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ssiflora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3초

Passiflora caerulea 추출물의 화장품 소재 활용 가능성 (The Possibility of Passiflora Caerulea Extract as Cosmetic Material)

  • 이재남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710-719
    • /
    • 2022
  • 본 연구는 Passiflora caerulea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 측정을 통해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Passiflora caerulea 추출물은 70% 에탄올로 추출하였고, TEAC assay를 이용한 ABTS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또한 Neutral red assay를 이용한 세포 생존율, DCF-DA를 통한 세포 내 ROS 생성 억제,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Passiflora caerulea 추출물의 ABTS radical 소거능은 농도 의존적 소거활성이 확인되었으며, positive control(양성대조군)로 이용한 trolox와 0.1 mg/mL 농도에서는 유사한 radical 소거 활성을 확인하였다. CFDA를 통한 세포 내 활성산소종(ROS) 생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었고, B16F10 melanoma 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𝛼-MSH로 유도된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Passiflora caerulea 추출물은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Role Identification of Passiflora Incarnata Linnaeus: A Mini Review

  • Kim, Mijin;Lim, Hee-Sook;Lee, Hae-Hyeog;Kim, Tae-Hee
    • Journal of Menopausal Medicine
    • /
    • 제23권3호
    • /
    • pp.156-159
    • /
    • 2017
  • Some species of traditional herbal medicine has a history of use, most traditional natural herbs have been used for various diseases such as diabetes, hypertension, and obesity. Among them, Passiflora incarnata L. is a traditional natural medicine, flowers as well as berries, roots, and leaves have been used as a medicine. It has been used as a natural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insomnia and anxiety for a longtime in Europe, and it has been used primarily for sedation tea in North America. Moreover, Passiflora incarnata L. is widely used anti-asthmatic, analgesic and sedation in Brazil. In other words, Passiflora incarnata L. has been used to treat a sedative, dysmenorrhea, insomnia, cancer, etc. in many countries. Present review of the plants showed a wide range of pharmacological activity in anxiolytic relax the clinical disease, such as anti-inflammatory, anxiety and antioxidant. In addition, Passiflora incarnata L. affects menopause symptoms such as vasomotor symptoms, insomnia, and depression. This review aims to provide the latest information on specific functional components of Passiflora incarnata L. especially the results of clinical trials will provide new insights into opportunitie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natural medicines and doors will be used for purposes of analysis.

Identification of Soluble Epoxide Hydrolase Inhibitors from the Seeds of Passiflora edulis Cultivated in Vietnam

  • Cuong, To Dao;Anh, Hoang Thi Ngoc;Huong, Tran Thu;Khanh, Pham Ngoc;Ha, Vu Thi;Hung, Tran Manh;Kim, Young Ho;Cuong, Nguyen Manh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5권4호
    • /
    • pp.348-353
    • /
    • 2019
  • Soluble epoxide hydrolases (sEH) are enzymes present in all living organisms, metabolize epoxy fatty acids to 1,2-diols. sEH in the metabolism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lays a key role in inflammation. In addition, the endogenous lipid mediators in cardiovascular disease are also broken down to diols by the action of sEH that enhanced cardiovascular protection. In this study, sEH inhibitory guided fractionation led to the isolation of five phenolic compounds trans-resveratrol (1), trans-piceatannol (2), sulfuretin (3), (+)-balanophonin (4), and cassigarol E (5) from the ethanol extract of the seeds of Passiflora edulis Sims cultivated in Vietnam. The chemical structures of isolated compounds were determined by the interpretation of NMR spectral data, mass spectra, and comparison with data from the literature. The soluble epoxide hydrolase (sEH) inhibitory activity of isolated compounds was evaluated. Among them, trans-piceatannol (2) showed the most potent inhibitory activity on sEH with an IC50 value of 3.4 μM. This study marks the first time that sulfuretin (3) was isolated from Passiflora edulis as well as (+)-balanophonin (4), and cassigarol E (5) were isolated from Passiflora genus.

이너뷰티 소재로서의 시계꽃 추출물의 활용 가능성 (Availability of Passiflora Caerulea Extract as Inner Beauty Material)

  • 이재남;김영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1180-1189
    • /
    • 2020
  • 본 연구는 시계꽃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능을 확인하여 이너뷰티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여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험 방법으로는 항산화, 항염증, 항노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총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 RAW 264.7 대식세포와 HDF 세포 내에서의 세포 독성 및 NO 생성 억제 효과, HDF 세포에서의 MMP-1의 발현 억제능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시계꽃 추출물의 폴리페놀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0 mg/mL의 농도에서 각 157 mg/g, 173.5 mg/g의 우수한 함량을 확인하였고, DPPH radical 소거능을 확인하였다. RAW 264.7 대식세포와 HDF 세포에서는 시계꽃 추출물에 대해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RAW 264.7 대식세포에서의 NO 생성억제를 통해 100 ㎍/mL에서 69.3%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HDF 세포에서 MMP-1의 발현 억제능이 유의하게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의 시계꽃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와 항염증 효과, 피부세포에 대한 낮은 독성, MMP-1의 발현 억제를 통한 항노화 효과가 확인됨에 따라 다양한 이너뷰티 소재로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패션프루트 무가온하우스 재배의 후기 수분시기가 착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fruit coloration for double harvesting by flowering period of passionfruit(Passiflora edulis) in non-heating plastic house cultivation)

  • 박재옥;이소미;조경철;김병삼;황인택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8-78
    • /
    • 2018
  • 패션프루트(Passiflora edulis)는 브라질이 원산지이며 아열대와 열대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 다년생 상록덩굴식물로 시계꽃과(Passifloraceae) 시계꽃속(Passiflora)에 속한다. 전 세계적으로 500여종이 분포하고 그 중 10여종은 식용, 나머지는 관상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온상승으로 전남지역 재배에 적합한 대체 아열대과수 개발이 필요하다. 패션프루트는 겨울 최저온도가 $3^{\circ}C$이상 조건에서 재배 가능하여 남부 지역는 무가온 하우스재배를 하고 있지만 시설내 6월 하순부터 8월 중순까지 $35^{\circ}C$ 이상 고온이 지속되어 과실을 볼 수 없다. 8월 하순부터 피는 꽃은 인공수분으로 착과되어 11월부터 수확이 가능하지만 이후에 낮은 온도($10^{\circ}C$이하)로 착색이 진행되지 않아서 동해피해로 수확을 포기해야 한다. 어느 시기까지 인공수분을 해야 당년에 안정적인 수확이 가능한지를 알아보고자 패션프루트의 후기(2차) 개화시기 중에서 8월 30일, 9월 10일, 9월 20일, 9월 30일에 인공수분 하여 11월 하순에 착색이 정상적으로 진행되는 처리를 조사한 결과 8월 30일 처리구만 11월 21일 착색이 되었다. 미착색과에서 내용물이 진노랑색으로 진행되면 후숙하여 상품과로 판매가 가능하기 때문에 진노랑색에 도달한 시기를 조사하였다. 조사에서 9월 10일까지 인공수분 처리한 과실은 후숙하여 상품과로 판매가 가능하였다.

  • PDF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and antioxidants on in vitro plant regeneration and callus induction from leaf explants of purple passion fruit (Passiflora edulis Sims)

  • Huh, Yoon Sun;Lee, Joung Kwan;Nam, Sang Young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4권3호
    • /
    • pp.335-342
    • /
    • 2017
  • Purple passion fruit (Passiflora edulis Sims) is one of the introduced tropical plants, an increasing interest has arisen due to its distinctive taste and attractive flavor. It is expected that passion fruit production and planted area will increase gradually in the years ahead because of high profitability and consumer's demands of healthful ingredients. So we tri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and antioxidants on in vitro plant regeneration and callus induction from leaf explants of passion fruit for an establishment of optimal mass propagation system. Young leaf explants of purple passion fruit were cultured in Murashige and Skoog (MS) medium containing different growth regulators and antioxidant additives to induce the shoot organogenesis. After 8 weeks, the highest embryogenic callus formation rate was obtained i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1mg{\cdot}L^{-1}$ 6-benzylaminopurine (BAP) and $2mg{\cdot}L^{-1}$ 2,4-dichlorophenoxyacetic acid (2,4-D), furthermore, the shoot development via organogenesis was also observed. Silver nitrate ($AgNO_3$), which was added into the medium to minimize the adverse effects of leached phenolics, was effective for reduction of medium browning and sudden explant death. In the medium supplemented with $1mg{\cdot}L^{-1}$ BAP and $1mg{\cdot}L^{-1}$ gibberellic acid ($GA_3$), shoots were most vigorously regenerated and elongated. Most shoots rooted successfully in half strength medium with $1mg{\cdot}L^{-1}$ indol-3 acetic acid (IAA), and more than 90% of plantlets survived after 4-month acclimatization period.

아열대 작물 백향과(Passiflora edulis Sims)의 국내 재배현황 및 재배관리기술 실태 (Current Situations of Domestic Cultivation and Cultivation Management Technology in Passion Fruit (Passiflora edulis Sims) )

  • 김창영;이두원;오대민;고호철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9-39
    • /
    • 2021
  •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로 과거에는 재배되지 않았던 아열대 작물의 국내재배가 확대되고 있다. 백향과(Passiflora edulis Sims)는 브라질 남부지역이 원산지인 아열대작물로 국내에서도 전국적으로 재배가 되고 있어서, 국내 재배현황과 재배농가의 관리기술 실태를 조사하여 재배 애로사항 및 발전과제를 도출코져 하였다. 백향과의 국내 재배는 2010년부터 시작되어 2017년에는 201농가 54.7ha로 정점을 이루고, 점차 감소하여 2019년에는 156농가 36.5ha에서 재배되고 있다. 재배농가가 많았던 지역은 남원, 담양, 화순, 김천, 고창 등 이었다. 백향과의 재배체계는 대부분의 농가가 비닐하우스 시설에서 겨울철 난방에 의한 다년 재배로 1년 2회 수확하고 있으며, 극히 일부농가는 1년 재배체계로 매년 묘목을 다시 심는 형태이다. 백향과의 국내 육성품종은 없으며, 외국에서 도입한 자색종 또는 교잡종을 주로 재배하고 있다. 현재 국립종자원에 '일반종', '타이농1하오', '황금' 3품종이 생산/수입 판매 신고되어 있다. 초기에 도입한 접목묘를 재배하면서 국내에서 삽목묘를 육성하여 많은 농가가 재배하고 있다. 백향과는 덩굴성이기 때문에 지주를 설치하여 재배하는데 재식거리, 수형, 가지유인 등을 농가별로 다양한 방법으로 하고 있는 실정이다. 개화기에 인공수분 작업이 필요하고, 수확은 과일이 성숙하여 저절로 낙과하면 주어서 수확한 과일은 주로 생과로 판매하는데 전화 및 인터넷 주문에 의한 직거래가 가장 많고, 일부 마트 및 로컬푸드에 판매하고 있다. 국내재배 안전성 향상을 위하여 필요시 되는 기술개발 과제는 적응 품종육성 및 무병묘 생산 보급, 고품질 백향과 생산을 위한 재배관리 기술, 시설재배 환경관리 기술, 소비 증대를 위한 가공 이용 기술 개발 등으로 전문기관에서의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 PDF

국내 패션프루트(Passiflora edulis)에서 분리한 Cucumber Mosaic Virus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Cucumber Mosaic Virus Isolated from Passion Fruit (Passiflora edulis) in Korea)

  • 김예영;박태선;박지수;민동주;신유섭;홍진성
    • 식물병연구
    • /
    • 제30권1호
    • /
    • pp.60-65
    • /
    • 2024
  • 2020년 7월, 전라남도 해남에서 퇴록병반과 엽맥녹대 등 바이러스 병징이 보이는 패션프루트(Passiflora edulis) 잎으로부터 total RNA를 추출했으며, RT-PCR 검정과 염기서열 결정을 통해 CMV-HN2를 동정하였다. 패션프루트에 감염하는 CMV의 생물학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10개 지표식물에 CMV-HN2를 접종한 결과, CMV-Fny와 비교하여 전형적인 CMV의 감염 패턴을 나타냈다. CMV 패션프루트 분리주들의 외피단백질에 대한 계통발생학적 분석한 결과, CMV의 패션프루트 분리주들은 subgroup I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중 CMV-HN2는 subgroup IA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내 패션프루트 CMV 분리주들 사이의 subgroup 차이가 확인되었다. 패션프루트 분리주 간의 외피단백질 아미노산 서열을 비교하였을때, CMV-HN2는 다른 분리주들과 특이적으로 4-8개 아미노산 차이가 존재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패션프루트 CMV 분리주들의 외피단백질에서 유전적 다양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Pectin from Passion Fruit Fiber and Its Modification by Pectinmethylesterase

  • Contreras-Esquivel, Juan Carlos;Aguilar, Cristobal N.;Montanez, Julio C.;Brandelli, Adriano;Espinoza-Perez, Judith D.;Renard, Catherine M.G.C.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5권1호
    • /
    • pp.57-66
    • /
    • 2010
  • Passion fruit fiber pectin gels represent a new alternative pectin source with potential for food and non-food applications on a commercial scale. Pectic polysaccharides were extracted from passion fruit (Passiflora edulis) fiber using citric acid as a clean catalyst and autoclaved for 20 to 60 min at $121^{\circ}C$. The best condition of pectin yield with the highest molecular weight was obtained with 1.0% of citric acid (250 mg/g dry passion fruit fiber pectin) for 20 min of autoclaving. Spectroscopic analyses by Fourier transform infrared, enzymatic degradation reactions, and ion-exchange chromatography assays showed that passion fruit pectin extracted for 20 min was homogeneous high methoxylated pectin (70%). Gel permeation analysis confirmed that the pectin extract obtained by autoclaving by 20 min showed higher molecular weights than those autoclaved for 40 and 60 min. Passion fruit pectin extracted for 20 min was enzymatically modified with fungal pectinmethylesterase to create restructured gels. Short autoclave treatment (20 min) with citric acid as extractant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of gel strength, improving pectin extraction in terms of functionality. The treatment of solubilized material (pectic polysaccharides) in the presence of insoluble material (cellulose and hemicellulose) with pectinmethylesterase and calcium led to the creation of a stiffer passion fruit fiber pectin gel, while syneresis was not observed.

Use of hot water, combination of hot water and phosphite, and 1-MCP as post-harvest treatments for passion fruit (Passiflora edulis f. flavicarpa) reduces anthracnose and does not alter fruit quality

  • Dutra, Jaqueline Barbosa;Blum, Luiz Eduardo Bassay;Lopes, Leonardo Ferreira;Cruz, Andre Freire;Uesugi, Carlos Hidemi
    • Horticulture,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 HEB
    • /
    • 제59권6호
    • /
    • pp.847-856
    • /
    • 2018
  • This research ai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hot water ($43-53^{\circ}C{\cdot}5min^{-1}$; $47^{\circ}C{\cdot}2-6min^{-1}$), 1-methylcyclopropene (1-MCP) at $50-300nL\;L^{-1}$ and a combination of hot water ($47/49^{\circ}C{\cdot}5min^{-1}$) and phosphite $40%\;P_2O_5+20%\;K_2O$;$40%\;P_2O_5+10%\;Zn$) in anthracnose control and the effect on fruit quality [fresh weight loss (FWL-%); pH, total soluble solids ($TSS-^{\circ}Brix$), and titratable acidity (TA = % citric acid (CA)] of passion fruit ( Passiflora edulis f. flavicarpa ) at the postharvest stage. When the fruits were in the stage of 0% dehydration and fully yellow peels, they were disinfested and inoculated with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They were then subjected to the above mentioned treatments; this was followed by incubation for 120 h. The diameter of the disease lesions was monitored daily. After the incubation, a physico-chemical analysis was performed. Hot-water treatment resulted in disease reduction at 47 and $49^{\circ}C$ for 4 and 5 min. The combination of hot-water treatment at $47^{\circ}C$ (4 or 5 min) and application of the phosphite of K or Zn significantly reduced disease severity in fruits. The 1-MCP treatment reduced anthracnose severity in passion fruit mainly at $200nL\;L^{-1}{\cdot} 24h^{-1} $. None of the treatments significantly changed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fruit [FWL (2.6-4.1%); pH (3.2-3.5), TSS ($8.9-10.9^{\circ}Brix$), and TA (1.8-2.5% 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