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pper bacterial spot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19초

고추 더뎅이병 저항성 계통의 세포질웅성불임 관련 핵내유전자형 검정 (Testing Bacterial Spot Resistant Lines of Capsicum Pepper for Nuclear Genotype Interacting with Male Sterile Cytoplasm)

  • 김병수;황희숙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12-216
    • /
    • 1998
  • Capsicum pepper selections fro PI163192, PI241670, PI244670, PI271322, PI308787, PI322719, and PI369994 were confirmed to be non-hypersensitively resistant to race 3 of Xanthomonas campestris pv. vesicatoria. A resistant cultivar,‘SR’, was shown to be hypersensitive. Four Koran local cultivars, a cytoplasmic male sterile line (A-line) and its maintainer (B-line) were highly susceptible. The resistant selections and cultivars were crossed with a male sterile A-line (Smsms) and fertility of their F1 hybrids was examined by observing he pollen production, testing pollen germination, and quantifying the amount of pollen produced per anther to identify the genotype interacting with the male sterile cytoplasm. The seven resistant PI selections turned out to be restorers (N(S)MsMs) and‘SR’to be a maintainer (Nmsms).

  • PDF

Pathotypes of Bacterial Spot Pathogen Infecting Capsicum Peppers in Korea

  • Wai, Khin Pa Pa;Siddique, Muhammad Irfan;Mo, Hwang-Sung;Yoo, Hee Ju;Byeon, Si-Eun;Jegal, Yoonhyuk;Mekuriaw, Alebel A.;Kim, Byung-So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1권4호
    • /
    • pp.428-432
    • /
    • 2015
  • Sixty-seven isolates of bacterial spot pathogen (Xanthomonas spp.) collected from six provinces of Korea were tested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ir pathotypes and determination of their distribution throughout Korea in an effort to genetically manage the disease. Near isogenic lines of Early Calwonder (Capsicum annuum) pepper plants carrying $Bs_1$, $Bs_2$ and $Bs_3$, and PI235047 (C. pubescens) were used as differential hosts. Race P1 was found to be predominant, followed by race P7, and races P3 and P8 were also observed. This is the first report of races P7 and P8 in Korea. The races P7 and P8 were differentiated from the former races P1 and P3,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their ability to elicit hypersensitive reactions to PI235047.

외생 살리실산과 일산화질소 처리가 고추묘의 저온 내성 및 병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ogenous Application of Salicylic Acid or Nitric Oxide on Chilling Tolerance and Disease Resistant in Pepper Seedlings)

  • 박송이;김흥태;오명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29-336
    • /
    • 2014
  • 저온은 식물 생장을 저해하는 주된 요인이며 병원균에 대한 감수성을 증가시킨다. 그러므로 식물체에서 스트레스 내성을 증대시키는 것은 불리한 환경 조건에서 살아남기 위한 중요한 전략이다. 본 실험의 목적은 고추 묘에서 저온 내성과 식물병 발생에 대한 외생 살리실산(SA)과 일산화질소(NO) 처리의 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정식 후 23일 동안 고추 묘(Capsicum annuum L. '기대만발')는 온도 $20/25^{\circ}C$(낮/밤), 광주기 15시간, 광도 $145{\pm}5{\mu}mol{\cdot}m^{-2}{\cdot}s^{-1}$의 정상적인 생육환경에서 자랐다. 1주일에 2번 계면활성제 0.1%를 포함한 SA와 NO 3mL을 고추 묘에 각각 분사해주었다. 처리 후 고추 묘는 암 상태에서 6시간 동안 $4^{\circ}C$ 저온에 노출시킨 후 정상적인 생육환경에서 2일 동안 회복시켜주었다. 저온 스트레스에 대한 식물 내성을 평가하기 위해 저온 처리 후 생육특성, 엽록소 형광 값, 세포막 투과성을 측정하였다. 총 페놀릭 농도와 항산화도는 실험하는 동안 측정하였다. 또한, 고추의 점무늬병과 풋마름병 발생 정도도 조사하였다. 저온 처리 전 후를 비교하여 대조구 고추묘에서는 저온에 의해 상대적으로 많은 수분을 손실하여 건물율이 높지만 SA와 NO 처리 된 고추 묘는 비슷한 건물율을 유지하였다. 저온 처리 후 대조구에 비해 SA와 NO 처리구의 전해질 유출 값은 더 낮았다. 저온 처리 동안 SA와 NO 처리구의 엽록소 형광값은 약 0.8 수준으로 유지하였지만 대조구는 빠르게 감소하였다. 화학적 처리 동안 SA 처리구의 총 페놀릭 농도와 항산화도는 NO 처리구보다 높았다. 또한 저온 처리 후 대조구와 NO 처리구의 총 페놀릭 농도는 증가하였다. 고추에서 풋마름병에 대한 저항성은 SA가 보다 효과적이었다. 본 실험의 결과는 SA와 NO의 외생처리는 고추 묘의 저온 내성을 증대시켰고 병 발생 정도를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이었음을 보여준다.

Development of Fluidigm SNP Type Genotyping Assays for Marker-assisted Breeding of Chili Pepper (Capsicum annuum L.)

  • Kim, Haein;Yoon, Jae Bok;Lee, Jundae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5권4호
    • /
    • pp.465-479
    • /
    • 2017
  • Chili pepper (Capsicum annuum L.) is an economically important horticultural crop in Korea; however, various diseases, including Phytophthora root rot, anthracnose, powdery mildew, Cucumber mosaic virus (CMV), Pepper mild mottle virus (PMMoV), and Pepper mottle virus (PepMoV), severely affect their productivity and quality. Therefore, pepper varieties with resistance to multiple diseases are highly desired. In this study, we developed 20 SNP type assays for three pepper populations using Fluidigm nanofluidic dynamic arrays. A total of 4,608 data points can be produced with a 192.24 dynamic array consisting of 192 samples and 24 SNP markers. The assays were converted from previously developed sequence-tagged-site (STS) markers and included markers for resistance to Phytophthora root rot (M3-2 and M3-3), anthracnose (CcR9, CA09g12180, CA09g19170, CA12g17210, and CA12g19240), powdery mildew (Ltr4.1-40344, Ltr4.2-56301, and Ltr4.2-585119), bacterial spot (Bs2), CMV (Cmr1-2), PMMoV (L4), and PepMoV (pvr1 and pvr2-123457), as well as for capsaicinoids content (qcap3.1-40134, qcap6.1-299931, qcap6.1-589160, qdhc2.1-1335057, and qdhc2.2-43829). In addition, 11 assays were validated through a comparison with the corresponding data of the STS markers. Furthermore, we successfully applied the assays to commercial $F_1$ cultivars and to our breeding lines. These 20 SNP type assays will be very useful for developing new superior pepper varieties with resistance to multiple diseases and a higher content of capsaicinoids for increased pungency.

CO2 농도 상승 효과에 의한 고추 세균점무늬병 발병 양상 분석 (Analysis of Bacterial Spot Disease in Red Pepper Caused by Increase of CO2 Concentration)

  • 장종옥;김병혁;문두경;고상욱;좌재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77-84
    • /
    • 2018
  • $CO_2$의 상승은 식물 병원성 미생물의 발병력과 기주 식물의 저항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기주와 병원체의 상호 작용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CO_2$ 상승 환경에서 기주와 병원체간의 상호 작용을 연구하기 위하여 고추(Capsicum annuum)와 세균점무늬병을 유발하는 X. euvesicatoria를 이용하였다. 고추 식물체의 병저항성 관련 유전자인 CaLRR1, CaWRKY1, CaPIK1 그리고 CaPR10 유전자를 quantitative RT-PCR로 분석한 결과 800 ppm에서 CaLRR1, CaPIK1 그리고 PR10 유전자의 발현이 감소하였으며, negative regulator인 CaWRKY1 유전자는 발현이 증가하였다. 400 ppm과 800 ppm의 $CO_2$ 농도에서 이병엽률과 발병도를 확인 한 결과 800 ppm에서 발병도가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들 결과는 미래의 $CO_2$ 농도가 증가 된 환경에서 고추와 고추의 주요 피해 병원균인 X. euvesicatoria에 의한 고추 세균점무늬병의 발병 양상을 이해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 Three-Year Field Validation Study to Improve the Integrated Pest Management of Hot Pepper

  • Kim, Ji-Hoon;Yun, Sung-Chu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9권3호
    • /
    • pp.294-304
    • /
    • 2013
  • To improve the integrated pest management (IPM) of hot pepper, field study was conducted in Hwasung from 2010 to 2012 and an IPM system was developed to help growers decide when to apply pesticides to control anthracnose, tobacco budworm, Phytophthora blight, bacterial wilt, and bacterial leaf spot. The three field treatments consisted of IPM sprays following the forecast model advisory, a periodic spray at 7-to-10-day intervals, and no spray (control). The number of annual pesticide applications for the IPM treatment ranged from six to eight, whereas the plots subjected to the periodic treatment received pesticide 11 or 12 times annually for three years. Compared to the former strategy, our improved IPM strategy features more intense pest management, with frequent spraying for anthracnose and mixed spraying for tobacco budworm or Phytophthora blight. The incidences for no pesticide control in 2010, 2011, and 2012 were 91, 97.6, and 41.4%, respectively. Conversely, the incidences for the IPM treatment for those years were 7.6, 62.6, and 2%, and the yields from IPM-treated plots were 48.6 kg, 12.1 kg, and 48.8 kg. The incidence and yield in the IPM-treated plots were almost the same as those of the periodic treatment except in 2011, in which no unnecessary sprays were given, meaning that the IPM control was quite successful. From reviewing eight years of field work, sophisticated forecasts that optimize pesticide spray timing reveal that reliance on pesticides can be reduced without compromising yield. Eco-friendly strategies can be implemented in the pest management of hot pepper.

고추 세균점무늬병에 대한 Bion-M의 방제 효과 (Controlling activity of Bion-M against bacterial spot caused by Xanthomonas euvesicatoria)

  • 김아형;연초롱;김주형;김흥태
    • 농약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71-177
    • /
    • 2012
  • 온실에서 6엽기까지 재배한 고추 유묘(품종: 왕대박)에 병원균을 접종하기 7일 전에 Bion-M을 농도별로 토양 관주 처리한 후에, 세균점무늬병균인 Xanthomonas euvesicatoria 1523의 현탁액을 고추 잎 뒷면에 분무접종하였다. 이 때 세균 현탁액의 흡광도는 0.5로 조절하였다. 무처리구에서는 75%의 발병도를 보였으며, Bion-M을 20 ${\mu}g\;mL^{-1}$의 농도로 관주처리한 처리구에서는 19%의 발병도를 보여 74.7%의 효과를 보였다. Bion-M의 처리 농도가 4.0과 0.8 ${\mu}g\;mL^{-1}$일 경우에는 49.3과 29.3%의 방제 효과를 보였다. Bion-M을 20 ${\mu}g\;mL^{-1}$로 관주처리하였을 때에는 병원균의 접종농도와 관계없이 병이 발생하지 않았지만, 고추 유묘의 잎 색이 황화되며 하위엽은 탈락하는 약해 증상이 관찰되었다. Bion-M을 4.0 ${\mu}g\;mL^{-1}$로 처리하였을 때, 낮은 병원균 접종구에서는 97.8%, 높은 농도 접종구에서는 86.0%의 우수한 효과를 얻었다. 하지만 4.0 ${\mu}g\;mL^{-1}$의 처리구에서도 유묘의 생육이 저해되는 약해증상이 관찰되었다. 고추 성체에 병원균을 접종하기 2일 전과 7일 전에 Bion-M을 관주처리한 경우, 2일 전보다 7일전 처리에서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2011년 충북 청주시 포장에서 Bion-M의 방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Bion-M을 7일 간격으로 3회 경엽 및 토양관주 처리하고 병발생 정도를 발병엽율로 조사하였을 때, Bion-M의 경엽과 토양관주처리 효과는 각각 24.0%와 58.4%이었지만, 발병도를 조사하였을 경우에는 58.8%와 71.2%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Bion-M을 토양에 관주처리하였을 경우, 고추 세균점무늬병에 대한 방제 효과가 인정되었다.

고추 국내외 수집 유전자원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Domestic and Foreign Collections of Pepper Germplasm)

  • 김병수;이우승;황재문;김점순;황희숙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6권
    • /
    • pp.64-74
    • /
    • 1998
  • 국내외로부터 수집한 고추 유전자원을 포장에 재배하여 종자를 증식하는 동시에 주요 특성을 조사하였다. 헝가리에서 도입하여 1992년도에 평가한 계통들은 Hungarian Wax 혹은 Bell형으로서 바이러스에 심하게 걸려 우리 포장환경에 잘 적응하지 못하였다. 1994년도에 평가한 계통들 중 브라질에서 풋마름병 저항성으로 도입한 KC350과 KC351은 직립성이며 바이러스에 강한 편이어서 매우 유망한 유전자원으로 사료되었다. 중국에서 도입한 KC376는 바이러스에 강한 편이며 대과를 착생하여 유망하게 보였다. 태국에서 도입된 계통들은 안동대에서 특성을 평가기록하였다.

  • PDF

지리적 기원이 다른 고추 더뎅이병균 균주 Genomic DNA의 RFLP 분석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s of Genomic DNA in Strains of Xanthomonas campestris pv. vesicatoria)

  • 정희정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62-168
    • /
    • 1996
  • 우리 나라의 주요 고추 재배지와 미국, 대만, 호주, 아르헨티나에서 수집된 44 개 고추 더뎅이병균(Xanthomonas campestris pv. vesicatoria)균주간의 유전적변이를 genomic DNA의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RFLP)에 의해 분석하였다. Genomic DNA RFLP profiles을 cluster 분석하여 얻은 dendrogram에서 지리적 기원이 다른 44개 균주들은 11개 RFLP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외국 균주들은 genomic DNA의 RFLP 분석에 의해 모두 각각 다른 RFLP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외국 균주들 중에서 미국 균주는 우리 나라 일부 균주들과 밀접한 유전적 관련성을 가지고 함께 cluster를 이루었는데, 이것은 이 균주들이 동일한 고추 더뎅이병균의 조상 균주 집단에서 유래했으리라는 것을 시사해 준다. 우리 나라 균주들은 6개의 RFLP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대부분의 우리 나라 균주들은 가까운 cluster를 이루며 미국 균주를 제외한 외국 균주들과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그러나 우리 나라 균주들 중에서 마산에서 수집된 Ms93-1은 다른 우리 나라 균주들과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유전적으로 격리된 균주의 출현은 우리 나라에서 지리적 기원이 다른 고추 더뎅이병균 균주 사이에 이미 발생한 다양한 유전적 분화의 결과라고 추론된다.

  • PDF

세균성 시들음병에 대한 식물성 유산균(Lactobacillus sp.)의 저해효과 (Antagonistic Effect of Lactobacillus sp. Strain KLF01 Against Plant Pathogenic Bacteria Ralstonia solanacearum)

  • 아누파마슈레스타;최규업;임춘근;허장현;조세열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5-53
    • /
    • 2009
  • KLF01으로 명명된 세균이 토마토의 뿌리에서 분리 되었고 생화학적, 유전학적 검증을 통해 Lactobacillus sp.로 동종 되었다. In vitro 실험에서 식물성 세균인 Ralstonia solanacearum를 비롯하여, Xanthomonas axonopodis pv. citri, Xanthomonas campestris pv. vesicatoria, Eriwinia pyrifoliae, Eri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 group에게도 저해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고추와 토마토를 이용한 in vivo 실험에서는 특히 R. solanacearum에 대해 대조구와 비교 시들음병의 진행을 저해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