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er Counseling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22초

또래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eer Counseling Program on Classmate Relationships of Children)

  • 오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700-708
    • /
    • 2016
  • 본 연구는 또래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교우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북 K시에 위치한 A초등학교 4학년 아동으로 안내문을 통해 프로그램 참여의사를 밝힌 아동 26명(남 14명, 여12)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아동 28명(남15명, 여 13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동질한 집단임을 확인하였다. 2014년 4월부터 2014년 6월까지 실험집단에게 또래상담(주 1회, 60분, 총 10회기)을 실시하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과 사후에 교우관계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18.0을 활용하여 집단 내 사전과 사후를 비교하고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또래상담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교우관계는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하지만 통제집단의 사전과 사후 비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또래상담이 아동의 교우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청소년기 또래관계의 형성을 통한 학교폭력상담의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School Violence Counseling through the Formation of Peer Relationships in Adolescence)

  • 전승혜
    • 산업진흥연구
    • /
    • 제5권4호
    • /
    • pp.55-61
    • /
    • 2020
  • 본 연구는 학교폭력을 해결하기 위한 학교폭력상담을 실시하는 데 있어서, 올바른 또래관계의 형성을 통해 학교폭력을 해결하기 위한 학교폭력상담의 활용 방안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학교폭력상담에서 또래관계는 학교폭력을 예방하는 데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폭력상담은 우선적으로 피해자를 보호하고 치유해야 한다. 학교폭력상담의 1차적인 목표는 피해자에 대한 배려에서 시작되어 피해자의 올바른 또래관계 형성이 계속되는 데 두어야 한다. 그만큼 또래관계는 중요하다. 둘째, 학교폭력상담 피해자뿐만 아니라, 가해자도 내담자 대상에 포함되어야 한다. 즉, 상담개입 시에 통상적으로 피해자에게만 집중되는 일이 많을 수 있다. 따라서 학교폭력 후에도 또래관계는 계속 지속될 수 있으므로 피해자뿐만 아니라, 가해자에 대해서도 맞춤형 상담이 필요하다. 셋째, 학교폭력상담은 또래관계의 회복과 삶에 대한 통찰이 중요하다. 따라서 징계나 훈계 위주의 통제적 관점이 아닌, 자기성찰을 통한 반성과 당사자들 간의 관계회복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넷째, 학교폭력에서 또래관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또래상담 프로그램'을 활성화해야 한다. 따라서, 학교폭력상담자는 그 역할에 있어서, 정서적 조력자, 문제해결자, 공감배려 문화촉진자로서의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현장 요구를 반영하여 프로그램을 최적화시켜야 한다. 결론적으로 학교폭력상담은 기본적으로 또래관계에서 개입되어야 한다. 학교폭력상담은 학교폭력을 근절하기 위해 올바른 또래관계의 형성에 초점을 맞추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여야 한다.

해결중심적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교우관계 및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Solution Focused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Peer Relation and School Life Adap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 홍성미
    • 초등상담연구
    • /
    • 제7권1호
    • /
    • pp.67-90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lution focused group counseling program on peer relationship and school life adap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e 4th graders at S Elementary School in Ansan, Gyeonggi-do. 20 students were selected through the preliminary test of peer relationship and school life adaption, that is to say, each 10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 solution focused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provided by researcher to the experimental group in six sessions once or twice a week, 60 minutes each. but control group was not conducted for any program. In verifying of the program effects in this study, KOREAN SPSS/WIN(version 12.0) i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lution focused group counseling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all parts of sub-factors of peer relationship except to union life between friends. Second, solution focused group counseling program has a effect on the school life adaption of elementary and its all parts of sub-factors except to school rules. As noted above, it is proved that solution focused group counseling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to improve parts of sub-factors of peer relationship and school life adaption.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feel satisfaction and Qualitative improvement in peer relationship and help school life adapta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rough solution focused group counseling program.

  • PDF

또래상담 프로그램이 인문계 고등학생의 의사소통기술과 사회적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eer Counseling Program on the Communication Skills and Social Efficacy in High School Students)

  • 변상해;김세봉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466-476
    • /
    • 2011
  • 본 연구는 또래상담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의사소통과 사회적 효능감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도 A시에 소재한 C고등학교 1학년 학생 중 연구에 참가를 희망하는 16명을 모집하여 실험집단 8명, 통제집단 8명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사전 검사 검정과 사후 검사 검증, 그리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집단내 사전-사후 검증에 대해서는 비모수적 통계인 Mann-Whitney U test와 Wilcoxon Signed Ranks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상담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의사소통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또래상담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사회적 효능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또래상담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의사소통과 사회적 효능감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또래상담 프로그램은 고등학생들에게 유익한 프로그램이라 여겨지며 학교에서 적극적으로 이 프로그램이 활용되어야 한다고 본다.

인간중심 상담과 여성장애인 동료상담의 적용가능성 연구 (Research on Possible Application of Person-centered Counseling and Handicapped Women Peer Counseling)

  • 주은선;이성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22-35
    • /
    • 2019
  • 본 연구는 장애인 자립 생활센터의 장애인 동료 상담과 인간중심 상담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동료 상담 업무를 맡은 13명의 동료상담가를 대상으로 9회기의 인간중심 상담을 진행한 후, 심층 면접을 하여 자료를 수집했다. 수집된 자료는 합의적 질적 분석 방법(CQR)을 사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1) 있는 그대로의 수용, (2) 상담자의 변인, (3) 한계점 및 아쉬운 점으로 3개의 영역이 도출되었고, 각 영역 가운데 (1)은 자신과의 관계, 타인과의 관계의 2개 범주, (2)는 불편함을 감수하면서 자신을 수용하게 됨, 문제를 바라보는 태도의 변화, 자신이 인식하지 못했던 부분과 바람을 알아차리고 수용함, 자신의 있는 그대로의 한계와 잠재력을 인식함의 4개 범주, (3)은 현재 삶을 돌아보는 계기, 앞으로의 삶에 대한 태도를 정함으로 2개의 범주로 정리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대해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의의를 제시하였다.

장애인부모 동료상담사의 현장상담 활동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Parents Peer Counselor's for the Disabled Experiences in Field Counseling)

  • 최하나;정종화;김은재
    • 재활복지
    • /
    • 제22권2호
    • /
    • pp.127-15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상담현장의 장애인부모동료상담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및 시스템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장애인부모 동료상담사들의 현장상담경험을 Yin (2009)의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장애인부모 동료상담사 10명을 대상으로 FGI와 개별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했다. 연구결과, 총 87개의 압축개념, 17개의 핵심범주를 도출하였는데 장애인부모동료상담 참여 동기 및 상담효과는 "동병상련의 마음으로 두드림", "조명 받지 못하던 존재에서 희망을 주는 존재로의 전환", "장애인부모들이 만드는 또 다른 사회보험이자 사회안전망" 등으로 나타났다. 장애인부모동료상담활성화 장애요인은 "상담현장의 입지확보 및 위상정립의 문제", "홍보부족으로 인지도가 낮아 내담자 발굴이 어려움" 등으로 나타났으며, 장애인부모동료상담 활성화를 위한 전략은 "현장의 입지확보와 전문가로써의 위상 재정립", "정부의 정책적인 보완과 지원이 필요함", "정규직 전환으로 일자리 창출을 기대함"이 제시되었다.

온·오프라인 동료상담훈련 참여 경험이 신입생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How the Peer Counseling Program in on-offline helps to improve university student's Self-esteem and Self-efficacy)

  • 조혜영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965-97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온 오프라인 동료상담훈련이 사회복지전공 신입생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프로그램 참가모집 홍보를 보고 참여한 대상자 중에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 대상자들은 10주간 주1회 120분간은 대학생 동료상담훈련을 받았고, 다음날 주1회 60분간은 온라인 상담실습을 병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t검증과,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하는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신입생의 자아존중감(F=13.258, p<.01)과 자기효능감(F=15.565, p<.01)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 온 오프라인 동료상담훈련이 사회복지전공 신입생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훈련으로 사료된다.

근거이론에 의한 장애분야 동료상담사들의 성장과 발전에 관한 질적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Peer Counselors in the Field of Disability based on Grounded Theory)

  • 박종환;박희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516-534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분야 동료상담사들의 성장과 발전 과정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장애인 동료상담사와 장애인부모 동료상담사 19명의 현장경험을 근거이론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장애분야 동료상담사들은 '갑작스러운 장애 발생으로 고군분투함', '장애를 수용하며 새 삶을 꾸려나감', '장애에 대한 생각을 고침', '우연히 동료상담사 양성교육에 참여함'의 인과적 조건에 따라 '동료상담사 역할 수행'과 '역할 수행의 원동력'의 중심현상을 경험하였고, 이 현상은 '상담교육을 통한 변화 경험'과 '동료상담의 필요성 인식'의 맥락적 조건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담이 어렵게 느껴짐', '역량부족에 따른 자의식', '미흡한 동료상담의 현주소'의 중재적 조건에 따라 '내적 역량강화'와 '외적 활동 도모'의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활용하였고, 그 결과는 '동료상담사로서의 변화와 성장', '동료상담직 외 활동 영역 확대', '동료상담의 발전 과제 제시'로 나타났다. 둘째, 이들의 성장과 발전 과정은 '장애를 넘어 상담교육 입문의 단계', '변화를 거친 성장의 단계', '역량강화를 통한 진로 모색의 단계', '역할 도전이 이룬 입신의 단계'의 4단계로 확인되었다. 셋째, 이러한 과정의 핵심 범주는 '동료상담사로서의 성장과 발전은 역량강화에 근거한다'였다. 이 연구결과는 보수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행기관의 실무 매뉴얼 마련, 인적자원 활용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성별에 따라 아동이 지각한 부와 모의 양육태도와 우울의 관계에서 또래 유능성의 조절 효과 (Moderating Effects of Peer Compet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erception of Parenting Attitudes and Depression by Gender)

  • 서유진;김사라형선
    • 아동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65-73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peer competence between children's perception of parenting attitudes and depression among $5^{th}$ grade elementary students. The differences are examined based by gender. Methods: 'The Children's Perception of the Parenting Attitudes Inventory',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and 'Peer Competence Inventory' were used to collect data from 200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Seoul, Korea. The research hypothesis were analyzed using t-test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standard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via SPSS 21.0.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nly peer competence showed a difference between the boys and girls, where the boys scored higher than the girl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ll the factors.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peer competence on the father's parenting attitude was supported only in the boys. Conclusion: The results denote the need of a gendered approach to understanding problems and developing counseling programs to address depression among children. They also demonstrate that high peer competence can be used to treat depression in boys dissatisfied with their father' parenting attitude.

에이즈 예방 청소년 동료지도자 프로그램 평가 연구 (Effects of Peer Education Program for Prevention of AIDS for Middle School Students)

  • 손애리;권동석;최찬호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81-299
    • /
    • 2003
  • Even though the rate of infection of HIV is very low compared to other countries, data show a steady rise in HIV infection rates among young people in South Korea. A peer education program was provided to prevent the incidence of AIDS in young people. The program used peer leaders to provide AIDS related information and counseling for middle school students. Peer leaders received special training in AIDS related education and counseling to assist their friends. Peer leaders worked with their mends in one-to-one or small group settings. A pretest-posttest control design (six months after intervention) was us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peer education program for prevention of AIDS. A post-intervention survey found that do you mean six months after the program or after six months of programs of peer program activities, the experimental groups(groups with peer educators) showed better knowledge, more positive attitudes, and less sexual activity when compared to control groups of non-participants(groups without peer educators). Peer leaders showed significant gains in knowledge about HIV transmission, more positive attitudes and self-efficacy not to engage in high-risk behaviors. Peer education was an effective tool for increasing knowledge, improving attitudes and self-efficacy, and encouraging appropriate behavior 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