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ddy type

검색결과 345건 처리시간 0.033초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Weedy Rice in Kyonggi Region

  • Cho, Young-Cheol;Park, Jung-Soo;Park, Kyeong-Yeol;Kim, Hee-Dong;Rho, Young-Deok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54-258
    • /
    • 1998
  • Distribution and occurrence of weedy rice in Kyonggi region were surveyed in 1996. Weedy rice was observed in 1368 fields (54.9%) of total 2490 fields. Almost two thirds of paddy fields in northern mountainous region were contaminated by weedy rice and more severe contamination, three forths of paddy fields, was observed in suburban regions. In those regions, occurrence of weedy rice was greater than those in north-eastern inland and south-western plain regions. The occurrence of weedy rice was higher in water seeding cultivation (66.7%) than other cultivation methods. The number of weedy rice per 10a was 756.7 plants in direct seeding on dry paddy and 379.4 plants in water seeding. The occurrence of weedy rice was higher in fields planted by farmer's seeds than that of paddy fields cultivated by certified seeds, and the longer the farmer's seeds being used, the more weedy rice occurred in paddy field.

  • PDF

우리나라 잡초방제의 연구현황 (Status of Weed Control Research in Korea)

  • 이종훈;강병화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5-11
    • /
    • 1978
  • Since 1970, herbicides have been widely used in the crop production, especially in paddy field in Korea. In 1978, both preemergence and postemergence type herbicides are applied in the approximately 70% of total paddy field and 15% of upland to control weeds. Most herbicides control annual weeds effectively, but perennials have been problems in the paddy field. Under upland conditions, effectiveness of herbicides varies depending on many environmental conditions (soil moisture, soil physical properties, temperature, etc.) as well as uniform application of appropriate amounts of herbicides. In Korea, many research works have been concentrated on the screening of new herbicides in terms of herbicide effectiveness and yield or phytotoxicity of crops, and especially on the paddy field. However, physiological aspects of herbicidal action in plant and interaction of herbicides with the environments have not been studied approximately. Therefore, researches on the uptake of herbicides and the influence of herbicides on the physiological phenomena such as photosynthesis, respiration, nutrient uptake etc., to control troublesome perennial weeds in the paddy field are needed in future. Also some researches are needed to improve effectiveness of herbicirdes under upland conditions.

  • PDF

서울시 주요 습지유형별 생태적 특성 분석 (The Analysis of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Wetland Types in Seoul)

  • 이경재;권전오;이수동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4-55
    • /
    • 2003
  • 서울시의 대표적인 습지유형인 저수지형습지(송파구 방이동 습지)와 묵은논형습지(은평구 북한산성 입구 습지)에 대한 현장조사(현존식생, 식물상, 야생조류)를 실시하여 각각의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현존식생에 있어 저수지형습지는 개방수면이 넓고 추수(抽水)식물인 갈대의 분포가 넓은데 반해 묵은논형습지는 수심이 전반적으로 낮고 일정하기 때문에 개방수면이 협소하고 습생(濕生)식물인 고마리의 분포면적이 넓었다. 식물상에 있어서는 저수지형습지에서 42과 80속 86종 8변종 1품종 95종류가 조사되는데 이중 나도겨풀, 마름, 수련과 같은 부엽식물과 좀개구리밥과 같은 부유식물이 조사되었으나 묵은논형습지에서는 부엽식물과 부유식물이 조사되지 않았다. 그리고 묵은논형 습지에서는 35과 53속 57종 7변종 1품종 65종류가 조사되었다. 야생조류는 저수지형습지인 송파구 방이동 습지에서 28종 433개체가 조사되었으며 이중 서울시 보호종 6종 모두를 포함하여 산새와 물새가 고르게 관찰되었다. 묵은논형습지인 은평구 북한산성습지에서는 32종 365개체가 조사되었는데 이중 천연기념물 1종, 환경부 보호종 1종, 서울시 보호종 4종이 관찰되었다. 저수지형습지에서 대상지 전반에 걸쳐 관찰되었으나 묵은논형습지에서는 경계부 산림지역에서 주로 출현하였다 전체적으로 저수지형습지가 현존식생, 식물상, 야생조류가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저수지형습지의 지형구조가 다양함에 따라 식생유형과 동물상이 다양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POTENTIALS OF HULLING HIGH-MOISTURE PADDY

  • Pasikatan, M.C.;Manaligod, H.T.;Barredo, I.R.;Lantin, R.M.;Bell, M.A.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1996년도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gricultural Machinery Engineering Proceedings
    • /
    • pp.926-936
    • /
    • 1996
  • Field hulling of high-moisture paddy followed by brown rice drying offers many advantages over the present paddy harvesting and drying offers many advantages over the present paddy harvesting and drying system. We did a preliminary study of the parameters for efficient hulling of high-moisture paddy using the IRRI Centrifugal Huller and two India rice varieties. Hulling capacity , hulling efficiency , brown rice recovery and percent whole bown rice were generally best at the impeller peripheral speed of 44m/s. A second pass through the huller increased hulling capacity , brown rice revery and hulling efficiency, but reduced percent whole brown rice. To solve this , we recommed separation of paddy after hulling and aspiration such that only unhulled and partially -hulled grains will be fed back to the huller. Paddy at even 23% m.c. could be effectively hulled by the impeller-type huller , but the results were generally better at 14 to 17% m.c. Only in percent whole brown rice did the 17 to 23% m.c. range performed better than that of 14% m.c. Difference invarietal response to hulling was observed.

  • PDF

시뮬레이션에 의한 한국 논 토양의 경운저항 특성 (Draft Characteristics of Korea Paddy Field by Computer Simulation)

  • 이규승;박원엽;우상하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4권3호
    • /
    • pp.195-208
    • /
    • 1999
  • A computer simulation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draft characteristics of Korean paddy field for obtaining the basic reference to the selection of optimum moldboard type suitable for Korean paddy field conditions. Cylindrical, cylindroidal, semihelical moldboard plows, and one type of oriental Janggi were used for simulation. A series of soil bin experiments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xperimental results with the predicted drafts from computer simulation using the cylindroidal moldboard plow. The computer model predicted draft force with 1~12% error at 12~16cm plowing depth which is the most conventional plowing depth in the rural area in Korea. Thus, the computer model was considered to be good enough for simulation. Due to the different plowing width of experimental plows, specific draft was selected for comparison by computer simulations. Specific draft of cylindrical moldboard plow was ranged from 3 to 6 N/$\textrm{cm}^2$ according to the soil conditions, plowing speed and plowing depth, 2.5~3.0 N/$\textrm{cm}^2$ for semihelical moldboard plow.

  • PDF

원주시 우수비오톱 서식처 유형별 잠자리군집 특성 (Characteristics of Odonata Communities Based on Habitat Types of Superb Biotope in Wonju City, Korea)

  • 김지석;곽정인;노태환;이병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09-218
    • /
    • 2013
  • 서식처 유형에 따른 잠자리군집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원주시에 위치한 묵논습지, 자연형 저수지, 자연하천, 산림계곡의 4개 대표 비오톱 유형에 33개 조사구를 설치하여 2010년 6월, 8월, 10월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잠자리는 총 9과 38종이 확인되었다. TWINSPAN 분석을 통하여 4개 서식처 유형별 종 조성을 비교한 결과, 3개 서식처(묵논습지, 자연형 저수지, 산림계곡)는 뚜렷한 종 조성 차이를 보였으나, 자연하천은 뚜렷한 종 조성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서식처 유형별 우점종과 아우점종은 고추좀잠자리와 깃동잠자리가 대부분이었으나 등줄실잠자리, 산잠자리, 왕잠자리 등은 서식처 차이를 보였다. 서식처 유형별 종다양성지수는 묵논습지, 자연하천, 자연형 저수지에서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으며 산림계곡은 낮았다. 서식처 유형별 잠자리 산란유형은 묵논습지가 가장 다양하였으며, 식물체에 산란하는 잠자리 종류가 가장 많아 습생식물이 잠자리 풍부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회귀분석을 통하여 종간관계를 분석한 결과, 고추잠자리와 밀잠자리, 고추잠자리와 방울실잠자리, 배치레잠자리와 애기좀잠자리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상관관계가 높은 종간에도 선호하는 서식처에 차이가 존재하였다.

논 표면 탈립 벼 종자의 월동중 발아력변화와 월동후 포장 출현 및 생육 (Germinability during Overwintering, Field Emergence, and Growth of Shattered Rice Seeds on Paddy Field)

  • 송영주;권영립;오남기;고복래;황창주;박건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37-44
    • /
    • 1992
  • 벼 콤바인 수확답에서 탈립된 종자의 월동중 활성검정 및 품종별 탈립량에 따른 이형주 발생정도와 양상을 검토, 벼 종자 순도유지에 관한 기초자료로 활용코저 하였던바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탈립종자의 시기별 발아율은 일반형, 통일형 모두 경과시기가 길어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으며, 발아세의 경시적 변화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2. 조사시기에 따른 종자 단백질의 전기영동적 차이에 있어서 팔공벼, 삼강벼 공히 단백질 Band에 농ㆍ담의 차이가 있었다. 3. 생태형별 이형주 발생율은 일반형 품종이 통일형 품종에 비하여 이형주는 대비품종에 비해 초장, 주당경수, 엽장, 절간장, 수장 및 수당립수 등의 형질이 저하되는 경향이었다. 또한 1차 지경보다는 2차지경에서 저하율이 컸으며 수당 영화수에 대한 상관정도는 2차지경이 높았다. 4. 이형주 종자의 발아능력은 대비품종에 비해 대차가 없었고 종자수량에 있어서 일반형 품종이 평균 5.1kg /10a, 통일형 품종이 평균 0.9kg /10a 였으며, 생태형별 대비품종에 대한 혼입비율은 일반형 품종이 0.7%, 통일형 품종이 0.1% 정도였다.

  • PDF

농가포장에서 벼 이형주의 발생양상과 종실 특성 분포 (Occurrenc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Off-type Rice Plant in Farmer's Paddy Field)

  • 김동관;진일두;송동석;김용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70-175
    • /
    • 2001
  • 농가포장에서 발생하는 벼 이형주군별 발생포장 비율과 발생량 및 형질특성은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의 지역별 발생포장 비율은 남서부, 남동부, 중부지방 순 이었고, 발생량은 남부지방이 중부지방보다 많았다. 2. 우점 이형주군은 단립적미군, 극만생 불임군, 장립적미군 순이었고, 장립적미군은 전남과 경남, 극만생 불임군은 전북, 단립적미군은 나머지 지역에서 우점하였다. 3. 대부분 이형주군의 간장은 인근 농가의 재배벼보다 길었는데, 특히 장립적미군과 단립적미군이 길었다. 4. 수당 영화수는 이형주군이 재배벼보다 많은 경향이었는데, 특히 극만생 불임군과 장립메성군이 많았다. 그러나 이형주군들은 대체로 불임이 심했다.

  • PDF

정화논에 의한 벼 친환경재배단지 발생 영양염류 저감효과 (Effects of Purifying Rice Paddy in Reducing Nutrient Loadings from Rice Paddy fields area using Free Range Ducks and Rice Bran)

  • 고지연;이재생;우관식;서명철;강종래;송석보;오병근;정기열;윤을수;최경진;남민희;이영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32-139
    • /
    • 2010
  • To manage the effluent nutrients amounts from rice paddy fields using free range ducks or rice bran, we evaluated the effects of a purifying paddy field which is no fertilizer, no pesticides, and dense rice seedling having a concept of constructed wetland. The experimental paddy field was located at downstream in the watershed of ducks using rice culture area in Milyang. The purifying paddy of land design were treated with seeding method, and vegetation type. As land design, direct seeding on plane, and direct seeding on high-ridge field in 2007. Planting rice only, and planting rice with water hyacinth were treated as vegetation type in purifying paddy in 2008. The purifying paddy fields were effective to reduce amount of T-N and T-P contents in effluent to 33.2~45.3%, and 53.1~55.4%, respectively. The direct seeding on high-ridge treatment, having long residence time of effluent water was more effective than plane plot as T-N 0.29 $g^{-1}m^{-2}d^{-1}$, and T-P 0.031 $g^{-1}m^{-2}d^{-1}$. The planting rice with water hyacinth treatment was effective than planting rice only as T-N 0.23 $g^{-1}m^{-2}d^{-1}$, and T-P 0.049 $g^{-1}m^{-2}d^{-1}$. The optimum area of purifying paddy field to treats all effluent were found out 3.2~4.7% of rice culture area using free range ducks, and rice bran at upper stream.

답토양(畓土壤)의 부식(腐植)과 질소형태(窒素形態)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Humic Substances and Fractionations of Nitrogen in Paddy Soils)

  • 김영식;황광남;김원출;박문의;김광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39-244
    • /
    • 1986
  • 제주도(濟州道) 및 경기도(京畿道)를 제외(除外)한 전국농토배양답(全國農土培養畓)에서 비교적(比較的) 작물생산력이 높은 보통답토양(普通畓土壤) 7점(點)과 작물생산력이 낮은 사질답토양(砂質畓土壤) 7점(點)을 채취(採取)하여 부식(腐植)의 성상(性狀)과 질소(窒素)의 형태(型態)를 조사(調査), 비교(比較)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공시토양(供試土壤)의 Humus(Humic acid+Fulvic acid)의 양(量)은 665mg/100g 2680mg/100g의 수준(水準)이었으며, Humic acid는 보통답(普通畓) 평균치(平均値)가 1436mg/100g, 사질답(砂質畓) 평균치(平均値)는 970mg/100g이었다. 2. 웅전법(熊田法)에 의(依)한 부식산(腐植酸)이 분류형(分類型)은 B형(型), P형(型), RP형(型)에 분포(分布)되어 있었다. 3. 공시토양(供試土壤)의 무기태질소함량(無機態窒素含量)은 전질소함량(全窒素含量)의 1.04-2.86%였으며 사질답(砂質畓) 평균치(平均値)와 보통답(普通畓) 평균치(平均値)는 각각(各各) 1.72%, 1.75%였다. 4. 산가수분해(酸加水分解)에 의(依)한 유기태질소분별정량(有機態窒素分別定量) 결과(結果) 보통답(普通畓), 사질답토양(砂質畓土壤) 공(共)이 Amino산태질소(酸態窒素)가 가장 많았으며 사질답토양(砂質畓土壤)에서는 Amino산태질소(酸態窒素)가 31.52%, Humin태질소(態窒素) 20.63% Amino당태질소(糖態窒素)는 18.70%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