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ental trust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9초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과학태도와 신뢰도가 아동의 과학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Influences of Parental Science Attitudes and Trust Perceived by Children on Their Science Self-Efficacy)

  • 강버들;유병길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3호
    • /
    • pp.870-878
    • /
    • 2015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influences of parental science attitudes and trust perceived by children on their science self-efficacy. In o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a quantitative research was carried out for elementary gifted and general students using correlation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children's science self-efficac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arental science attitudes and trust perceived by both gifted and general children. Secondly, in the case of gifted children, their science self-efficacy was meaningfully affected by mother's trust, mother's science attitudes, and father's science attitudes perceived by them in that order. On the order hand, general children's science self-efficacy meaningfully affected by mother's trust and mother's science attitudes perceived by them.

학부모의 자녀교육노력이 학교 신뢰와 지역교육만족을 매개로 교사 신뢰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arents' Educational Effort on Teacher Confidence Mediated by School Trust and Local Education Satisfaction)

  • 이종익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416-423
    • /
    • 2020
  • 본 연구는 서울지역 초, 중학교에 재학 중인 자녀를 둔 학부모를 대상으로 학부모의 자녀교육노력이 교사신뢰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고, 학부모의 자녀교육노력이 교사신뢰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부모의 학교신뢰와 지역교육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학부모의 자녀교육노력은 교사신뢰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부모의 자녀교육노력과 교사신뢰 관계에서 학교신뢰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부모의 자녀교육노력이 교사신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학교신뢰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교사신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학부모의 자녀교육노력과 교사신뢰 관계에서 지역교육만족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부모의 자녀교육노력이 교사신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지역교육만족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교사신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복지적 측면에서의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저소득층 가정 아동.청소년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자아관련 변수와 부모관련 변수의 분석 (The Influence of Self-Related & Parental Factors on the Depression of Adolescents from a Low Social Economic Status Background)

  • 문지혜;윤혜경;박혜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57-66
    • /
    • 201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elf-related and parental factors that influence depression in 204 adolescents from a low social economic status background. The self-related factors were self-trust and emotional regulation, and the parental factors were parental concern and domestic violence. The results showed that girls were more likely to be depressive, but had better emotional regulations and a closer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than boy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ge groups with respect to parental concern, self-trust and emotion regulation. It was also found by regression analyses that girls' depression was predicted by both emotional regulation and parental concern while boys' depression was predicted only by self-trust. The finding suggested that intervention for boys' depression has to focus more on intrapersonal factors, but should emphasize interpersonal factors for girls.

성별에 따라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방임학대와 또래애착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rceived Parental Abuse and Neglect and Peer Attachment on School Life Adjustment according to Children's Gender)

  • 김혜금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2권1호
    • /
    • pp.11-19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perceived parental neglect and abuse and peer attachment on school life adjustment according to children's gender. A total of 2,264 5th graders from the second Korea Child-Adolescent Panel Survey particip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boys had higher parental neglect and abuse scores than the girls, while the girls had higher peer attachment scores and higher school life adjustment scores than the boys. Second, every sub-element of school life adjustment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parental neglect and abuse regardless of the children's gender. Every sub-element of school life adjustment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communication' and 'trust' sub-elements of peer attachment regardless of the children's gender. In the case of the boys, the 'study activity' and 'peer relation' sub-elements of school life adjustment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alienation' sub-element of peer attachment. For the girls, every sub-element of school life adjustment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alienation sub-element of peer attachment. Finally, the factors of 'parental neglect and abuse', and the peer attachment sub-elements of 'communication', and 'trust' significantly predicted the boys' school life adjustment, while for girls, the significant predictors were 'parental neglect and abuse', 'communication', 'trust', and 'alienation'.

부모 애착, 학습에 대한 부모참여가 아동의 미래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Parental Attachment, The Impact of Parental Involvement in Learning on a Child's Perception of The Future)

  • 정영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161-16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 애착, 학습에 대한 부모참여, 아동의 미래에 대한 인식 간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각 변인들이 아동의 미래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아동의 미래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었다. 한국아동패널 12차년도(2019년) 자료를 대상으로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석을 하였고, 변수간의 상관분석을 위해 Pearson's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아동의 미래에 대한 인식에 관한 부모 애착, 학습에 대한 부모참여의 설명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 애착, 학습에 대한 부모참여, 아동의 미래 인식의 모든 잠재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미래에 대한 인식에 관한 설명력은 '모' 신뢰감, '가정' 기반 참여, '부' 신뢰감, '모' 의사소통 순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아동이 미래를 긍정적으로 인식 하는데 있어 부모의 신뢰와 온화하고 따스한 분위기의 가정 기반 학습 참여가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아동이 지각한 부모애착, 부모의 행복감이 아동의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ildren's Perceived Parental Attachment and Parents' Happiness on Children's Autonomy)

  • 정영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95-100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이 지각한 부모애착, 부모의 행복감, 아동의 자율성 간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부모애착과 부모의 행복감이 아동의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한국아동패널 12차년도(2019년) 자료를 대상으로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석을 하였고, 변인간의 상관분석을 위해 Pearson's의 적률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아동의 자율성에 관해 부모애착과 부모의 행복감의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부모의 행복감, 아동의 자율성은 모두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 애착의 하위 변인 중에서는 모 신뢰감, 부 신뢰감, 모 의사소통이 영향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드러났고, 부모 행복감에서는 모 행복감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 애착이 부모 행복감보다 더 중요한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우리는 아동이 능동적이고 주도적인 선택과 결정을 통해 삶의 만족감을 얻을 수 있도록 부모와 더욱 친밀하고 안정적인 관계 속에서 아동을 지지해 나갈 수 있도록 끊임없는 관심과 노력이 요구된다.

과학 자기 효능감과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과학 태도 및 신뢰도에 대한 영재아와 일반아의 비교 (A Study on Parental Science Attitude and Trust Perceived by Gifted and General Students, and Science Self-Efficacy)

  • 김혜민;유병길;강버들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2호
    • /
    • pp.505-515
    • /
    • 2015
  • This study aimed at identifying the differences between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in parental attitude toward science and trust perceived by them and their science self-efficacy. To achieve this purpose, a quantitative research was carried out for elementary gifted and general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Gifted students recognized more positively their parents' attitude toward science than general students, and both of groups perceived more positively their mothers' than fathers'. Secondly, Parents' trust by gifted students was perceived more positively than by general students, but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fathers and mothers. Thirdly, The average of science self-efficacy for gifted students was statistically meaningfully higher than for general students.

중학생들의 부모애착과 진로성숙도의 관계분석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Career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 정경화;김기승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475-482
    • /
    • 2018
  • 이 논문은 중학생의 개인특성에 따른 부모애착 관계와 부모애착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충남 아산에 위치한 00중학교 1-3학년 학생이다. 개인특성은 성, 학년, 성적, 부모의 학력, 경제수준이며, 부모애착은 상호신뢰, 소외, 의사소통 이다. 진로성숙도는 결정성, 목적성, 준비성, 독립성, 확신성으로 분류하였다. 연구결과 개인특성에 따른 부모애착의 관계에서는 성, 성적, 부모학력, 경제수준의 요인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부모 중에 모의 애착에서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더 높게 나타나 성별의 차이를 보였으며, 성적은 부모 모두에서 부모의 성적이 높을수록 애착이 높게 나타났고, 경제수준은 부모 중에 부에서만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애착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부모애착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소외는 부모 중에 부에게서만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호신뢰와 의사소통은 모두 부모 중에 모에서만 정(+)적으로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성숙도의 하위변인 중 확신성을 뺀 결정성, 목적성, 준비성, 독립성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결정성은 모의 의사소통이 목적성은 모의 상호신뢰가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고 준비성은 부의 상호신뢰와 모의 의사소통에서 독립성은 부의 부(-)적 소외와 모의 정(+)적 상호신뢰가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시기 중에 사춘기를 겪는 중학생들의 부모와의 관계 진로성숙에 대한 행동심리를 이해할 수 있는 참고자료가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단 특정 지역과 소수의 중학생을 표본으로 진행한 연구라는 한계점이 있다.

중학생, 고등학생 및 대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 영향요인 비교: 제7차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Comparison of Factors related to Smartphone Dependency among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Seventh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 이은지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5권2호
    • /
    • pp.165-174
    • /
    • 2019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s of factors including emotional problems, self-perception, parental behavior, and peer attachment with smartphone dependency (SD) among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Methods: This study used data from a nationwide sample of 1,882 middle school, 1,821 high school, and 1,346 college students who owned smartphones.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edictors of SD based on school level. Results: SD scores significantly differed across school levels. Female gender, more aggressive behavior, less ego-identity, and less monitoring parental behavior were linked to higher SD at all school levels. Less self-esteem and intrusive parental behavior were linked to SD in middle school students. In high school students, additional factors related to higher levels of SD were resilience, intrusive / inconsistent parental behavior, peer trust and alienation, and depression. Additionally, resilience, over-expectant parental behavior, and peer trust were linked to higher SD in college students.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SD and predictors of SD among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se findings, SD preven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stages of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부모 양육행동이 청소년의 감사성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renting Behaviors on Dispositional Gratitude of Adolescents)

  • 임정하;김주현;김현경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3권4호
    • /
    • pp.413-424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ing behaviors and dispositional gratitude of adolescent children in Korea. Participants consisted of 403 high school students from the Seoul and Gyeonggi areas. Dispositional gratitude of adolescents and parenting behaviors (including respect, lessons, attention, and lack of trust) were reported by adolesce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levels of parental lack of trust and maternal attention were different as a function of gender. Second, girls showed higher levels of dispositional gratitude than boys. Third, greater parental respect, lessons, and attention were linked to higher levels of dispositional gratitude of adolescent children; whereas lack of trust was linked to lower levels of dispositional gratitude. Fourth, paternal lessons was the most meaningful factor in explaining the level of dispositional gratitude in boys while maternal attention was the most meaningful factor in gir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arent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dispositional gratitude in adolescents. Differential parental roles were discussed to promote the level of dispositional gratitude for adolesc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