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신명수(2020). "청소년이 지각한 모의 양육태도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학교생활만족과 또래관계기술의 매개효과". 선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 |
이원영(2020). "또래상담활동이 학교폭력예방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3 |
권남희 외(2020). 청소년심리 및 상담. 서울: 학지사.
|
4 |
최윤선(2019). "가족기능과 자기분화, 자존감의 관계 에서 또래지지와 가족갈등의 조절된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5 |
전혜선(2019). "청소년의 여가태도와 적응유연성의 관계: 여가활동 및 또래관계의 매개효과".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6 |
김치건(2019). "감각추구, 가족유대, 학교유대, 또래 압력과 학교폭력가해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 인터넷 게임중독과 공격성의 다중매개효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7 |
장문희(2018). "청소년의 부적응도식, 또래 관계 스트레스, 우울 간의 종단적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8 |
정지혜(2018). "청소년의 공감과 또래괴롭힘 주변인 역할행동의 관계에서 또래관계의 질과 또래동조성의 순차적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9 |
노일하(2019). "청소년의 또래동조성 및 자기통제력과 집단따돌림과의 관계에서 갈등협상전략의 조절 효과".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10 |
Santrock, J. W. (1990). Adolescence (4th ed.). Dallas. TX: Wm. C. Brown Publishers.
|
11 |
박경애 외(2011). 청소년심리 및상담. 경기: 공동체.
|
12 |
Csikszentmihalyi, M., & Larson, R. (1984). Being adolescent. New York : Basic Books.
|
13 |
류수현(2018). "청소년의 부모애착 및 또래관계와 자아정체감의 관계에서 인터넷 몰입의 조절효과". 대구한의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14 |
Santor, D. A., Messervey, D., & Kusumakar, V. (2000). Measuring peer pressure, popularity, and conformity in adolescent boys and girls: Predicting school performance, sexual attitudes, and substance abus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9(2) : 163-182.
DOI
|
15 |
형영옥(2017). "초기청소년의 부모애착, 정서지능, 사회기술, 또래관계 간의 구조적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16 |
김영미(2015).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자기통제력을 매개변수로:. 신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17 |
박민하(2017).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자아정체성과 또래관계의 매개효과". 한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18 |
Olweus, D.(1993). Bullying at School: What We Know and What We Can Do. Cambridge. MA: Blackwell Publishers.
|
19 |
이인학 외(2017). 학교폭력 예방 및 학생의 이해. 경기: 공동체.
|
20 |
박영남 외(2015). "학교폭력의 실태분석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재난정보학회 11(1) : 9-22.
|
21 |
김규태 외(2019). 학교폭력 예방 및 학생의 이해. 경기: 양서원.
|
22 |
김종운(2016). 학교폭력의 예방과 대책. 서울: 학지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