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ticipation competence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25초

유학생 참여 기반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이 간호대학 신입생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과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based on international students' participation o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nursing professionalism)

  • 홍경진;한정진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89-399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that includes contact with persons from multiple cultures and to report on the program's effects o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nursing professionalism. Methods: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that included contact with persons from multiple cultures was developed, and a quasi-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experimental group comprised 32 participants, and the control group comprised 26 participant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before and immediately after the intervention to collect data. Results: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mean scores for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before the intervention were 3.67 and 3.84, respectively, while their mean scores for nursing professionalism were 3.87 and 3.69, respectively. After the intervention, both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ore and the nursing professionalism score improved to 4.02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study demonstrat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nursing professionalism afte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was conducted. Conclusion: The study's results demonstrate the need to develop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including contact and communication with persons from multiple cultures, such as international students, women who immigrated for marriage, immigrant workers, and multicultural families.

마라톤 참여자의 참여동기가 운동정서 및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articipation Motivation on Exercise Emo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Marathon Participants)

  • 남인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4285-4295
    • /
    • 2013
  • 이 연구는 마라톤 참여자의 참여동기가 운동정서 및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은 마라톤대회 참여자를 대상으로 표집하였다. 표집된 설문자료 중에서 241명의 자료를 토대로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동기의 하위요인 중 즐거움과 성취 및 흥분감은 재미, 활력, 긍지, 성취, 정화 모두에 정적 영향을 준다. 또 기술 발달은 활력, 긍지, 성취, 정화에 정적 영향을 준다. 그리고 외적과시는 활력에 정적 영향을 주며, 사교는 활력, 성취, 정화에 부적 영향을 준다. 무동기는 재미, 활력, 긍지, 정화에 부적 영향을 준다. 둘째, 참여동기의 하위요인 중 기술발달과 즐거움은 몰입감, 유능감, 자아실현감, 쾌락적 즐거움 모두에 정적 영향을 준다. 성취 및 흥분감은 몰입감과 쾌락적 즐거움에 정적 영향을 주며, 외적과시는 몰입감에 정적 영향을 준다. 그리고 무동기는 자아실현감과 쾌락적 즐거움에 부적 영향을 준다. 셋째, 정서의 하위요인 중 긍지는 몰입감, 유능감, 자아실현감, 쾌락적 즐거움 모두에 정적 영향을 준다. 활력은 몰입감과 쾌락적 즐거움에 정적 영향을 주며, 재미는 유능감과 자아실현감에 정적 영향을 준다. 그리고 성취는 쾌락적 즐거움에 정적 영향을 준다.

유아의 도덕적 정서가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공감과 동정심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Children's Moral Emotions on Social Competence : Focusing on Empathy, and Sympathy)

  • 이용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25-244
    • /
    • 2016
  • 본 연구는 유아의 도덕적 정서가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공감과 동정심을 중심으로 파악하여, 유아기 도덕교육 및 정서교육 프로그램의 기초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개인 및 부모변인에 따른 유아의 도덕적 정서(공감, 동정심)는 유아의 연령과 아버지의 학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유아의 공감과 동정심은 사회적 유능성의 긍정적 상호작용, 유능성, 대인 행동과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유아의 동정심은 사회적 유능성의 지도성과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공감은 사회적 유능성의 긍정적 상호작용, 유능성, 대인 행동, 활동 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유아의 동정심은 지도성에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만4, 5세 유아의 도덕적 정서(공감, 동정심)를 강화하는 것은 부분적으로 사회적 유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 받을 수 있다.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 허약노인의 건강증진행위, 주관적 건강상태, 사회참여 및 역량강화 (Health Promotion Behavior, Perceived Health Status, Social Participation and Empowerment in Frail Elderly Receiving Home Visiting Services)

  • 박정숙;오윤정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44-256
    • /
    • 2017
  • Purpos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dentify methods of induc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perceived health status, social participation and empowerment in the frail elderly receiving home visiting services. Methods: The subjects were 255 frail elders aged over 65 registered in the home visiting services of five public health centers in Daegu.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9 to August 10, 2015.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s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SPSS Win 18.0. Results: The mean health promotion behavior, perceived health status, social participation and empowerment scores were 2.56 (${\pm}0.33$), 7.11 (${\pm}1.98$), 2.60 (${\pm}0.69$) and 2.90 (${\pm}0.29$), respective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lth promotion behavior by client classification and life satisfac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ived health status by life satisfaction, social participation by religion and client classification and empowerment by past jobs. Health promotion behavior, perceived health status, social participation and empowerment were positively correlated. Conclusion: An integrative health care program that includes these significant variables of subjects is essential to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deterioration of frailty in elderly.

일 종합병원 간호사의 간호수행능력 영향 요인 (Factors Influencing Clinical Competence for General Hospital Nurses)

  • 강경자;김은만;류세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284-293
    • /
    • 2011
  • 본 연구는 간호사의 간호수행능력을 파악하고, 그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자료는 2010년 5월 17일부터 6월 19일까지 경기도 소재의 종합병원 간호사 163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자가보고형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간호사의 학력, 근무부서, 프리셉터 경험, 향후 계획, 직무교육 참여도에 따라 간호 수행능력에 차이가 있었다. 간호수행능력과 근무경력,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 의사결정능력이 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일 종합병원 간호사의 간호수행능력의 영향요인은 비판적 사고성향, 근무부서, 근무 경력이었고 세 요인이 간호수행능력을 50.3% 예측설명하였다. 따라서 임상간호사의 간호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비판적 사고성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과 지속적으로 근무하면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격려와 지원이 요구된다.

대학생의 영어캠프 보조교사 경험에 관한 연구 -역량, 영어능력, 직무와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at English camp as a teaching assistant)

  • 김지나;조인철
    • 영어어문교육
    • /
    • 제17권4호
    • /
    • pp.293-312
    • /
    • 2011
  • Many immersion programs have been established and managed throughout Korea in recent years in schools, English villages and camps. Research on the effects of various programs has been reported with focus on the program types or the benefits and learning outcomes for the participa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at English camp as a teaching assistant by comparing some factors such as competence, English abilities, and connection to current studies/career before and after camp experience. The results show that all 17 competence rates rose with 'crisis management' showing prominent change. Also, the camp experience provides opportunity for improving English Test scores, conversational skills, teaching skills, and mostly language confidence. Lastly, the camp helped in setting career goals and was helpful in the preparation process of job seeking. Most of the subjects, the teaching assistants at camp, replied that the impact of camp experience is useful in current studies/career. In conclusion, the experience as camp teaching assistant is valuable in many aspects.

  • PDF

IT 멘토링 사업참여자들의 산학협력 만족도 영향분석 (How do IT Mentoring Program Participants affect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Satisfaction?)

  • 이중만;신성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1호
    • /
    • pp.39-4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정보통신분야에 있어서 멘토링 사업의 참여자인 멘토의 역량과 충실성, 학생(멘티)의 참여도, 지도교수의 관심도에 따라 산업협력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해 가설검증을 하였다.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첫째, IT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멘토의 역량과 충실성이 높을수록 IT멘토링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W나 HW분야에 관계없이 모두 IT 멘토링 프로그램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부지원여부에 관계없이 산업체 전문가인 IT멘토의 역할이 산학협력에 있어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부지원을 받지 않는 경우에는 학생의 참여도나 교수의 관심도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지향성과 창업지원프로그램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f Entrepreneurial Intention on Career Orientation and Entrepreneurial Support Programs)

  • 유연호;양동우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9-80
    • /
    • 2008
  • 본 연구는 창업의지의 영향요인으로서 경력지향성과 창업지원프로그램 참가로서 창업지원프로그램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통해 연구모형을 구축하고 정립된 연구가설을 중소기업청의 지원(2006년 기준)으로 창업강좌가 개설된 대학교와 개설되지 않은 대학교를 서울과 지방 그리고 경상계열과 공학계열로 나누어 실증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지향성은 창업지원프로그램 참가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력지향성 중에서 자율지향성, 기술지향성, 관리지향성, 사업지향성은 창업의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고, 안정지향성은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셋째, 창업지원프로그램 참가는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다문화 멘토의 역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ulticultural Mentor's Capacity)

  • 박미숙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879-88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멘토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을 탐색하고 이를 통해 멘토 역량 중진을 위한 교육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기간은 2016년 6월부터 2016년 9월까지이며 다문화멘토링에 1년 이상 참여한 멘토 10명에게 자신이 다문화멘토링에 참여한 결과 다문화멘토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에 대하여 심층인터뷰한 후 전사하여 교육적, 심리적, 사회적, 문화적 역량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멘토가 갖추어야 할 학습적 역량은 멘티를 가르칠 수 있는 지적능력과 교수스킬이다. 둘째, 심리적 역량은 멘티의 말을 경청하려는 자세와 이를 상담할 수 있는 스킬이다. 셋째 사회적 역량은 대화 능력과 의사소통 기술, 그리고 책임감이다. 넷째, 문화적 역량은 다양성을 인정해주고 멘티의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다. 이를 바탕으로 멘토의 역량을 높일 수 있는 교육방안은 첫째, 멘토링 투입 전에 멘토의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멘토링을 통한 멘토들의 자기성찰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자리를 제공한다. 셋째, 멘토들에게 주기적인 상담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멘토의 역량에 중요성을 인식하고 멘토링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당구 선수들의 참여 동기에 관한 연구 (Analysis on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of Billiard Players)

  • 박지수;최재원;강성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369-37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당구경기에 참여하는 당구선수들을 대상으로 참여 동기를 개방형 질문지를 통하여 심층적으로 규명하고, 연령과 경력에 따른 당구경기 참여 동기 차이점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경기도 소재 당구선수 267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지를 통하여 참여 동기에 대한 696개의 원자료를 획득하여 귀납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당구선수의 당구경기 참여 동기는 재미, 목표성취동기, 경쟁, 대인관계, 정신건강, 직업, 도박, 스포츠 유능감, 주요타자의 권유, 대학진학의 10가지 일반영역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연구대상의 연령에 따른 당구 경기 참여 동기는 모든 연령대에서 재미 영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경력에 따른 당구경기 참여 동기는 5년 미만은 재미영역에 대한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5년 이상은 목표성취동기영역이 가장 높은 반응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당구선수들이 당구경기에 참여하는 관계를 이해하고 나아가 올바른 당구 경기 문화를 창달하는데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