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arson%27s test

검색결과 438건 처리시간 0.028초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과 회복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and Recovery for a Mental Disorder)

  • 이정숙;이선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6호
    • /
    • pp.457-465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과 회복의 정도 및 관계를 파악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3년 5월 20일부터 5월 27일까지였고, 조사 대상은 정신장애인 310명 이었으며 연구도구는 삶의 질, 회복 척도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과 회복의 정도는 중간보다 낮았고, 회복(${\beta}=.66$, p<.001)과 월 평균 수입(${\beta}=.09$, p=.039)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회복의 수준을 높이고 더불어 삶의 질의 수준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법, 교수-학생 관계, 전공만족도가 생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tress Coping Type,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Major Satisfaction on Life Stress of Nursing Students)

  • 유승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0호
    • /
    • pp.297-305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의 영향 요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은 J시에 소재 일개 대학의 간호학생 146명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8년 5월27일부터 2018년 5월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20.0을 이용하여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과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는 교수-학생 관계, 전공 만족도 간에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교수-학생 관계였으며(β=-.34, p<.001), 29.5%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9.70, p<.001).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수와 학생과의 상호작용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사용되길 기대한다.

간호대학생의 메타인지,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의 융복합적 영향 (Study on Meta-cognition, Self-efficiency,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 진은영;이명인;김윤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4호
    • /
    • pp.317-326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메타인지와 자기효능감 및 임상수행능력의 정도를 파악하고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간호대학생 153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형 설문지를 통해 2015년 9월1일부터 9월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One-way ANOVA,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메타인지와 자기효능감이 임상수행능력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특성 중 전공만족과 임상실습만족을 포함시켰을 때는 임상수행능력의 7%를 설명하였다(F=2.76, p=.030). 메타인지를 추가적으로 투입하였을 때는 임상수행능력이 25%의 설명력을 나타내었으며 자기효능감을 추가적으로 투입하였을 때는 임상수행능력이 27%의 설명력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스스로의 문제해결능력이 강조되고 있는 간호현장의 상황을 고려할 때 임상수행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교육과정의 개발 및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의 활성화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정신전문병원 간호사의 감성지능, 의사소통능력, 스트레스 대처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tress coping on Turnover Intention in Psychiatric Nurses)

  • 강혜승;김윤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41-151
    • /
    • 2016
  • 본 연구는 정신전문병원 간호사의 감성지능, 의사소통능력, 스트레스 대처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정신전문병원에 근무중인 간호사 16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5년 02월 02일부터 02월 27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IBM SPSS 20.0 Program을 이용하여 독립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정신전문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는 감성지능(r=-.638, p<.001)과 스트레스 대처방식(r=-.649, p<.001), 의사소통능력(r=-.694, p<.001)으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정신전문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의 설명력은 총 54.5%였다. 따라서 정신전문병원 간호사의 스트레스 대처방안을 다양하게 모색하여 감성지능 향상,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는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Influence of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on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Students)

  • 윤미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105-112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G시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간호대학에 재학중인 간호대학생 192명으로 자료수집기간은 2021년 5월 20일부터 5월 27일까지였다. 자료는 SPSS 20.0 통계프로그램의 빈도분석, 평균과 표준편차, t-test와 One way ANOVA, Pearson's correation coeff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대상자의 생명의료윤리의식은 3.28±0.41, 간호전문직관은 3.32±0.85였다.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과 간호전문직관의 상관관계는 r=.55(p=.000)으로 나타났으며,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은 생명의료윤리의식 중 장기이식이 37%, 안락사가 16.5%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향상을 위한 교욱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와 SOC 대처전략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ccessful aging and SOC coping strategies on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 이도영;노기옥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27-34
    • /
    • 2021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와 SOC 전략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전국의 40~65세의 중년여성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PC 24.0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해 서술적 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년여성의 성공적인 노화, SOC 대체전략과 삶의 질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으로 성공적 노화(β=.41, p<.001), SCO 대처전략(β=.17, p=.047) 순으로 통계적 유의성이 확인되었다. 두 변수에 의한 설명력은 24.7%였다. 따라서 중년여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성공적 노화와 SCO 대처전략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자기효능감,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간호대학생의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lf-Efficacy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on Test Anxiety of Nursing Students)

  • 장인순;박승미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21-129
    • /
    • 2021
  • Purpose: This descriptive research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on test anxiety among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study recruited nursing students at K University located in S city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A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2 to November 4, 2020, using online web questionnaires. A total of 180 answers were analyzed. SPSS 22.0 was used to perform independent t-tests, one-way ANOVA, Scheffé post hoc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average test anxiety was 3.27 points out of 6 points. The general self-efficacy was 3.81 points out of 5 points; social self-efficacy was 3.58 points and socially imposed perfectionism was 2.79 points out of 5 points. Variables affecting test anxiety were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ex, academic stress, and general self-efficacy,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30.9%.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academic stress, general self-efficacy, and social imposition perfectionism were factors affecting test anxiety among nursing stu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provide a program to control the factors affecting test anxiety in nursing students to lower test anxiety.

개심수술 환자의 불안과 대처 정도와의 관계에 과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coping in open heart surgery patients.)

  • 김금순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67-73
    • /
    • 198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coping in open heart surgery patient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nursing intervention in stress-coping paradigm. Data were collected from Aug. 1st to Aug. 31st, 1988 through individual interview for about 30 minutes. Tools for this study were 'Spielberger's state anxiety scale and Billings & Moos' coping scale. The subjects were 29 male and 27 female patients who had open heart surgery at S.N.U.H.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 score, Percentage,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ANOVA test, and Cronbach's reliability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reliability of coping scale was 0.751 by Cronbach's reliability test. (2) Average coping score of those patients was 2,53 (maximum score:4) and they used equally problem focused coping and emotion focused coping. (3)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religion in stress·coping(F=2,495, P<0.05) (4) The high anxieties were, the more coping were, and there wa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in stress-coping (r=-0.2807, P<0.05)

  • PDF

부부의 언어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 : 공유시간, 서비스, 인정, 선물, 신체접촉 (Scale Development for Measuring of the Couple's Languages : Quality time, Acts of Service, Words of Affirmation, Receiving Gifts, and Physical Touch)

  • 한경미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11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e the scale for measuring the five languages of couples. A 50 item instrument was analyzed with responses from 100 persons(50 couples) dwelling in Kwangju. Data were analyzed by the method of Pearson's Cronbach' $\alpha$ test. Items were loaded five categories such as quality time, words of affirmation, receiving gift, acts of service and physical touch. The test is shown to hav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d satisfactory content validity. The result proposed the 27 items constructed scale. (Korean J Human Ecology 1(2):1~11. 1998)

  • PDF

여대생이 지각한 부모와의 의사소통 유형이 스마트폰 중독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munication Style with Parents Perceived by Female College Students on Smartphone Addiction and Depression)

  • 이신애;방윤이;임윤미;민혜영;박효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88-196
    • /
    • 2018
  • 본 연구는 여대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여대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S 도시에 소재한 3개의 대학교의 여대생 151명을 대상으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스마트폰 중독, 우울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기간은 2017년 11월 1일에서 12월 8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와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여대생의 스마트폰 중독은 35.08(SD=6.83)점으로,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이 폐쇄적이며 문제가 있다고 인식할수록 스마트폰 중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beta}=.27$, p=.028). 아버지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은 스마트폰 중독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beta}=-.27$, p=.030). 여대생의 우울은 15.86(SD=10.45)점으로 45% 정도가 우울을 경험하고 있으며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이 문제가 있다고 인식할수록 우울이 높게 나타났다(${\beta}=.29$, p=.022).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여대생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스마트폰 중독과 우울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여대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우울의 정도를 줄이거나 예방하기 위한 전략으로, 권위적이고 폐쇄적인 의사소통보다는 자녀를 독립된 인격체로 존중하는 개방적인 의사소통에 중점을 둔 맞춤형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