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Children's Moral Emotions on Social Competence : Focusing on Empathy, and Sympathy

유아의 도덕적 정서가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공감과 동정심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5.08.15
  • Accepted : 2016.02.04
  • Published : 2016.02.29

Abstract

This study seeks to analyze how children's moral emotions affect their social competence. Moral emotions focus on empathy and sympath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offer basic data for establishing both amoral and emotional educational program.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involve 182 children(either 4 or 5 year olds) that have lived in Korea.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have yielded some interesting results. First, it is found that children's empathy and sympathy are dependent on children's age and their fathers' educational level; as a result, increasing the age of the children and their fathers' educational level are found to increase empathy and sympathy. Secondly, both empathy and sympathy scores are found to have correlation to the scores of positive reciprocity, cap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 on social competence. Sympathy scores increase with respect to the leadership scores of social competence. Lastly, children's empathy is a factor that affects positive reciprocity, cap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 and participation on social competence. Their sympathy affects leadership on social compet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trengthening the empathy and sympathy levels of children could partially enhance their social competence.

본 연구는 유아의 도덕적 정서가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공감과 동정심을 중심으로 파악하여, 유아기 도덕교육 및 정서교육 프로그램의 기초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개인 및 부모변인에 따른 유아의 도덕적 정서(공감, 동정심)는 유아의 연령과 아버지의 학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유아의 공감과 동정심은 사회적 유능성의 긍정적 상호작용, 유능성, 대인 행동과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유아의 동정심은 사회적 유능성의 지도성과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공감은 사회적 유능성의 긍정적 상호작용, 유능성, 대인 행동, 활동 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유아의 동정심은 지도성에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만4, 5세 유아의 도덕적 정서(공감, 동정심)를 강화하는 것은 부분적으로 사회적 유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 받을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구재선, 김혜리, 양혜영, 김경미, 정명숙, 이수미, 최현옥 (2008). 중학생의 마음이해 능력과 사회적 상호 작용.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2(2), 17-33.
  2. 김경미, 김혜리, 정명숙, 양혜영, 구재선 (2008). 유치원 아동의 마음이론과 사회적 능력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1(3), 21-39.
  3. 김광웅, 조유진, 홍기묵 (2005). 심리적 성장환경이 청소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공감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12(3), 1-13.
  4. 김용환 (2003). 공감과 연민의 감정의 도덕적 함의. 한국철학회, 76, 155-180.
  5. 김진아, 엄정애 (2006).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 도덕적 감정과 도덕적 행동의 관계. 아동학회지, 27(2), 85-100.
  6. 김태훈 (2013). 도덕적 정서의 성격과 종류에 관한 연구. 도덕윤리과교육, 38, 81-98.
  7. 김해주 (2013). 기질과 공감능력이 유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향미 (2010). 유아의 공감능력 및 언어표현능력 수준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현숙 (2012). 유아의 마음읽기.공감하기와 또래 인기도 간의 관계.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성희 (1996). 공감의 구성요소와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연구. 교육학연구, 34(5), 143-166.
  11. 신건호 (2003). 아버지의 특성과 인간지향적 부모자녀 관계가 자녀의 공감에 미치는 영향. 강남대학교 논문집, 42, 1-20.
  12. 연진영 (1987). 아동의 공감발달과 관련 변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유연경, 유미숙 (2012). 성별에 따른 아동의 공감능력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연구, 25(1), 17-32.
  14. 윤지영, 이용주 (2006). 유아의 정서지능이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연구, 3(1), 146-159.
  15. 이성진 (2005). 학령기 아동의 공감능력과 또래수용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이윤옥 (2003). 교사용 유아의 사회적 능력 평가척도 타당화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7(1), 141-167.
  17. 이인재 (2003). 도덕적인 삶을 위한 감정의 역할과 감정교육에 관한 연구. 윤리연구, 54(3), 167-207.
  18. 이지연, 곽금주 (2010). 5세 아동의 정서조절과 공감의 예언변인들: 종단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3(1), 85-102.
  19. 장미선, 문혁준 (2004). 유아의 공감에 관련된 변인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2(9), 53-66.
  20. 장영주 (2013). 캐서린 부스의 '교감신학' 연구-이은선의 '한국생물여성영성 신학'의 관점에서. 감리교신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전은정 (2009). 아동의 공감능력 및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유능성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정옥분 (2007). 발달심리학, 전생애 인간발달. 서울: 학지사.
  23. 조은진 (1993). 유아의 감정이입과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 연구의 개념적, 방법론적 문제 분석. 아동학회지, 14(2). 137-147.
  24. 조한익, 이미화 (2010). 공감능력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친사회적 행동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17(11). 140-159.
  25. 조효진, 손난희 (2006). 공감능력과 이타행동. 상담학연구, 7(1). 1-9.
  26. 최미숙 (2010).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의 발달 특징 및 공감능력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5(6), 255-271.
  27. 최양미, 이태섭, 김보현 (2014). 또래 인기도에 따른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 도덕적 정서 및 도덕적 행동의 차이 연구. 유아교육연구, 34(2). 49-75.
  28. 칸트사전 (2015). 도덕적 정서.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12685&cid=41908&categoryId=41954에서 2015년 10월 5일 인출.
  29. 하수경, 노희정 (2014). 초등 도덕교과에서의 감정교육 방법. 초등도덕교육, 44, 433-456.
  30. 한규령 (2005). 유아의 또래 관계 증진을 위한 신체 활동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검증,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헨리 나웬, 도날드 맥네일, 더글라스 모리슨 (1976). 동정심: 영적 지도력의 핵심. 사목연구, 2, 203-217.
  32. 홍기묵 (2005). 청소년의 공감능력과 사회적 유능성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Bednersh, F., & Peck, C. A. (1986). Assessing social environments : Effect of peer characteristics on the social behavior of children with severe handicaps. Child Study Journal, 16, 315-329.
  34. Baron-Cohen, S., & Wheelwright, S. (2004). The empathy quotient: an investigation of adults with Aspager's syndrome or high functioning autism, and normal sex differences. Journal of Autism & Developmental Disorders, 34(2), 163-175. https://doi.org/10.1023/B:JADD.0000022607.19833.00
  35. Buhrmester, D., Furman, W., Wittenberg, M. T., & Reis, H. T. (1988). Five domain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in peer relationshi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5(6), 991-1008. https://doi.org/10.1037/0022-3514.55.6.991
  36. Eisenberg, N., & Fabes, R. A. (1991). Prosocial behavior and empathy: A multimethod, developmental perspective. In Clark, M.(Ed.), Review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pp. 34-61). CA: Sage, Newbury Park.
  37. Feshbach, N. D., & Roe, K. (1968). Empathy in sex and seven year old. Child Development, 39, 133-145. https://doi.org/10.2307/1127365
  38. Hoffman, M. L. (2001). Empathy and moral development: Implications for caring and justic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39. Huges, R., Tingle, B. A., & Sawin, D. B. (1981). Development of empathic understanding in children. Child Development, 52, 122-128. https://doi.org/10.2307/1129221
  40. Katz, L. G., & McCellan, D. E. (1997). Fosteri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 The teacher's role. NAEYC Research into Practice Series, 8. Michigan: NAEYC.
  41. Malti, T., Eisenberg, N., Kim, H., & Buchmann, M. (2013).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Sympathy, Moral Emotion Attributions, and Moral Reasoning: The Role of Parental Support. Social Development, 22(4), 773-793. https://doi.org/10.1111/sode.12031
  42. Malti, T., Gummerum, M., Keller, M., & Buchmann, M. (2009). Children's Moral Motivation, Sympathy, and Prosocial Behavior. Child development, 80(2), 442-460. https://doi.org/10.1111/j.1467-8624.2009.01271.x
  43. Martha C. N., 오병선 (2008). Compassion: Human and Animal. 서강법학연구, 10(2), 201-231.
  44. Michalik, N. M., Eisenberg, N., Spinrad, T. L., Ladd, B., Thompson, M. & Valiente, C. (2007). Longitudinal Relations Among Parental Emotional Expressivity and Sympathy and Prosocial Behavior in Adolescence. Social Development, 16(2), 286-309. https://doi.org/10.1111/j.1467-9507.2007.00385.x
  45. Paul, R. E., & Robert, O. (2012). Humanity On a Tightrope: Thoughts on Empathy, Family, and Big Changes for a Viable Future. 공감의 진화(고기탁 옮김). 서울: 에이도스(원판 2010).
  46. Pease, D., Clark, S. G., & Crase, S. J. (1979). Iowa social competency scales : school age and preschool manual. Iowa State Research Foundation, Inc.
  47. Rubin, K. H., & Schneider, F. W. (1973).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judgement, egocentrism, and altuistic behavior. Child Development, 44, 661-665. https://doi.org/10.2307/1128027
  48. Rose-Krasnor, L. (1977). The nature of social competence: A theoretical review. Social Development, 6, 111-135.
  49. Scheler, M. (2009). Wesen und Formen der Sympathie. 공감의 본질과 형식(이을상 옮김). 서울: 지식을 만드는 지식(원판 1973).
  50. Smith, A. (2009). The Theory of Moral Sentiments. 도덕 감정론(박세일, 민경국 옮김). 서울: 비봉출판사(원판 1996).
  51. Spinrad, T. L., Losoya, S. H., Eisenberg, R., Fabes, R. A., Shepard, S. A., Cumberland, A., Guthrie, I. K., & Murphy, B. C. (1999). The relations of parenal affect and encouragement to children's moral emotions and behavior. Journal of Moral Education, 28(3), 323-337. https://doi.org/10.1080/030572499103115
  52. Walker, L. J., & Taylor, J. H. (1991). Family Interactions and Development of Maral Reasoning, Child Development, 62(2), 264-283. https://doi.org/10.2307/1131002
  53. Wilson, J. (1989). Philosophical Issues in Moral Education and Development,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23(1), 129-133. https://doi.org/10.1111/j.1467-9752.1989.tb00632.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