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coA

검색결과 153건 처리시간 0.026초

CO2 환경에서의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심기능의 경시적 변화 (Time-course Response of the Heart Function in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to CO2)

  • 이경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869-873
    • /
    • 2014
  • Cardiorespiratory variables were measured in flounder Paralicthys olivaceus exposed to acidified seawater equilibrated with a gas mixture containing 5% $CO_2$ gas for 72 h at $20^{\circ}C$. It was found that $CO_2$ produced a significant increase in arterial $PCO_2$ ($PaCO_2$) and significant decreases in arterial pH (pHa). $CO_2$ transiently increased heart rate within 30 min of exposure. After cardiac output was elevated by the increase in heart rate within 30 min, was then reduced by the decrease in both stroke volume and heart rate. The heart responses of flounder differ from those of yellowtail to high $CO_2$ environment.

Evaluation of the taxonomic rank of the terrestrial orchid Cephalanthera subaphylla based on allozymes

  • CHUNG, Mi Yoon;SON, Sungwon;CHUNG, Jae Min;LOPEZ-PUJOL, Jordi;YUKAWA, Tomohisa;CHUNG, Myong Gi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18-126
    • /
    • 2019
  • The taxonomic rank of the tiny-leaved terrestrial orchid Cephalanthera subaphylla Miyabe & $Kud{\hat{o}}$ has been somewhat controversial, as it has been treated as a species or as an infraspecific taxon, under C. erecta (Thunb.) Blume [C. erecta var. subaphylla (Miyabe & $Kud{\hat{o}}$) Ohwi and C. erecta f. subaphylla (Miyabe & $Kud{\hat{o}}$) M. Hiro]. Allozyme markers, traditionally employed for delimiting species boundaries, are used here to gain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taxonomic status of C. subaphylla. To do this, we sampled three populations of five taxa (a total of 15 populations) of Cephalanthera native to the Korean Peninsula [C. erecta, C. falcata (Thunb.) Blume, C. longibracteata Blume, C. longifolia (L.) Fritsch, and C. subaphylla]. Among 20 putative loci resolved, three were monomorphic (Dia-2, Pgi-1, and Tpi-1) across the five species. Apart from C. longibracteata, there was no allozyme variation within the remaining four species. Of the 51 alleles harbored by these 17 polymorphic loci, each of the 27 alleles at 14 loci was unique to a single species. Accordingly, we found low average values of Nei's genetic identities (I) between ten species pairs (from I = 0.250 for C. erecta versus C. longifolia to I = 0.603 for C. falcata vs. C. longibracteata), with C. subaphylla being genetically clearly differentiated from the other species (from I = 0.349 for C. subaphylla vs. C. longifolia to 0.400 for C. subaphylla vs. C. falcata). These results clearly indicate that C. subaphylla is not genetically related to any of the other taxa of Cephalanthera that are native to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C. erecta. In a principal coordinate analysis (PCoA), C. subaphylla was positioned distant not only from C. falcata, C. longibracteata, and C. longifolia, but also from C. erecta. Finally, K = 5 was the best clustering scheme using a Bayesian approach, with five clusters precisely corresponding to the five taxa. Thus, our allozym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C. subaphylla merits the rank of species.

남극 로스해 지역의 아델리펭귄과 황제펭귄 분변 유전자를 활용한 남극 펭귄 장내 미생물의 메타지놈 분석 (Metagenomic Analysis of Antarctic Penguins Gut Microbial Dynamics by using Fecal DNA of Adélie (Pygoscelis adeliae) and Emperor (Aptenodytes forsteri) Penguins in Ross Sea, Antarctica )

  • 최소윤;이승재;조민주;최은경;김진무;김정훈;김현우;박현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3-49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남극 로스해 연안에 서식하는 아델리펭귄(Pygoscelis adeliae)과 황제펭귄(Aptenodytes forsteri)의 분변 시료를 기반으로 펭귄 장내 미생물 메타지놈 연구를 수행하였다. Taxonomy 분석 결과, 아델리펭귄과 황제펭귄의 장내 미생물에는 주로 7개의 문(phylum), 18개의 과(family)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생물 다양성을 평가하기 위해 Alpha diversity 및 OTU abundance 분석을 수행한 결과, 전반적으로 아델리펭귄의 장내 미생물 다양성이 황제펭귄보다 높은 것을 확인하였고, PCoA를 기반으로 한 Beta diversity 분석을 통해 두 개체군 간 장내 미생물 군집에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PICRUSt를 활용한 기능적인 차원의 KEGG pathway 분석을 통해서는 아델리펭귄과 황제펭귄 시료에서 nucleoside and nucleotide biosynthesis pathway가 가장 많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남극 아델리펭귄과 황제펭귄의 장내미생물 구성과 다양성을 비교분석 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펭귄의 먹이 섭식 관련 연구에 활용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다양한 남극 생물의 장내미생물 메타지놈 분석에 대한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제주도 하천의 중대가리나무 식생 (Adina rubella Phytocoena in Jeju Island, Korea)

  • 최병기;류태복;김종원
    • 생태와환경
    • /
    • 제48권1호
    • /
    • pp.68-76
    • /
    • 2015
  • 화산섬 제주도 하천에는 버드나무류 (Salix spp.) 연목림 식생은 존재하지 않는다. 대신에 일부 하천 구간에서 유전적 고립개체군으로서 중대가리나무 식생이 발달한다. 그럼에도 획일적인 하천정비사업으로 중대가리나무의 현존 서식처 및 잠재 서식 공간이 크게 위협받고 있다. 본 연구는 중대가리나무 식생에 대한 군락분류 및 군락생태를 규명하였다. 중대가리나무가 분포하는 전역에 대하여 전통적인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전수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91개 지점에서 11개 식생조사표(phytosociological relev$\acute{e}$)를 획득하였고, 기발표 자료 (식생조사표 총 16개)를 수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종조성의 질적 양적 유의성 분석은 PCoA (Principal coordinates analysis)를 이용한 좌표결정을 수행했다. 본 연구에서는 산철쭉에 대한 군락분류 및 군락지리를 근거로 산철쭉-중대가리나무군집 (Adino-Rhododendretum poukhanensae Itow et al., 1993)을 폐기하고, 중대가리나무-교래잠자리피군집 (Tripogono-Adinetum rubellae ass. nova hoc loco), 중대가리나무군단 (Adinion rubella all. nova hoc loco)을 새로이 기재하였다. 본 단위식생은 제주도 서귀포생태역의 간헐천(間歇川, ephemeral stream) 물길구간내에서 지하수와 완전 격리된 하천식생형(partly ombrotrophic vegetation in ephemeral stream)으로 규정되었다. 한반도 내에서의 대응식생형으로 산철쭉군단 (Rhododendrion poukhanensae Lee, 2004 ex. hoc loco)을 기재하고, 갯버들-달뿌리풀군단 (Phragmito-Salicion)과의 명백한 상이성을 기재했다. 중대가리나무 식생은 제주도 고유의 식생자원으로 절대감시 1급 국가식생자원의 절대(absolute)감시 보존 대상으로 보호대책이 요청되었다.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중년 및 초고령의 허혈성 뇌혈관 호발 부위에 대한 분석 (Analysis on Ischemic Cerebrovascular of Middle Age and Oldest-Old Age by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 성열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9호
    • /
    • pp.391-39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을 이용하여 중년 및 초고령의 허혈성 뇌혈관 호발 부위를 분석하여 임상에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2006년 5월부터 2008년 1월까지 허혈성 뇌혈관 질환으로 자기공명영상검사를 받은 69 명(평균나이: 44.2세, 남: 43명, 여: 26명)의 중년 환자군과 129 명(평균나이: 84.7세, 남: 58명, 여: 71명)의 초고령 환자군에 대해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뇌혈관 부위는 앞교통 동맥(anterior communication artery, ACoA), 뒤교통 동맥(posterior communication artery, PCoA), 앞대뇌 동맥(anterior cerebral artery, ACA), 중간대뇌 동맥(middle cerebral artery, MCA), 뒤대뇌 동맥(posterior cerebral artery, PCA), 속목 동맥(internal carotid artery, ICA), 온목 동맥(common carotid artery, CCA), 그리고 뇌바닥 동맥(basilar artery, BA)으로 나누었으며, BA를 제외한 모든 혈관들의 허혈성 뇌혈관 위치는 좌, 우, 양쪽으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허혈성 뇌혈관은 중년 환자군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많았고 남성, 여성 모두 MCA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초고령 환자군에서는 좌, 우, 양측의 혈관에서 고른 발생빈도와 여성이 남성보다 많았으며 남성은 ICA, 여성은 MCA에서 많이 호발하고 있었다. 특히, MCA에서 초고령의 남자환자군보다 중년의 남자 환자군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었다. 이러한 허혈성 뇌혈관 호발 부위의 분석은 임상적 진단과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Estradiol valerate에 의해 유발되는 다낭성난소증후군의 Nerve Growth Factor 변화 (Expression of Nerve Growth Factor in Estradiol Valerate-induced Polycystic Ovary Syndrome)

  • 김세은;임성철;정문진;최백동;김승현;고아라;서승용;강성수;문창종;김종춘;김성호;배춘식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03-407
    • /
    • 2011
  • A form of polycystic ovary (PCO) resembling some aspects of the human PCO syndrome (PCOS) can be induced in rats by a single injection of estradiol valerate (EV). An increase in sympathetic outflow to the ovary precedes, by several weeks, the appearance of cysts, suggesting the involvement of a neurogenic component in the pathology of this ovarian dysfunction. To test the hypotheses that the change in sympathetic tone is related to an augmented production of hippocampal and/or ovarian nerve growth factor (NGF), and that this abnormally elevated production of NGF contributes to the induction of PCOS induced by EV. The animals were sacrificed after PCOS induction and the ovaries and hippocampus were sectioned and compared to the normal control. The expression of NGF was measur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and Western blot analysis in the ovaries and hippocampus. EV-induced PCO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of ovarian NGF expression. Immunohistochemical expression of NGF was confined to the follicular cells and interstitial cells. Hippocampal NGF expression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In conclusion EV-induced PCOS was related to the ovarian sympathetic activation which was mediated by NGF.

기관절개술을 시행한 뇌졸중 환자들에서의 기도미생물 탐색 연구 (Airway Microbiota in Stroke Patients with Tracheostomy: A Pilot Study)

  • 성은학;최유라;임수경;이명종;남영도;송은지;김호준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97-105
    • /
    • 2019
  • Objectives: We investigated differences between the tracheostomized and the non-tracheostomized stroke patients through microbiological analysis for the purpose of preliminary explorations of full-scale clinical research in the future. Methods: We collected tracheal aspirates samples from 5 stroke patients with tracheostomy and expectorated sputum samples from 5 stroke patients without tracheostomy. Genomic DNA from sputum samples was isolated using QIAamp DNA mini kit. The sequences were processed using Quantitative Insights into Microbial Ecology 1.9.0. Alpha-diversity was calculated using the Chao1 estimator. Beta-diversity was analyzed by UniFrac-based principal coordinates analysis (PCoA). To confirm taxa with different abundance among the groups,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effect size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Although alpha-diversity value of the tracheostomized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non-tracheostomized group,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CoA, clear separation was seen between clusters of the tracheostomized group and that of the non-tracheostomized group. In both groups, Bacteroidetes, Proteobacteria, Fusobacteria, Firmicutes, Actinobacteria were identified as dominant in phylum level. In particular, relative richness of Proteobacteria was found to be 31% more in the tracheotomized group (36.6%) than the non-tracheostomized group (5.6%)(P<0.05). In genus level, Neisseria (24%), Prevotella (17%), Streptococcus (13%), Fusobacteria (11%), Porphyromonas (7%) were identified as dominant in the tracheostomized group. In the non-tracheostomized group, Prevotella (38%), Veillonella (20%), Neisseria (9%) were genera that found to be dominant. Conclusions: It is meaningful in that the tracheostomized group has been identified a higher rate of microbiotas known as pathogenic in respiratory diseases compared to the non-tracheostomized group, confirming the possibility that the risk of opportunity infection may be higher.

대구지역 노상식물군락의 분류와 분포 특성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Roadbed Plant Communities in Daegu, Korea)

  • 안경환;김종원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1호
    • /
    • pp.31-36
    • /
    • 2005
  •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권역 내의 노상식생에 대하여 군락분류를 수행하고, 분류된 식생 유형에 대한 생태적 분포 특성을 규명하였다. 총 50 개의 식물사회학적 식생자료를 이용하여 Z.-M. 학파의 군락분류법이 수행되었으며, 주좌표분석법(PCoA)에 의하여 식물군락의 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대구지역의 노상식생은 5 개의 식물군락(그령군락, 질경이군락, 왕바랭이군락, 강아지풀군락, 바랭이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광엽형 노상식생은 질경이군락뿐으로 화본형 노상식생형이 우세한 것으로 밝혀졌다. 노상식생의 서식처는 토양환경조건의 안정성과 수분조건에 의하여 안정-적습, 불안정-적습, 안정-건조, 불안정-건조의 네 가지 분할로부터 각 식생유형과 대응되었다. 노상식생에서 가장 높은 상대기여도를 나타내는 출현종은 바랭이, 왕바랭이, 그령, 질경이, 돌피, 토끼풀, 마디풀, 강아지풀, 금강아지풀, 쑥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몬순 이후에 화기(花期)를 가지는 바랭이, 왕바랭이, 그령 등이 상대기여도 50% 이상의 수준을 보이는 사실이 특기되었다. 대구 노상식생의 특성은 대구생물기후구와 한반도의 $C_4$식물계절(후몬순계절), 그리고 일본 및 동아시아의 노상식생 최상급단위로 제창된 질경이군목과의 식생학적 차별성 등으로 정의되었다.

일반농장과 동물복지농장 닭의 혈액 내 gas, 생화학인자, 호르몬 농도 및 근육 내 스트레스 반응인자 비교 (Comparison of Blood Gas, Biochemical Factors, and Hormone Concentrations, and Muscle Stress Response Factors of Chickens in General Farms and Animal Welfare Farms)

  • 김희은;박진룡;이정은;강다래;장애라;최호성;심관섭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15-427
    • /
    • 2021
  • 본 연구는 육계에서 동물복지농장의 스트레스 저감효과를 과학적인 지표를 통해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농장 내 gas 농도를 비교한 결과 일반농장에서 육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CO2와 NH3의 농도가 높았다. PCO2는 일반농장에서, PO2는 동물복지농장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일반농장의 육계에서 혈중 CREA, GLU, AST, CK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TP, GLOB는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혈중 corticosterone과 norepinephrine이 일반농장에서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동물복지농장에 비해 일반농장 육계의 스트레스 수치가 더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동물복지농장이 스트레스가 감소된 사양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흉수 구성 성분의 체위에 따른 차이 (The effect of Postural Changes on Pleural Fluid Constituents)

  • 박병규;이효진;김윤성;허정;양용석;성낙현;이민기;박순규;신영기;한경문;최필선;손춘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2호
    • /
    • pp.221-227
    • /
    • 1996
  • 연구배경 : 흉수의 구성 성분에 대한 현미경적 및 화학적 분석이 흉수의 진단과 여출액과 삼출액 구분함에 있어서 중요하다. 그러나 흉수 구성 성분이 흉막강내에서 균등하게 분포하는지의 여부와 체위에 따른 이들 구성 성분들의 물리화학적 성상 변화가 관련성이 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흉수의 구성 성분들이 체위 변화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의 여부와 그 임상적 의의를 찾기위해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4년 5월부터 1995년 8월까지 부산대학교 병원 내과와 부산 세강 병원 내과에 입원한 환자중 흉부 X-선상 흉수가 있는 환자 41명을 대상으로 와위 및 좌위에서 각각 흉수를 채취하여 세포수, 가스분압 및 화학적 성분을 각각 검사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1) 여출성 흉수는 10명이었고, 이들은 모두 pH, 백혈구수, 단백량, LDH농도, $PCO_2$, 포도당농도에서 체위에 따른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2) 심출성 흉수는 31명이었고, 이들에서 pH, 백혈구수, 단백량, LDH농도는 체위에 따라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이는 무게에 따른 침강 효과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3) 삼출성 흉수중 $PCO_2$, 포도당농도 에서는 체위에 따른 의미있는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흉막에 염증이 생기면 흉수의 어떤 성분에 있어 체위에 따른 침강 효과가 있다고 생각되며, 따라서 삼출성 흉수가 의심되는 경우에는 흉강천자전 30분동안 좌위를 취하게 한 후에 천자술을 시행함으로써 삼출성 흉수의 진단에 보다 근접된 소견을 얻을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