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arents factor

검색결과 689건 처리시간 0.032초

청소년 게임중독의 보호요인으로서 청소년과 부모 및 학교·학원 교사와의 관계의 영향: 초·중·고 학교급별 비교분석 (The Effects of Adolescent's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School/institute Teachers as Protection Factors for Game Addiction: Comparative Analysi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Levels)

  • 송인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298-314
    • /
    • 2020
  • 본 연구는 청소년 게임중독의 보호요인으로서 청소년들이 맺고 있는 주요 성인들과의 관계요인이 게임중독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토하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부모와 학교 및 학원교사와의 관계가 초·중·고 학교급별로 청소년의 게임중독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을 비교분석하였다. '2019년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조사'(N=7,454)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성인관계는 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게임이 용행태 요인 그리고 친구관계 요인의 영향력을 통제한 후에도 청소년의 게임중독 수준을 설명하는 유의미한 요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초등학생의 경우 유일하게 모(母)와의 원만한 관계가 게임중독의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반면, 중학생과 고등학생은 부(父)와의 관계가 오히려 게임중독의 보호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청소년과 학교교사의 원만한 관계가 게임중독에 미치는 보호효과는 중학생 집단에서만 확인되었으며, 기대와 달리 학원교사와의 관계는 청소년의 게임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주요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 게임중독 예방 및 개입을 위한 프로그램 및 정책 개발을 위한 논의와 향후 관련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공하였다.

청소년의 시험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 환경적 요인 (FAMILY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EST ANXIETY IN ADOLESCENT)

  • 성종호;손인기;이영식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1권1호
    • /
    • pp.16-26
    • /
    • 2000
  • 연구목적:청소년의 시험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사회환경적 변인 연구의 후속 연구로서 시험 불안의 인지적요소, 감정적 요소와 가정환경 요소간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고자 학생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 법:서울 시내 8개 남녀 중고등학교 총 8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시험불안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Spielberger의 시험불안 목록(Test Anxiety Inventory)을 사용하였고, 가정환경적 요소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Moos와 Moos의 가정환경척도(Family Environmental Scale)를 사용하였다. 기타 사항은 저자들이 작성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결 과:1) 시험 불안의 총정 및 인지적 요소는 응집력 척도, 독립성 척도와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시험불안의 총점 및 인지, 감정적 요소 모두는 성취 지향성 척도, 조절성 척도와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2) 시험 불안이 높은 군은 낮은 군에 비해 성취 지향성 척도, 조절성 척도는 높고 응집력 척도는 낮았다. 3) 시험불안과 밀접히 연관된 상기 4가지 척도 중 조절성 척도를 제외한 세가지 척도(성취 지향성, 독립성 응집력)는 부모의 학력, 경제력이 높을수록 높은점수를 보였다. 결 론:따라서 부모는 아이의 능력에 맞는 성취지향성 목표를 설정하여야 하며, 자녀에 대한 과도한 통제나 조절보다는 독립성을 고취시켜야하며, 가정내 구성원간의 갈등이 없는 응집력을 보여야 하겠다.

  • PDF

개인.가족.학교관련 변인이 중학생의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Related Variables on the Maturity of Career Attitudes in Middle School Students)

  • 이은정;장윤옥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6권5호
    • /
    • pp.355-376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that had an effect on the maturity of career attitude in middle school students. Independent variabl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individual-related variables, family-related variables, and school-related variables. The individual-related variables were gender difference, academic year,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efficacy. The family-related variables were socio-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communication about career with parents, parental support, sibling's support, and value orientation of the family. The school-related variables included communication about career with friends, teacher's support, and friend's suppor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90 students who were selected at random from first, second, and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in Daegu. A questionnaire was used for the survey. It consisted of a career attitude maturity scale, a self-efficacy scale, a communication scale, a value orientation of the family scale, and a social support scale. The data was analyzed by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among the individual-related variables that had an effect on the maturity of career attitude in middle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affected all sub-factors of how mature they were in matters relating to career. Academic achievement affected decisiveness and preparation-- maturity of career attitude subfactors. And gender difference and academic year affected preparation and goal orientation. Second, the results of the family-related variables that had an effect on the maturity of career attitudes in middle school students were that communication about career with parents affected decisiveness, preparation, and confidence-- maturity of career attitude sub-factors, socio-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and sibling's support affected confidence. And value orientation of the family affected goal orientation and independence. Third, the results of the school-related variables that had an effect on the maturity of career attitude in middle school students were that communication about career with friends affected preparation-- a maturity of career attitude sub-factor; teacher's support affected decisiveness, preparation, and confidence; and friend's support affected confidence and independence. Fourth, decisiveness, preparation, and confidence among the maturity of career attitude sub-factors were affected the most by individual variables. And self-efficacy was the most significant. Goal orientation and independence were affected the most by family-related variables.

한국 건고추 개화소요일수의 유전 분석 (Genetic Analysis of Days to Flowering in Korean Hot Pepper)

  • 소재우;이용범;남상용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1호
    • /
    • pp.89-94
    • /
    • 2013
  • 본 시험은 한국 고추 육종에 사용되고 있는 교배친에 있어서의 개화소요일수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유전가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조생계 '#2132'($P_1$)과 중만생계 '#1308'($P_2$)의 두 교배친과 이들의 $F_1$, $F_2$ 세대를 본 시험의 공시재료로 사용하였다. Thseng and Hosokawa(1971, 1972)의 partitioning method에 따라 $F_2$ 세대로부터 양친의 유효인자수를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였는데, A:a와 B:b 두 인자에 의해 구분되었다. 공시한 교배친의 개화일 유전 특성은 $F_1$ 세대는 빠른 교배친보다 더 빠르고, $F_2$ 세대는 양친의 개화기보다 더 빠르거나 늦은 개체들이 출현하여 $F_1$ 세대는 초우성, $F_2$ 세대에서는 초월 분리가 나타났다. 유효 유전자에 의해 개화기가 단축되는 것은 A-a 유전자에 의해 13.81일, B-b 유전자에 의해 6.73일이 짧아졌다. 두 유전 인자간 간섭효과는 5.26일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알레르기성 질환과 관련된 사회경제적 및 사회인구학적 요인: 제14차 한국청소년건강행태조사를 기반으로 (Socioeconomic and Sociodemographic Factors related to Allergic Diseases in Korean adolescents based on the 14th Korean Youth Risk Behavior Survey)

  • 김봉희;김해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494-502
    • /
    • 2019
  • 본 많은 연구에서 알레르기성 질환과 사회경제적 및 사회인구학적 변수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들 변수가 한국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한국 청소년의 알레르기성 질환에 대한 사회경제적 및 사회인구학적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예방 및 관리 하기 위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2018년 한국청소년건강행태조사를 기반으로 60,040명 청소년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사회경제적 및 사회인구학적 변수는 익명으로 관리되는 온라인 설문 조사를 통해 수행되었고, 알레르기성 질환은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 피부염이 포함되었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한 복합표본분석이 사용되었다. 낮은 경제적 수준, 어머니와 동거, 부모의 높은 교육수준, 높은 학업성적, 성별, 비만, 음주경험 및 흡연 경험 등이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 피부염과 관련이 있었다. 낮은 사회경제적 수준과 건강에 해로운 행동은 알레르기성 질환의 위험요인 이었다. 그러므로 지역사회의 균형적 경제성장과 함께 청소년의 해로운 건강행태를 통제하는 것은 한국 청소년의 알레르기성 질환의 유병률 감소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한국형 부모의 식사 중 행동척도(K-PMAS)의 표준화 연구 (A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arent Mealtime Action Scale)

  • 정경미;이수진
    • 한국심리학회지ㆍ건강
    • /
    • 제19권3호
    • /
    • pp.711-72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Hendy 등(2009)이 개발한 부모의 식사 중 행동평가 척도(Parent Mealtime Action Scale)의 표준화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만 1-11세 정상발달 아동의 부모(N=887)를 대상으로 번안된 PMAS와 K-CEBI를 실시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위해 이들 중 일부에게 재검사(N=45)를 실시하였다. 또한 발달장애아동의 양육자 116명을 대상으로 PMAS를 실시하여 변별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한국형 부모의 식사 중 행동척도(PMAS)는 8요인구조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간식제한, 섭취주장, 과일채소 섭취, 긍정적 설득, 보상사용, 부모의 간식섭취, 음식의 다양성, 저지방식). K-PMAS는 유의한 수준의 내적 합치도 및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보고하였고, K-CEBI와의 상관분석 및 발달장애 아동을 둔 부모 집단과의 차이를 통해 아동의 체중 및 식습관에 영향을 주는 부모의 식사 중 행동을 측정하기에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임이 증명되었다. 일원변량분석 결과 아동의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아동의 연령에 따른 부모의 식사 중 행동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드러나 이를 반영한 규준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연구적, 임상적 함의 및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한국형 보육교사 직무만족척도개발을 위한 타당화 예비연구 (Preliminary Study for Validation of Development of Korea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Scale)

  • 조성연;백은주;김혜금;권연희;정지나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5호
    • /
    • pp.89-100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Korea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Scale"(KCTJSS) and to evaluate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KCTJSS was 72 items and 6 point Likert scale. Participants consisted of 211 childcare teachers by purposive sampling.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sulted in 40 items composed of 6 factors : The principal's childcare center operation system, working environments and welfare, social recognition, amount of work and time management, relationships with co-workers, relationships with parents. Secon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a 6 factor structure. Third, Criterion-related validity was confirmed by significant correlations of the present scale with Early Childhood Job Satisfaction Survey(Jorde-Bloom, 1989). Fourth, the reliability of factors using Cronbach's ${\alpha}$ appeared high, ranging from .83 to .93.

성장에 대한 유전적.환경적 요인의 영향 (Effect of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Growth)

  • 최민형;김덕곤;이진용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38-149
    • /
    • 2010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which can effect growth, and predict final height using this factors. Method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between measurements of height and Genetic & environmental factors through survey from 1352 child & adolescent patients. Results: Factors which have correlation with height percentile are MPH(Mid-Parental Height), NBW(Neonatal body weight), anorexia, dyspepsia, atopic dermatitis, frequency of breakfast and quality of sleeping time. MPH has moderate relation, NBW and anorexia have fair relation, and other factors have linear but poor relation. Regression equation from factors which have correlation and height percentile has 26.9% of predictive power. Regression equation considering only genetic factor has 20.4%. MPH has the most effect on height percentile. Anorexia has more effect than NBW. Other factors also have small and similar effect. Conclusions: Height of parents has the most effect on growth, anorexia, dyspepsia, atopic dermatitis, frequency of breakfast and quality of sleeping time also has effect.

A Study on the Cognitive Potential of Pre-school Children with AR Collaborative TUI

  • Deng, Qianrong;Cho, Dong-min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649-659
    • /
    • 2022
  •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pre-school children's psychological perception is ease of learning, and the closest measure is "natural" interaction.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otential of tangible user interfaces (TUI) for AR collaboration for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The conceptual model is constructed by analyzing physical interaction, spatial perception and social collaboration on the usability of TUI, to explore the role of TUI in pre-school children's cognition. In the empirical study, children aged 3-6 were taken as research objects. The experimental tool is "Plugo" education application. Parents answered questionnaires after observing their children's use. Research shows that physical interaction are the most critical factor in TUI. TUI is beneficial to the cultivation of spatial abil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Cronbach's Alpha and KMO were 0.921 and 0.965, which were significant and pass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2.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odel fit index, combinatorial validity), we found that physical interaction were closely related to usability. 3. The path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proves that usability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ultivation of pre-school children's spatial ability.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부모와의 관계, 친구관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esteem,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Peer Relationships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 임수경;이형실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69-183
    • /
    • 2007
  • 본 연구는 중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남녀 청소년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살펴보고, 관련 요인이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경기도 구리시에 거주하고 있는 중학교 2학년의 9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후 874(남 557명, 여 317명)의 설문 자료를 최종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생활적응 하위영역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학교교사적응, 학교친구적응, 학교수업적응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교환경적응에서는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생활적응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관련 요인의 차이를 살펴보면 학교생활적응, 자아존중감, 부모와의 관계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친구관계에 있어서는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친구관계에 있어서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관련 요인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살펴보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높은 집단에서, 그리고 부모 및 친구와의 관계가 좋은 집단에서 학교생활적응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관련 요인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친구관계가 좋을수록, 부모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의 경우 다른 요인보다 친구관계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학생의 경우에는 다른 요인보다 부모와의 관계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머물러 있어 구체적인 개선방안으로 교육과정의 내용을 조망하는 시각으로 이해하여 실제적 인 교육현장에서의 적용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복합지식 또는 이해와 적용'의 행동영역을 제안하였다. 가정과교수학습법 문항의 행동영역은 대체로 '복합지식 또는 이해와 적용'으로 나타났으나 좀 더 발전적인 문항의 개선방안으로 특정 교수 학습법에 대한 개념과 원리의 이해만을 요하는 문항의 행동영역에서 좀 더 실제적인 수업상황에서 교수학습이론을 폭넓게 적용하는 '적용' 능력을 좀 더 요하는 문항의 행동영역을 제안하였다. 가정과교육평가 문항의 행동영역 역시 대체로 '복합지식 또는 이해와 적용'을 요하는 문항의 행동영역이라고 볼 수 있으나 좀 더 발전적인 문항으로의 개선방안으로 이론적인 내용의 '이해'만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의 행동영역에서 가정과의 실제 수행평가 상황에 맞는 평가도구를 찾아 제작하고 활용할 수 있는 '적용' 능력을 요하는 문항의 행동영역을 제안하였다. 다섯째, 가정교과교육학 문항내용의 포괄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정과교육과정 문항내용은 제7차 교육과정 문서상에 표면적으로 제시된 내용에 한정되어 있어 구체적인 개선방안으로 교육과정의 철학적 이론적 배경, 다양한 교육과정 원리를 활용하는 문항내용 등과 같이 좀 더 이론적이고 원론적인 내용으로의 확대를 제안하였다. 가정과교수학습법 문항내용은 특정 교수학습모형에 관련된 지식을 묻는 내용으로 주로 출제되었다. 이에 구체적인 개선방안으로 특정 교수학습모형의 이론적 토대가 되고 전체적인 교수설계를 하기 위한 기본 바탕이 될 수 있는 교수학습이론에 관한 내용, 또한 현재가정과교육에 있어서 유용한 교수학습법이라고 입증되고 있는 실천적 추론 가정과 수업에 관한 내용으로의 확대를 제안하였다. 가정과교육평가 문항의 출제는 대다수의 문항이 수행평가에 관한 문항내용으로 출제되었다. 이에 구체적인 개선방안으로 문항의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