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th Dependency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39초

Exact Error Rate of Dual-Channel Receiver with Remote Antenna Unit Selection in Multicell Networks

  • Wang, Qing;Liu, Ju;Zheng, Lina;Xiong, Hailia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0권8호
    • /
    • pp.3585-3601
    • /
    • 2016
  • The error rate performance of circularly distributed antenna system is studied over Nakagami-m fading channels, where a dual-channel receiver is employed for the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signals detection. To mitigate the Co-Channel Interference (CCI) caused by the adjacent cells and to save the transmit power, this work presents remote antenna unit selection transmission based on the best channel quality and the maximized path-loss, respectively. The commonly used Gaussian and Q-function approximation method in which the CCI and the noise are assumed to be Gaussian distributed fails to depict the precise system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central limit theory. To this end, this work treats the CCI as a random variable with random variance. Since the in-phase and the quadrature components of the CCI are correlated over Nakagami-m fading channels, the dependency between the in-phase and the quadrature components is also considered for the error rate analysis. For the special case of Rayleigh fading in which the dependency between the in-phase and the quadrature components can be ignored, the closed-form error rate expressions are derived. Numerical results validate the accuracy of the theoretical analysis, and a comparison among different transmission schemes is also performed.

초기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부정적 양육방식, 휴대전화의존도 발달 궤적 및 자기조절학습 간의 관계 : 성별의 차이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s Among Early Adolescents' Perceived Negative Parenting Practices Trajectories of Mobile Phone Dependen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 With a Focus on Gender Differences)

  • 홍예지;이순형;이수현;조혜림
    • 아동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165-188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Korean early adolescents' perceived negative parenting practices, trajectories of mobile phone dependency(MPD), and self-regulated learning(SRL), while taking into account gender differences. Early adolescents are required to acquire self-regulation in Korean cultural contexts of a strong emphasi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recent technological advancements. The study made use of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KCYPS), and three waves of data collected from 1,953 adolescents in $7^{th}$, $8^{th}$ and $9^{th}$ grade were analyze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Growth-curve longitudinal analysis indicates that their initial value of MPD through $7^{th}$ to $9^{th}$ grade had increased, but the initial value and rate of chang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Furthermore, the results of multiple group analysis revealed that some path weights appeared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For male students, the rate of change in MPD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ither SRL in $7^{th}$ or $9^{th}$ grade, whereas for female students, it predicted the existence of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them.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also discussed.

스택-포인터 네트워크와 부분 트리 정보를 이용한 한국어 의존 구문 분석 (Korean Dependency Parsing Using Stack-Pointer Networks and Subtree Information)

  • 최용석;이공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0권6호
    • /
    • pp.235-24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포인터 네트워크 모델을 의존 구문 분석에 맞게 확장한 스택-포인터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한국어 의존 구문 분석기를 구현한다. 스택-포인터 네트워크 모델 기반 의존 구문 분석기는 인코더-디코더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른 의존 구문 분석기와 달리 내부 스택을 갖고 있어 루트부터 시작하는 하향식 구문 분석이 가능하다. 디코더의 각 단계에서는 의존소를 찾기 위해 부모 노드뿐만 아니라 이미 파생된 트리 구조에서 조부모와 형제 노드를 참조할 수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단순하게 해당 노드들의 합을 계산하여 입력으로 사용하였고, 형제 노드의 경우에는 가장 최근에 방문했던 것만을 사용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그래프 어텐션 네트워크를 도입하여 이미 파생된 부분 트리를 표현하고 이를 스택-포인터 네트워크의 입력으로 사용하도록 구문 분석기를 수정한다. 세종 코퍼스와 모두의 코퍼스를 대상을 실험한 결과 레이어 2의 그래프 어텐션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부분 트리를 표현했을 때 특히 문장 단위의 구문 분석 정확도에서 많은 성능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산학협력에서 경로 의존성에 대한 연구 - 산업계의 자발적 참여 관점 (Path Dependence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 In terms of Industry's Voluntary Participation)

  • 한상설;임덕순
    • 산경연구논집
    • /
    • 제9권3호
    • /
    • pp.45-56
    • /
    • 2018
  • Purpose - The Korean university education system is facing innovation and change, including cooperation between industry and universit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activate the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This paper aims to demonstrate the factors that activate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particularly about the voluntary participation induction by industry and researching in path dependency perspectiv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were companies that are aware of the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program. This research hypothesis is derived from the literature of previous studies of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This study have constructs that was defined operationally with reference to previous studies, this research model design to figure out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echnology leadership of university, university specialization, local network strength, fixation of local economy, recognition of path dependence, participation by industry, performance of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rom 2017 July. 1 to Sept. 31,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company staff who is involving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257 questionnaire survey had conducted. 249 investigated data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except wrong data. This data were used for AMOS(structural equation) & Regression statistics to verify hypothesis which developed by researcher.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chnology leadership of universitie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voluntary participation by industry. University specialization has significant effect on voluntary participation by industry. Second, local network strength has significant effect on voluntary participation by industry. but fixation of local economy does not affect voluntary participation by industry. Third, recognition of path dependence has moderating effect between Independent(university, company characteristics) and dependent variables(voluntary participation by industry) When recognition level of path dependence is high, preceding factor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voluntary participation by industry than recognition level of path dependence is low. As a result,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path dependence was shown important variables that induce voluntary participation of industry for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program.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voluntary participation of industry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the achievement of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Recognition of interdependence as well as leading factors that encourage voluntary participation of industry is also just as important. If recognition of path dependence was high, Industry's voluntary participation was high.

실험적 포논 평균자유행로 스펙트럼 분포를 이용한 포논 스펙트럼 포논-표면 산란율 모델 (Direct Determination of Spectral Phonon-Surface Scattering Rate from Experimental Data on Spectral Phonon Mean Free Path Distribution)

  • 진재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40권9호
    • /
    • pp.621-62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실험적 데이터를 근간으로 박막재료의 스펙트럼(spectrum) 분포 별 포논-표면 산란율을 직접 계산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했다. 실험 측정결과인 포논 평균자유행로(mean free path, MFP) 스펙트럼 분포 별 열전달 기여도로부터 스펙트럼 의존적 포논-표면 산란율을 직접 도출하는 모델을 개발했고, 이 모델을 아직 실험적 방법으로 포논-표면 산란율을 측정하지 못한 $Si_{0.9}-Ge_{0.1}$ 나노선(Nanowire, NW)에 적용하여, $Si_{0.9}-Ge_{0.1}$ NW 내 포논 MFP 스펙트럼 분포를 구하고, 주파수에 따른 포논 전달특성을 살폈다. 이를 바탕으로 $Si_{0.9}-Ge_{0.1}$ NW 단위길이당 포논-표면 산란율을 제시하여, 가로갈래 포논 주파수 의존성을 살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델은 향후 나노재료의 공학적 응용을 위한 나노구조물 열전달 해석모델 개발 및 나노재료 열전달 특성 조정(tailoring)을 위한 나노재료 최적설계에 활용될 수 있다.

추상 그래프를 활용한 경로 탐색 알고리즘의 구현 및 성능 평가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Path-Finding Algorithm using Abstract Graphs)

  • 김지수;이지완;조대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2367-2372
    • /
    • 2009
  • 최근 단말기 기반의 경로 탐색에서도 동적인 정보를 반영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제시하는 대부분의 알고리즘은 $A^*$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한다. 휴리스틱을 이용한 알고리즘에서는 탐색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추상 그래프는 실제 도로 네트워크를 단순화한 그래프로, 휴리스틱 의존성과 탐색 비용을 줄이기 위해 제안된 방법이다. 이 논문에서는 생성방법이 다른 두 가지의 추상 그래프를 이용하여 성능 평가하였다. 추상 그래프는 생성 방법에 따라 동일 특성 노드 합병을 통한 추상 그래프($AG^H$)와 연결 노드 합병을 통한 추상 그래프($AG^C$)로 구별된다. 성능 실험 결과 생성 비용과 노드 접근 비용 측면에서 $AG^C$가 좋은 성능을 보였지만, 탐색된 경로의 이동시간측면에서는 $AG^H$가 좋은 성능을 보였다.

불포화 함수특성의 경로의존성을 고려한 현장사면 수리거동 예측 (Predicted Hydraulic Behavior in In-Situ Soil Slope Using the Path-Dependent Soil Water Characteristic Curve)

  • 박현수;송영석;박성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3권4호
    • /
    • pp.25-34
    • /
    • 2017
  • 불포화상태 지반의 흡수력과 응력변화를 반영한 토사사면의 전체 안정성 평가에서 매우 중요한 상태평가 입력변수로 함수특성곡선이 활용되고 있다. 함수특성의 경로의존성은 일반적으로 건조와 습윤과정으로 이력현상을 내포하는데 현장계측결과는 주로 실내실험의 습윤과정에 가깝게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비정상류 해석에 적용하여 해석과 현장 계측된 결과들을 비교 검토하였다. 또한 심도가 증가할수록 강우의 영향이 작고 습윤과정을 적용해 산정된 값에 근접하였다. 따라서 불포화 토사사면 해석 시에 경로의존 함수특성곡선을 적용하여 안정성을 판단하는 것이 보다 합리적인 결과로 판단된다.

Nano-Scale CMOSFET에서 Contact Etch Stop Layer의 Mechanical Film Stress에 대한 소자특성 분석 (Investigation of Device Characteristics on the Mechanical Film Stress of Contact Etch Stop Layer in Nano-Scale CMOSFET)

  • 나민기;한인식;최원호;권혁민;지희환;박성형;이가원;이희덕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5권4호
    • /
    • pp.57-63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Contact Etch Stop Layer (CESL)인 nitride film의 mechanical stress에 의해 인가되는 channel stress가 소자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NMOS는 tensile stress와 PMOS에서는 compressive stress가 인가되었을 경우 drain current가 증가하였으며 그 원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NMOS의 경우 tensile stress가 인가됨으로써 back scattering ratio ($\tau_{sat}$)의 감소와 thermal injection velocity ($V_{inj}$)의 증가로 인해 mobility가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tau_{sat}$, 의 감소는 온도에 따른 mobility의 감소율이 작고, 그에 따른 mean free path ($\lambda_O$)의 감소율이 작기 때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PMOS의 compressive stress 경우에는 tensile stress에 비해 온도에 따른 mobility의 감소율이 크기 때문에 channel back scattering 현상은 심해지지만 source에서의 $V_{inj}$가 큰 폭으로 증가함으로써 mobility가 개선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CES-Layer에 의해 인가된 channel stress에 따른 소자 특성의 변화는 inversion layer에서의 channel back scattering 현상과 source에서의 thermal injection velocity에 매우 의존함을 알 수 있다.

방송편성규제의 경로의존성 비판과 개선방향 : 편성비율규제를 중심으로 (A Criticism of Path Dependence in the Broadcasting Programming Regulation : Focusing on Regulation of Programming Quotas)

  • 홍원식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1-11
    • /
    • 2020
  • OTT와 VOD 서비스의 활성화로 시청행태는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지만, 편성규제는 과거와 동일한 방식의 비율 규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현행 편성비율규제의 정책적 타당성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국내편성비율규제 도입 당시의 정책적 목표와 배경을 고찰하고 이를 현재의 방송시장 현황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본 연구는 현재 편성비율규제가 도입 당시의 비대칭규제라는 논리적 틀이 그대로 적용되기 어려운 시장 환경에 놓여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대칭규제를 기반으로 형성된 여러 이해관계자들의 상호관계 속에서 기존의 틀 속에서 미세한 비율의 조정만을 반복하는 경로의 존성의 전형적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편성규제가 규제의 목적에 따라 공익적 목적에 의한 규제와 산업적 목적에 의한 규제로 구분하여, 시청자의 공익에 해당하는 직접적 규제로 한정되어 적용될 필요가 있으며, 규제와 진흥의 분리, 그리고 비대칭규제의 해소를 제안하였다.

Millimeter-wave directional-antenna beamwidth effects on the ITU-R building entry loss (BEL) propagation model

  • Lee, Juyul;Kim, Kyung-Won;Kim, Myung-Don;Park, Jae-Joon;Yoon, Young Keun;Chong, Young Jun
    • ETRI Journal
    • /
    • 제42권1호
    • /
    • pp.7-16
    • /
    • 2020
  • Assuming omnidirectional antenna reception, the ITU-R recently developed a new propagation model on building entry loss (BEL) for 5G millimeter-wave frequency sharing and compatibility studies, which is a simplified outdoor-to-indoor path loss model. Considering the utilization of high-gain narrow-beamwidth beamforming, the omnidirectional-based ITU-R BEL model may not be appropriate to predict propagation characteristics for directional beamforming scenarios. This paper studies the effects of beamwidth on the ITU-R BEL model. This study is based on field measurements collected with four different beamwidth antennas: omnidirectional, 10° horn, 30° horn, and 60° horn. The measurement campaigns were conducted at two types of building sites: traditional and thermally efficient buildings. These sites, as well as the measurement scenarios, were carefully chosen to comply with the ITU-R BEL measurement guidelines and the ITU-R building types. We observed the importance of accurate beam alignment from the BEL variation range. We were able to quantify the beamwidth dependency by fitting to a model that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beamwid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