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tients Radiation Dose

검색결과 1,494건 처리시간 0.031초

Gamma Knife Radiosurgery for Metastatic Brain Tumors with Exophytic Hemorrhage

  • Park, Eun Suk;Lee, Eun Jung;Yun, Jung-Ho;Cho, Young Hyun;Kim, Jeong Hoon;Kwon, Do Hoo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1권5호
    • /
    • pp.592-599
    • /
    • 2018
  • Objective : Metastatic brain tumors (MBTs) often present with intracerebral hemorrhage. Although Gamma Knife surgery (GKS) is a valid treatment option for hemorrhagic MBTs, its efficacy is unclear. To achieve oncologic control and reduce radiation toxicity, we used a radiosurgical targeting technique that confines the tumor core within the hematoma when performing GKS in patients with such tumors. We reviewed our experience in this endeavor, focusing on local tumor control and treatment-associated morbidities. Methods : From 2007 to 2014, 13 patients with hemorrhagic MBTs were treated via GKS using our targeting technique. The median marginal dose prescribed was 23 Gy (range, 20-25). GKS was performed approximately 2 weeks after tumor bleeding to allow the patient's condition to stabilize. Results : The primary sites of the MBTs included the liver (n=7), lung (n=2), kidney (n=1), and stomach (n=1); in two cases, the primary tumor was a melanoma. The mean tumor volume was $4.00cm^3$ (range, 0.74-11.0). The mean overall survival duration after GKS was 12.5 months (range, 3-29), and three patients are still alive at the time of the review. The local tumor control rate was 92% (tumor disappearance 23%, tumor regression 46%, and stable disease 23%). There was one (8%) instance of local recurrence, which occurred 11 months after GKS in the solid portion of the tumor. No GKS-related complications were observed. Conclusion : Our experience shows that GKS performed in conjunction with our targeting technique safely and effectively treats hemorrhagic MBTs. The success of this technique may reflect the presence of scattered metastatic tumor cells in the hematoma that do not proliferate owing to the inadequate microenvironment of the hematoma. We suggest that GKS can be a useful treatment option for patients with hemorrhagic MBTs that are not amenable to surgery.

공기 정복술을 시행 받은 소아 장중첩증 환자들의 치료 결과 및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Clinical Features and Factors Affecting Success Rate of Air Reduction for Pediatric Intussusception)

  • 손일태;정규환;박태진;김현영;박귀원;정성은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16권2호
    • /
    • pp.108-116
    • /
    • 2010
  • Air reduction is a safe, effective, and fast initial treatment for pediatric intussusception. There is low dose radiation exposure. Factors affecting outcomes of air reduction were analyzed by reviewing the clinical features and results of treatment. A total of 399 out of 485 patients with pediatric intussusceptions were treated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from 1996 to 2009. All of the patients received air reduction as the first line of treatment. Clinical features such as gender, age, seasonal variation, symptoms, signs, types, pathologic leading point, and treatment results including success rate, complication, recurrence, NPO time, and duration of hospitalization were reviewed. The Pearson chi-square, student T-, and logistic regression test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P-value less than 0.05 was consider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prevalent clinical features were: male (65.4 %), under one-year of age (40.3 %), ileocolic type (71.9 %), abdominal pain (85.4 %), and accompanying mesentery lymph node enlargement (2.2 %). The overall success rate for air reduction was 78.4 % (313 of 399 patients), and the perforation rate during reduction was 1.5 %. There were 23 recurrent cases over 21.6 months. All were successfully treated with re-do air reduction. Reduction failures had longer overall NPO times (27.067hrs vs. 43.0588hrs; p=0.000) and hospitalization durations (1.738d vs. 6.975d; p=0.000) compared to the successful cases. The factors affecting success rates were fever (p=0.002), abdominal distension (p=0.000), lethargy (p=0.000) and symptom duration (p=0.000) on univariate analysis. Failure rates were higher in patients with symptom durations greater than 24 hours (p=0.023), and lethargy (p=0.003) on multivariate analysis. Air reduction showed high success rates and excellent treatment outcomes as the initial treatment for pediatric intussusception in this study. Symptom duration and lethargy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educed success rates.

  • PDF

디지털 무선 검출기를 이용한 이동형 X선검사에서 영상품질 저하의 요인분석 (An Analysis of Factors That Affect Image Quality Deterioration in The Potable X-ray Examination on using Digital Wireless Detector)

  • 유영은;임청환;고주영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7권2호
    • /
    • pp.93-100
    • /
    • 2014
  • 최근 무선 LAN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보다 간편하고 빠르게 디지털 방사선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디지털 무선 이동촬영장치가 개발되어 많은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다. 응급 또는 중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하는 이동촬영(Portable)검사 특성상 발생할 수 있는 초점-격자 간 중심변위와 피사체의 검출기내 위치변위가 영상화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디지털 무선 검출기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장비는 Elmo-T6 Digital Mobile X선시스템(SIMAZU사), el' Tor($14{\times}17$"Wireless detector), 격자(10:1), Chest & head phantom을 사용하였다. 선량증가에 따른 후처리 영상과 초점-격자 간 중심변위와 두부팬텀의 위치변위 영상을 획득한 후 디지털 영상분석 프로그램 Image J를 사용하여 영상을 비교분석 평가하였다. 선량증가에 따른 영상의 변화에서 0.5 mAs의 선량에서는 영상이 거칠고, 적정선량인 1~2 mAs에서 시각적으로 영상의 차이를 알 수 없었고, 특히 2.5 mAs 부터 픽셀 평균값이 급격히 감소하여 대조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mAs 이상에서는 폐부분의 포화현상으로 대조도가 떨어졌다. Image J 프로그램을 이용한 분석결과 초점-격자 간과 두부팬텀의 중심의 위치변위가 커질수록 낮은 픽셀값의 빈도수가 증가하여 표면도의 윤곽형태가 사라져 대조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환자의 특성상 환자 자세의 어려움, 움직임, 호흡 및 X선관의 변위, 촬영거리의 적용여부에 따라 영상화질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방사선사는 정확히 인지하여 검사에 임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정위적체부방사선치료시 ExacTrac과 CBCT를 이용한 Combine IGRT의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f Combine IGRT using ExacTrac and CBCT In SBRT)

  • 안민우;강효석;최병준;박상준;정다이;이건호;이두상;전명수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30권1_2호
    • /
    • pp.201-208
    • /
    • 2018
  • 목 적 : 본 연구에서는 정위적체부방사선치료시 ExacTrac과 CBCT를 단계적으로 적용한 Combine IGRT를 사용하여 Set-up 오차를 비교 및 분석하여 Combine IGRT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14년 5월에서 2017년 11월까지 본원에 내원하여 trueBEAM Stx(Varian medical System, USA)에서 정위적체부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중 부위별로 뇌(Brain) 3명, 척추(Spine) 9명, 골반(Pelvis) 3명으로 분류하였다. 치료전 ExacTrac을 사용하여 Lateral(Lat), Longitudinal(Lng), Vertical(Vrt) 방향과 Roll, Pitch, Yaw 방향으로 Set-up 오차를 보정하였고, ExacTrac 이동 값을 적용 후 CBCT를 추가적으로 수행하여 Lat, Lng, Vrt, Rotation(Rtn) 방향으로 보정하였다. 결 과 : ExacTrac 사용시 뇌 부위의 오차는 Lat $0.18{\pm}0.25cm$, Lng $0.23{\pm}0.04cm$, Vrt $0.30{\pm}0.36cm$, Roll $0.36{\pm}0.21^{\circ}$, Pitch $1.72{\pm}0.62^{\circ}$, Yaw $1.80{\pm}1.21^{\circ}$, 척추 부위는 Lat $0.21{\pm}0.24cm$, Lng $0.27{\pm}0.36cm$, Vrt $0.26{\pm}0.42cm$, Roll $1.01{\pm}1.17^{\circ}$, Pitch $0.66{\pm}0.45^{\circ}$, Yaw $0.71{\pm}0.58^{\circ}$, 골반 부위는 Lat $0.20{\pm}0.16cm$, Lng $0.24{\pm}0.29cm$, Vrt $0.28{\pm}0.29cm$, Roll $0.83{\pm}0.21^{\circ}$, Pitch $0.57{\pm}0.45^{\circ}$, Yaw $0.52{\pm}0.27^{\circ}$로 나타났다. Couch 이동 후 CBCT를 하였을 때, 뇌 부위는 Lat $0.06{\pm}0.05cm$, Lng $0.07{\pm}0.06cm$, Vrt $0.00{\pm}0.00cm$, Rtn $0.0{\pm}0.0^{\circ}$, 척추 부위는 Lat $0.06{\pm}0.04cm$, Lng $0.16{\pm}0.30cm$, Vrt $0.08{\pm}0.08cm$, Rtn $0.00{\pm}0.00^{\circ}$, 골반 부위는 Lat $0.06{\pm}0.07cm$, Lng $0.04{\pm}0.05cm$, Vrt $0.06{\pm}0.04cm$, Rtn $0.0{\pm}0.0^{\circ}$ 오차가 발생하였다. 결 론 : 정위적체부방사선치료시 ExacTrac에 추가적으로 CBCT를 사용한 Combine IGRT의 경우는 ExacTrac만 사용한 경우보다 환자의 Set-up 오차를 줄일 수 있게 나타났다. 그러나 Combine IGRT를 적용함으로 환자 Set-up 확인시간, 영상획득을 위한 체내 흡수선량이 증가한다. 그러므로 환자 상황에 따라 Combine IGRT를 사용하여 환자의 Set-up 오차를 적게 함으로써 방사선치료 효과비를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구강암 환자에서 방사선 조사에 따른 타액량, 총 단백 및 IgA 농도의 변화 (THE CHANGE OF SALIVARY FLOW RATE, AND CONCENTRATION OF TOTAL PROTEIN AND IGA AFTER RADIATION THERAPY OF ORAL CANCER)

  • 이종호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1권3호
    • /
    • pp.249-256
    • /
    • 1999
  • 구강암 환자에서 방사선 조사를 받은 경우에 있어 타액의 성분 및 성질 변화를 알아내는 기초적 조사로 주 5회 180-225cGy fraction의 $Co^{60}$ 치료 예정자 중 총 6,000cGy 이 상자 7명에서 자극전타액 채취를 통해 타액분비량, 총단백 및 IgA의 농도를 방사선치료 직전, 방사선 조사 후 1일, 2일, 3일, 4일, 5일, 1주, 2주, 4주, 6주, 3개월, 6개월, 12개월째에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타액분비량은 방사선조사 전에는 $0.8671{\pm}0.4057ml/min$이었으며, 방사선조사 후 3일째부터 유의하게 감소하기 시작하여 4주째에 최소치를 나타냈다($0.2621{\pm}0.2858Ml/min$). 이후 타액분비량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일년째에는 타액분비량이 회복되는 추세였다. 2. 총 단백 및 IgA 농도는 방사선 조사 전에는 각각 $137.2000{\pm}16.9912mg%$, $3.4200{\pm}1.4114mg%$였으나, 방사선조사와 함께 유의하게 증가하기 시작하여 6주째에 각각 $366.4000{\pm}174.0583mg%$, $43.4800{\pm}29.1207mg/ml$으로 최고점에 도달하였고, 방사선조사 완료와 함께 회복 되기 시작하여 12개월째에는 $165.4000{\pm}21.1495mg%$$4.6200{\pm}2.1580mg/ml$으로 그 농도가 낮아졌다. 3. 타액 총단백에 대한 IgA의 비율은 방사선조사 전에는 2.5%에서 방사선 조사 1주 이후부터는 조사량이 증가됨에 따라 계속 증가하다가(방사선 조사 6주 때 11.9%), 일년째에는 방사선 조사전의 비율로 회복되었다.

  • PDF

의료용 방사능측정기의 측정 정확도 평가 (Comparison of Radioactivity Measurement with Radionuclide Calibrators in Nuclear Medicine Centers)

  • 손혜경;김지혜;임천일;양현규;박기정;오헌진;김혁주;김동섭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1권1호
    • /
    • pp.16-21
    • /
    • 2010
  • 우수한 핵의학 영상의 획득과 불필요한 환자 피폭을 최소화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방사성의약품의 방사능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각 의료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방사능측정기에 대한 적절한 품질관리가 수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의료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방사능측정기의 품질관리를 지원하고 의료기관이 사용하고 있는 방사능측정기의 측정 정확도를 평가하고자 방사능비교측정을 수행하였다. 방사능비교측정은 I-131, Tc-99m, I-123을 이용하여 각각 수행하였다. I-131을 이용한 방사능 비교측정에는 45개 기관의 58개 방사능측정기가 참여하였고, Tc-99m의 경우 58개 기관의 74개 방사능측정기가 참여하였으며, I-123의 경우는 45개 기관 60개 방사능 측정기가 참여하였다. 편차가 ${\pm}10%$를 벗어나는 측정기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비교측정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일부 측정기는 편차가 ${\pm}10%$ 이내로 개선되었다. 비교측정 결과 편차가 ${\pm}5%$ 이내인 측정기가 각각 81% (I-131), 61% (Tc-99m), 67% (I-123)이었고, 편차가 5%< $|{\Delta}|{\leq}|10%$ 이내인 측정기는 각각 17% (I-131), 20% (Tc-99m), 15% (I-123)이었으며, 편차가 ${\pm}10%$를 초과한 측정기는 각각 2% (I-131), 19% (Tc-99m), 18% (I-123)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방사능비교측정은 의료기관의 방사능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방사능측정기의 측정 정확도 저하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두경부 종양의 적응방사선치료시 변형영상정합을 이용한 합성선량 평가 (The Evaluation of Composite Dose using Deformable Image Registration in Adaptive Radiotherapy for Head and Neck Cancer)

  • 황철환;고성진;김창수;김정훈;김동현;최석윤;예수영;강세식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6권3호
    • /
    • pp.227-235
    • /
    • 2013
  • 적응방사선치료(adaptive radiotherapy, ART)시 획득된 다단계 CT영상으로부터 변형영상정합을 이용하여 전체 처방선량에 대한 주변 정상조직의 합성선량을 획득하고, 각각의 단일 치료계획으로부터 합산되어진 선량을 비교분석하여 임상적 의의를 얻고자 한다. 2011년 5월 1부터 2012년 7월 31일까지 두경부 종양으로 3차원 입체조형치료, 세기변조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환자 중에서 치료기간 중 종양크기의 변화, 체중의 급격한 감소 등으로 인해 적응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변형영상정합을 이용하여 전체 처방선량에 대한 주변 정상조직의 합성선량을 획득할 수 있었으며, 단일 치료계획으로부터 합산되어진 선량과의 비교에서 하악골($48.95{\pm}3.89$ vs $49.10{\pm}3.55$ Gy), 구강($36.93{\pm}4.03$ vs $38.97{\pm}5.08$ Gy), 이하선($35.71{\pm}6.22$ vs $36.12{\pm}6.70$ Gy), 턱관절($18.41{\pm}9.60$ vs $20.13{\pm}10.42$ Gy)에서 차이의 결과를 보였다. 적응방사선치료시 변형영상정합에 의한 합성선량과 단일 치료계획으로부터 합산되어진 선량과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다단계 CT영상을 사용하는 경우 변형영상정합에 의한 합성선량획득은 주변 정상조직에 대해 보다 정확한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차원 양성자 선량 분포 확인을 위한 즉발감마선 이차원분포 측정 장치 개발 (Development of Two-dimensional Prompt-gamma Measurement System for Verification of Proton Dose Distribution)

  • 박종훈;이한림;김찬형;김성훈;김성훈;이세병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6권1호
    • /
    • pp.42-51
    • /
    • 2015
  • 양성자 치료 시 양성자 빔을 사용하여 정밀한 치료를 수행하고 환자의 안전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인체 내 양성자 빔의 선량 분포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팀은 이전 연구에서 1차원 배열형 검출기를 종형으로 배치하여 빔 진행방향으로 이동시켜가면서 2차원적인 즉발감마선 분포를 측정하여 양성자 선량 분포와 유사한 분포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즉발감마선 이차원분포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기 위해 이차원 평행다공형 집속 장치, 이차원 배열의 NaI(Tl) 섬광체와 MA-PMT로 이루어진 즉발감마선 이차원분포 측정 장치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즉 발감마선 이차원분포 측정 장치의 성능을 평가한 결과 $^{22}Na$ 감마선원의 에너지 분해능은 $10.9%{\pm}0.23p%$ (0.511 MeV)와 $6.4%{\pm}0.24p%$ (1.275 MeV)로 평가되었으며, $^{137}Cs$$9.8%{\pm}0.18p%$ (0.662 MeV)로 평가되었다. 고에너지 Am-Be 선원의 double escape 피크인 3.416 MeV의 에너지 분해능은 $11.4%{\pm}3.6p%$로 평가되었다. 본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45 MeV 양성자 빔을 PMMA에 조사하여 발생한 즉발감마선 이차원분포를 측정한 결과 0.5 nA의 세기의 양성자 빔에서 $9{\times}10^9$ 양성자 조사 시 양성자 선량 분포와 유사한 즉발감마선 이차원분포를 측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추가로 측정한 즉발감마선 이차원분포의 프로파일 분포를 이용하여 양성자 빔의 비정을 평가해 본 결과 $17.0{\pm}0.4mm$로 평가되었고, 실제 비정인 17.4 mm과 굉장히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각종(各種) 갑상선질환(甲狀腺疾患)의 $^{99m}Tc$-pertechnetate 갑상선섭취(甲狀腺攝取)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99m}Tc$-pertechnetate thyroid uptake in various thyroid diseases)

  • 최성재;민혜숙;고창순;이문호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8권1_2호
    • /
    • pp.29-37
    • /
    • 1974
  • The $^{99m}Tc$-pertechnetate thyroid uptake rates(20 min) were measured in 24 healthy normal subjects, 140 patients with nontoxic goiter and 98 patients with thyrotoxicosis who were treated at the Thyroid Clinic,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August 1972 to August 1973. Diagnostic reliabilities and correlations between $^{99m}TcO_4$-thyroid uptake rate (20 min) and other thyroid function tests were evaluated. The observ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99m}TcO_4$-thyroid uptake rates (20 min) in normal subjects, euthyroid group and hyperthyroid group were $4.1{\pm}0.9%,\;5.2{\pm}1.8%\;and\;29.7{\pm}10.6%$.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ean of the euthyroid group and the mean of the hyperthyroid group and so differentiation between them can be easy. 2. In the diagnosis of hyperthyroidism, the reliabilities of $^{99m}TcO_4$- thyroid uptake rate(20 min), $^{131}I$ thyroid uptake rate(24hrs), serum $T_3$ resin uptake rate, serum $T_4\;and\;T_7\;were\;87.9{\sim}97.9%,\;81.2{\sim}94.4%,\;87.9{\sim}97.9%,\;90.5{\sim}99.3%\;and\;93.7{\sim}100%$. $^{99m}TcO_4$-thyroid uptake rate(20 min) is more accurate than $^{131}I$ thyroid uptake rate (24 hrs) in the diagnosis of hyperthyroidism. 3. $^{99m}TcO_4$-thyroid uptake rate (20 min) was well correlated with $^{131}I$ thyroid uptake rate (24 hrs), serum $T_3$ resin uptake rate, serum $T_4\;and\;T_7$. Points in favor of $^{99m}Tc$ are that it gives a small radiation dose to the thyroid, that tests can be repeated at the short interval, the study can be completed at a single patient visit and it is particularly well suited for the assessment of thyroid function in patients being treated with an antithyroid drug.

  • PDF

호흡이 불규칙한 환자의 치료를 위한 Beam on/off Interface를 이용한 종양 추적 치료 방법의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Tumor Tracking Method Using Beam on/off Interface for the Treatment of Irregular Breathing)

  • 이민식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343-349
    • /
    • 2018
  • 선량률을 조절하면서 종양을 추적하는 방법은 호흡이 불규칙한 환자를 치료할 때 방사선을 적응적으로 전달하는 효율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빔 켜기/끄기 스위칭을 제공하는 모션 관리 인터페이스 (MMI, Varian Medical System, CA)를 이용한 불규칙 호흡에 대해 적응성 종양 추적을 시행 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폐암 환자로부터 획득한 55개의 호흡 정보를 사용하였다. 첫날 환자의 RPM 흔적을 사용하여 사전 프로그래밍 된 추적 MLC 패턴을 디자인하는데, 치료 기간 중 환자의 호흡 불규칙성의 변화를 따라 잡기 위해 기간을 의도적으로 20% 줄였다. 이 기술의 적정성 기준은 진폭 및 주기의 20 % 미만의 표준편차이다. 사전 프로그래밍 된 MLC 위치와 현재 호흡 위치를 고려하여 100 ms마다 빔 켜기 / 끄기를 결정하는 알고리즘이 개발되었다. 추적 오류 및 전달 효율성은 RPM 추적에서 빔 스위칭 적응형 추적을 시뮬레이션하여 계산되었다. 38 명의 환자(70%)의 호흡 양상이 적합 기준을 충족 시켰습니다. 기준을 충족하는 모든 사례의 추적 오류는 2 mm 미만 (평균 1.4 mm)이며 평균 전달 효능은 71 % 였다.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나머지 경우의 추적오류와 전달 효율은 1.9 mm와 48% 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환자 선택이 적격 기준을 기반으로 하는 경우 빔 스위칭을 통한 적응형 추적 치료가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