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MILY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EST ANXIETY IN ADOLESCENT

청소년의 시험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 환경적 요인

  • Sung, Jong-Ho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Chung Ang University) ;
  • Sohn, In-Ki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DognGuk University) ;
  • Lee, Young-Sik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Chung Ang University)
  • 성종호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손인기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이영식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Published : 2000.06.30

Abstract

Objectives:This study was done as a part of investigating individual and socio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est anxiety in adolescent. The focusing of this study was detecting specific family enviromental factors affecting worry and emotionality of test anxiety. Methods: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8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 To evaluate test anxiety level, Spielberger's Test Anxiety Inventory was applied and to evaluate familial factor, Moos and Moos' Family Environmental Scale was done. Results: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otal and worry part of test anxiety scor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cohesion and independence scores. Total, worry, and emotional part of test anxiety scor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chievement orientation and control scores. 2) High test anxiety group showed higher achievement orientation and control scores, and lower cohesion scores than low test anxiety group. 3) The higher socioeducational level of parents were, the higher three subscale (cohesion, independence, and achievement orientation) scores were, except control score. Conclusion:In therapeutic approach of adolescent's test anxiety, the importance of education and treatment of their parents should be emphasized. Parents should set their children's appropriate achievement goal, encourage their children's independency instead of control. Cohesion of familial members are also needed.

연구목적:청소년의 시험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사회환경적 변인 연구의 후속 연구로서 시험 불안의 인지적요소, 감정적 요소와 가정환경 요소간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고자 학생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 법:서울 시내 8개 남녀 중고등학교 총 8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시험불안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Spielberger의 시험불안 목록(Test Anxiety Inventory)을 사용하였고, 가정환경적 요소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Moos와 Moos의 가정환경척도(Family Environmental Scale)를 사용하였다. 기타 사항은 저자들이 작성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결 과:1) 시험 불안의 총정 및 인지적 요소는 응집력 척도, 독립성 척도와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시험불안의 총점 및 인지, 감정적 요소 모두는 성취 지향성 척도, 조절성 척도와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2) 시험 불안이 높은 군은 낮은 군에 비해 성취 지향성 척도, 조절성 척도는 높고 응집력 척도는 낮았다. 3) 시험불안과 밀접히 연관된 상기 4가지 척도 중 조절성 척도를 제외한 세가지 척도(성취 지향성, 독립성 응집력)는 부모의 학력, 경제력이 높을수록 높은점수를 보였다. 결 론:따라서 부모는 아이의 능력에 맞는 성취지향성 목표를 설정하여야 하며, 자녀에 대한 과도한 통제나 조절보다는 독립성을 고취시켜야하며, 가정내 구성원간의 갈등이 없는 응집력을 보여야 하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