention to use was empirically analyzed through PLS-SEM.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economic benefits, convenience, sustainability, and sense of belonging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tention to use through perceived usefulness and enjoyment.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was verified through the study that economic benefits, convenience, sustainability, and a sense of belongingness were significant variable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through usefulness and pleasure.

한국 기혼여성의 일상적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 (II) 한국 기혼여성의 삶의 질 실태 및 영향 요인 (A Study for the Enhancement of Korean Married Women's Quality of Life: The level of the Quality of Life and It's Influential Factors)

  • 김정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6권12호
    • /
    • pp.87-104
    • /
    • 1998
  • This study explores the life quality(LQ) of Korean married women compared to Korean married men's LQ, examines personal factors' and home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es to Korean married women's LQ via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social belongingness, positive emotion, self-esteem, and sense of intemal control in causal model, and explores Korean married women's perceived important factors and perceived enhancement required factors in life. Th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941 Korean married women and their husbands who have one or more children in Pusan. The results indicated that: 1. The overal and most sub dimensional LQ of Korean married women mark medium level and were lower than that of Korean married men's. Korean married women who is highly educated, keeps efficient communication with their husband, self-esteem, sense of internal control, social belongingness, and positive emotion, and possess high SES and much available resources shows higher LQ than those who doesn't. 2. The efficient communication with husband and available resources hav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on Korean married women's LQ. The psychological mediatory factors of these two variables' influences on women's LQ are such as social belongingness, positive emotion, self-esteem and sense of intemal control. SES has direct influence only and the educational level has indirect influence via social belongingness only on Korean married women's LQ. All these factors explain 58% of Korean married women's LQ variance. 3. Korean married women rank family health, family reconciliation, husband's success, and children's achievement as the very important factors in life. They also rank husbands success, economic abundant, family reconciliation, family health, and their self-actualization as the very required factors for enhancing the given LQ.

  • PDF

자살의 대인관계 이론에서 회복력 요인의 조절효과 검증; 대학생을 대상으로 (Moderation Effect of Resilience Factor in Interpersonal Theory of Suicide; in University Students)

  • 조윤정;육성필;김은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6호
    • /
    • pp.223-23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자살의 대인관계이론에서 위험요인인 좌절된 소속감, 인식된 부담감과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잠재적 회복력 요인인 희망과 자기용서의 역할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기간은 8개월이었으며,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권의 대학생 316명이다. 연구방법은 인식된 짐스러움, 좌절된 소속감과 자살생각 그리고, 조절변수인 자기용서와 희망 간에 관계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모두 유의미하였다. 인식된 짐스러움과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자기용서가 조절효과가 있는지, 좌절된 소속감과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희망이 조절효과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자기용서와 희망 모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대학생들을 위한 자살예방교육과 자살을 생각하는 대학생을 위한 상담을 실시함에 있어서 자살의 회복력 요인인 희망과 자기용서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추후 더 많은 회복력 요인을 탐색하는 연구를 지속하여 자살의 위험요인과 함께 다양한 회복력 요인을 포함한 자살위험성평가, 자살예방교육, 자살위기상담, 그리고 최종적으로 우리나라 자살예방정책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인식된 짐스러움이 노인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삶의 의미와 사회참여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Perceived Burdensomeness on Suicidal Ideation of Older Adults: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Meaning in Life and Social Participation)

  • 홍주안;권호인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4권3호
    • /
    • pp.411-42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인식된 짐스러움과 좌절된 소속감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삶의 의미가 매개하는지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이 과정에서 노인 자살의 보호 요인으로 알려진 사회참여가 조절효과를 갖는지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호남지역에 거주 중인 남녀 노인 403명으로, 이들을 대상으로 자살사고, 인식된 짐스러움과 좌절된 소속감, 삶의 의미(의미 발견/의미 추구), 사회참여에 대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PROCESS Macro를 사용한 매개분석 결과 인식된 짐스러움이 삶의 의미 발견을 약화시킴으로써 자살사고를 강화하는 경로임을 확인하였다. 반면 좌절된 소속감은 자살사고로 가는 직접 경로만이 유의했다. 사회참여를 포함한 조절된 매개분석 결과 인식된 짐스러움이 삶의 의미 발견 약화를 통해 자살사고로 이어지는 경로를 사회참여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의 함의, 제한점 및 추후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개인정보 소유감을 형성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tial Factor of the Formation of Psychological Ownership on Personal Information)

  • 박민정;채상미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0권3호
    • /
    • pp.33-49
    • /
    • 2018
  • 오늘날 빈번하게 발생하는 각종 개인정보침해 사고의 증가는 사용자에게 자신의 의지를 바탕으로 개인정보를 통제 및 관리하고자 하는 의지를 발생시킴에 따라, 개인정보에 대한 심리적 소유감을 형성하게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무형의 개인정보를 실제로 소유한 것과 같이 개인이 인지하는 상태를 '개인정보 소유감'으로 정의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개인정보 소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의 관계를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개인정보 소유감이 개인의 인지된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에 미치는 영향을 추가적으로 살펴보는 것에 주된 연구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거주하는 4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개인정보에 대한 책임감, 자기 동일성, 소속감이 각각 인지된 개인정보에 대한 소유감을 증가시키는 반면에 자기 효능감은 개인정보 소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개인이 인지하는 개인정보 소유감이 증가할수록 개인의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가 심화되었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무형의 개인정보를 유형의 자산과 같이 개인이 인지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힘에 따라, 개인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심리적 소유감과 관련된 연구의 확장에 기여한다. 나아가, 본 연구는 향후 기업에서 고객의 개인정보를 효과적으로 수집 및 활용하기 위해서는 고객이 인지하는 개인정보 소유감의 이해가 선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상황에서 소속감, 외로움이 자기노출 행동에 미치는 영향: 시스템 품질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Belongingness and Loneliness on Self-Disclosure in MIM: The Moderating Role of System Quality)

  • 정보희;김한구
    • 유통과학연구
    • /
    • 제14권9호
    • /
    • pp.85-94
    • /
    • 2016
  • Purpose - Recently, Mobile technologies and devices including smart phones and tablets have increased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ng with other people and sharing personal information without time and space restriction. In order to realize the market potential related to mobile technologies, a large number of internet services have been incorporated into mobile platforms. Especially, The number of MIM(Mobile Instant Messenger) users has been increasing dramatically and services using MIM platform also have diversified. In spite of drastic growth in markets related to MIM, there is little empirical research on MIM and users' behaviors. This study designe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belongingness, loneliness, self-disclosure intention, system quality, and self-disclosure behavior in context of MIM.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ree hypotheses were about the relationship among belongingness, loneliness and self-disclosure intention. The other two hypotheses were about the moderating effect of system quality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losure intention and self-disclosure behavior. The data was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earch data were obtained from 330 undergraduate students who were KakaoTalk users and total 314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Results -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belongingness and the lonelines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elf-disclosure intention in MIM. Second, the self-disclosure intention in MIM also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self-disclosure behavior. Lastly, there is a moderating effect of the system qua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disclosure intention and self-disclosure behavior in MIM. Specifically, the higher system quality level was perceived, the positive effect of the self-disclosure intention in MIM on the self-disclosure behavior was greater. Conclusions - Based 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can be drawn. First, the study extends the scope of research about SNS through focusing on MIM to be classified by closed type SNS and ident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behavioral intention and behaviors in MIM. Second, this study provides strategic guidelines to increase the efficiency for promotion activity. Limitations for the study also should be discussed.

중학생의 소속감 지향성이 심리적 적응 및 친구 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력 비교: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단기-종단적 분석 (The Effe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Belongingness Orientation on their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Friend Networks: A Short-term Longitudinal Social Network Analysis)

  • 이승진;고영건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8권2호
    • /
    • pp.175-195
    • /
    • 2021
  • 친밀한 친구 관계를 맺고 소속감을 느끼는 것은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발달 및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소속감 지향성은 소속감을 추구하는 동기로, 성장 지향성과 결핍감소 지향성으로 구분된다. 성장 지향성과 결핍감소 지향성은 심리적 적응 및 대인관계 특성에 서로 다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소속감 지향성이 심리적 적응과 친구 네트워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 중학교의 2학년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학기 초와 학기 말에 검사를 실시했다. 친구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수신 중심성 분석을 통해 측정했다. 다층 회귀모형을 사용한 분석 결과는 첫째, 학기 초의 외로움과 스트레스에 대한 성장 지향성의 효과는 학기 초 친구 네트워크 중심성을 분석 모형에 함께 투입해도 유의했으나, 결핍감소 지향성의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성장 지향성은 학기 말의 친구 네트워크 중심성을 유의하게 예측했다. 이러한 효과는 학기 초 친구 네트워크 중심성과 학기 말 심리적 적응 수준을 분석 모형에 함께 투입해도 유의했다. 셋째, 학기 말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학기 말의 친구 네트워크 중심성의 효과는 학기 초 및 학기 말의 심리적 적응을 모형에 함께 투입해도 유의했다. 본 연구는 단기-종단적 설계를 통해 소속감 지향성이 청소년의 학기 초와 학기 말의 심리적 적응과 친구 네트워크 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경험적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했다.

Effects of Organizational Use of KakaoTalk, a Mobile Instant Messaging (MIM) Service, on Employees' Attitudes toward Current Organization in Korea

  • Jaehee Cho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30권1호
    • /
    • pp.120-142
    • /
    • 2020
  • Present-day organizations have become largely dependent on mobile instant messaging services (MIMs) for various organizational purposes. Focusing on the increasing use of MIMs in today's organizations, this study aims to explain how different aspects of KakaoTalk, the most dominant MIM in Korea, influence employees' attitudes toward their current employers, and how these attitudes impact the employees' intentions to stay at their present workplaces. Overall, with the exception of one factor (satisfaction with KakaoTalk use), all other factors (perceived quality of information exchanged through KakaoTalk, belongingness through KakaoTalk, and KakaoTalk overload) significantly influenced employee's attractiveness toward their current employers. Specifically, while KakaoTalk overload's effect on perceived organizational attractiveness was negative, two other factor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it. Perceived organizational attractiveness also strongly influenced employees' intention to stay at their present workplaces.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expanding practical and theoretical understandings regarding the critical roles of MIMs in the efficient management of organizations in this hyperconnected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