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9.19.07.022

Research on Possible Application of Person-centered Counseling and Handicapped Women Peer Counseling  

Joo, Eun-Sun (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Lee, Sung-Mi (강남장애인자립생활센터)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pplica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Person - centered counseling program in the field of counseling service provided by the Independent Living Center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hirteen participants, operating peer counseling program at the Independent Living Center who finished 9 sessions of person - centered counseling program over 3 months were interview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The results were grouped into three themes as "Acceptance as oneself", "Counselor's variables", and "Limitations and unsatisfactory points". Eight categories such as "The relationship with myself and others", "Accepting oneself though with discomfort", "changed perspective about problems", "Recognizing the parts that oneself was not aware", "Accepting one's potentials as well as limitations", "Opportunity to reflect one's life", "Attitude about life ahead" were retrieved with 23 sub-categories. Based on the results, the possibility of applying person - centered approach on peer counseling was presented. Finally, several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person-centered approach for peer counseling were discussed.
Keywords
Person-centered Counseling; Peer-counseling for Disabled; Independent Living; Peer Counseling in Center for Independent Liv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임기현, 중증장애인의 동료상담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20-60, 2003.
2 이성미, 장애인 동료 상담의 공감기술에 관한 연구, 삼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1-10, 2013.
3 김순영, 여성장애인의 동료상담 교육이 자립 생활 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20-85, 2011.
4 민병윤, 여성장애인의 노후준비 실태분석 및 대책에 관한 연구: 지체 및 뇌병변여성장애인을 중심으로 =strategy:with special reference to disabled women due to cerebrovascular accident,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22-23, 2009.
5 차선자, "장애 여성의 차별과 인권보호-장애인복지법을 중심으로," 민사법연구, 제13권, 제2호, pp.133-166, 2005.
6 추병완, 도덕 발달과 도덕 교육, 서울:하우, pp.328-329, 2008.
7 주은선, 조영임, 김단비, 강유진, "우울증 경험과 회복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7, p.521, 2017.
8 김도현, "장애인 당사자주의의 비판적 이해를 위하여," 진보평론, 제52호, pp.172-190, pp.175-176, 2012.
9 주은선, "인간중심 상담의 교육 및 수련프로그램에 관한 국제적 동향," 人間理解, 제32권, 제2호, pp.1-22, p.1, 2011.
10 설기문, "학생발달을 위한 카운슬러의 인력훈련에 관한 일 고찰," 동아대학교 대학원 논문집 13권, pp.39-66, 1988.
11 이형득, 김정희, "Peer Group Counseling의 효과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제8권, pp.41-63, 1983.
12 Asaka yuho, Nogami Haruko & Murayama Miwa, "IL 실천을 위한 장애인 제공자의 역할과 기능-피어카운셀링의 기법을 중심으로-, 장애인 자립 생활 실천을 위한 과제와 전망," 삼육대학교 사회봉사단, pp.77-79, 2001.
13 김광은, 동료상담자 훈련에 관한 일 연구:사관생도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7-11, 1992.
14 강진구, "동료 집단상담자 훈련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제5권, 제1호, pp.183-208, 1997.
15 강순화, 집단 상담에서의 언어반응 유형과 관련변인과의 관계 및 효과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10-30, 1994.
16 윤재영, 박찬오, 박정현, "장애인 동료상담가 역할의 범주화=Role Categorization of Peer Couns-elors in Centers for Independent Living," 재활복지, 제17권, 제2호, pp.1-3, 2013.
17 류청한, 장애인 동료상담 구성요소와 상호작용 연구: 개념도 연구와 상호작용 질적분석의 통합적 적용, 성공회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15-26, 2018.
18 이원교, 박현, "7차 회의 자료," 한국장애인자립 생활센터협의회 동료상담위원회, 2008.
19 김은주, 인간중심 상담과 한국 사회-문화와의 상충점과 적용 및 과제연구 인간중심 상담을 사용하는 전문상담자의 보고를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10-16, 2017.
20 박민정, 인간중심 집단상담에 참여한 집단원의 경험에 관한 연구 : 일치성,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 공감적이해 경험을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6-12, 2014.
21 김계현, "상담전공 대학원생수 조사연구," 한국 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6권, 제1호, pp.142-165, 1994.
22 윤순임, "공감(empathy)의 정신분석적 이해," 원광아동상담센터 회보, pp.1-4, 1996.
23 박성희, 공감학 어제와 오늘, 학지사, p.18, 2004.
24 R. A. Krueger and M. A. Casey, Focus Groups(3rd edition), Thousand Oaks, CA, London and New Delhi: Sage Publications Ltd, 2000.
25 C. E. Hill, 주은선 옮김, 합의적 질적 연구, 서울:학지사, p.86, 2016.
26 Dave Mearns & Brian Thorne, 주은선 옮김, 인간중심 상담의 임상적 적용, 서울:학지사, pp.8-47, 2012.
27 C. R. Rogers, Client-centered therapy:Its current practice, implications, and theory, Boston: Houghton Mifflin, p.267, 1951.
28 C. E. Hill and K. M. O' Brien, 주은선 옮김, 상담의 기술, 학지사, pp.113-117, p.199, 2012.
29 윤혜성, 주은선, "인간-중심 상담 수련자들의 경험에 대한 연구-인간-중심 수련자들의 자기보고 중심으로-," 人間理解, 제31권, 제2호, pp.141-166 2010.
30 Hutch Haney & Jacqueline Leibsohn, 주은선 옮김, 집단상담의 15가지 기술, 시그마프레스, p.84, 2011.
31 정종화, "장애인 자립 생활의 이론과 실제," 삼육대학교 사회봉사단, p.2, 2004.
32 Carl R. Rogers, 주은선 옮김, 칼 로저스 상담의 원리와 실제-진정한 사람되기, 학지사, p.30, 2009.
33 Rogers, A way of Being, Houghton Mifflin company:Boston, 1980.
34 이현심, "장애인의 일상생활 어려움에 관한 합의적 질적(CQR)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2권, 제12호, pp.561-570, 2014.   DOI
35 라영안, 김원호, "장애인 고용 환경에서 장애개방을 이끄는 요인에 관한 질적 연구," 장애와 고용, 제25권, 제4호, pp.185-205, 2015.
36 문은희, 장애청소년 양육자의 양육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5, 2015.
37 김경애, 청각장애인을 위한 구직역량강화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67, 2017.
38 민소영, 중증장애인의 성인 비장애 형제자매가 인식한 장애수용 경험,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72-77,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