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VP K30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5초

$TiO_2/PVP$ 나노섬유의 제조 (Fabrication of axially aligned $TiO_2/PVP$ nanofibers)

  • 이세종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0-34
    • /
    • 2007
  • [ $TiO_2/PVP$ ] 나노섬유의 배열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콜렉터 접지방법을 변화시키면서 전기방사하였다. 한축방향의 배열을 가진 섬유를 만들기 위하여 두개의 전도성 기판을 콜렉터로 사용하여 전기방사하였다. 또한, 두축방향의 섬유배열을 하기 위하여 $90^{\circ}$ 각도로 배치된 콜렉터를 타이머로 조절하면서 방사하였다. 전기방사 시 나노섬유는 콜렉터 전극사이에서 전기장 효과에 의해 퍼지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실험결과, 후자의 $TiO_2/PVP$ 나노섬유 경우 콜렉터에 정체된 전하의 해소로 인하여 방향성에 더 효과적이었다.

아세클로페낙 고체분산체의 특성 및 용출률 개선 (Characterization and Improved Dissolution Rate of Aceclofenac Solid Dispersion)

  • 김윤태;박현진;이영현;홍희경;엄신;김용기;이은용;최명규;이재준;조용백;강길선
    • 폴리머
    • /
    • 제33권6호
    • /
    • pp.596-601
    • /
    • 2009
  • 아세클로페낙은 높은 결정성을 갖는 난용성 약물이다. 이러한 난용성 약물의 용해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 고체분산법을 바탕으로 한 분무건조기를 이용하여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PVP-K30을 수용성 담체로 사용하였고 폴록사머는 계면활성화제로 사용하였다. 제조된 아세클로페낙 고체분산체의 특성을 SEM, DSC, XRD 그리고 FT-IR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SEM, DSC, XRD을 통하여 아세클로페낙 고체분산체가 무정형임을 알 수 있었고 FT-IR을 통하여 아세클로페낙과 PVP-K30간에 수소결합을 통해 염을 형성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된 미립구는 pH 6.8에서 방출을 실시하였으며 시판제인 $Airtal^{(R)}$과 용출률을 비교하였으며 분무건조를 통해 제조한 미립구가 시판제인 $Airtal^{(R)}$ 보다 용출률이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PVP K30/Eudragit EPO에 의한 셀레콕시브 고체분산체의 용출률 향상 및 특성 (Characterization and Improvement of Dissolution Rate of Solid Dispersion of Celecoxib in PVP K30/Eudragit EPO)

  • 전대연;장지은;이정환;양재원;박상미;임동권;강길선
    • 폴리머
    • /
    • 제38권4호
    • /
    • pp.434-440
    • /
    • 2014
  • 셀레콕시브는 높은 결정성을 갖는 난용성 약물로서 이러한 난용성 약물의 용해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고체분산법을 바탕으로 한 분무건조기를 이용하여 고체분산체를 제조하였다. PVP K30과 Eudragit EPO를 수용성 담체로 사용하였고 폴록사머 407은 계면활성제로 사용하였다. 제조된 셀레콕시브 고체분산체의 특성을 SEM, DSC, XRD 그리고 FTIR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SEM과 DSC 그리고 XRD를 통하여 셀레콕시브 고체분산체가 무정형임을 알 수 있었다. 제조된 고체분산체는 pH 1.2에서 용출을 실시하였으며 시판제인 Celebres$^{(R)}$ 용출률을 비교하였으며 분무건조를 통해 제조한 고체분산체가 Celebres$^{(R)}$보다 용출률이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Polyvinylpyrrolidone 첨가가 돼지 체외 수정란의 발달과 세포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Addition of Polyvinylpyrrolidone on In Vitro Development and Cell Number of Porcine Embryo after In Vitro Fertilizatin)

  • 박용수;김재영;박흠대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1-128
    • /
    • 2006
  • 본 연구는 고품질의 돼지 체외 수정란을 생산하기 위하여 체외 성숙 배지에 첨가하는 polyvinylpyrrolidone(PVP)의 분자량, 첨가 농도 및 시간(실험 1)과 체외 성숙 수정 배양 단계에서 PVP의 첨가(실험 2)가 배 발생과 세포수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였다. 돼지 미성숙 난자의 체외 성숙은 NCSU 23 용액, 체외 수정은 mTBM 용액, 체외 배양은 PZM 3 용액을 이용하였다. 체외 성숙용 배지에서 PVP의 분자량, 농도 및 첨가 시간에 따른 수정율과 배반포 발달율은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배반포의 부화율은 분자량 40,000(30.1%), 0.5%(28.6%) 및 $0{\sim}44$시간(37.5%) 첨가군이 다른 시험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5). 분자량 40,000 0.5% PVP를 체외성숙, 수정 및 배양 배지에 각각 첨가(W) 또는 미첨가(W/O)한 결과, 수정율은 체외성숙 수정 배양에서 W-W/O-W 군이 69.3%, 배반포 발달율과 부화율은 W-W/O-W 및 W-W/O-W/O 군이 각각 12.6과 30.0% 및 14.0과 37.5%로서 다른 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5). 총 세포 수와 Trophoblast 수는 처리군 간에 유사한 경향이었으나, Inner cell mass 수는 W/O-W/O-W 군이 평균 7.4개로서 가장 높았다 (p<0.05).

단백질흡착 감소용 하이드로겔의 개발 및 인공수정체로의 적용 (Development of Hydrogel for Decrease Protein Adsorption and Application to Intraocular Lens)

  • 고나영;이현미
    • 대한화학회지
    • /
    • 제62권1호
    • /
    • pp.30-35
    • /
    • 2018
  • 인공수정체로 사용되고 있는 소수성 아크릴 하이드로겔의 단백질 흡착 감소와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하이드로겔을 제조하여 인공수정체로의 응용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소수성 아크릴 인공수정체는 ethyleneglycol phenyletheracrylate(EGPEA), Styrene, 2-hydroxyethyl methacrylate(HEMA)를 사용하여 제작하였고 첨가제로 polyvinyl pyrrolidone(PVP)와 2-methacryloyloxyethyl phosphorylcholine(MPC)를 사용하였다. 인공수정체의 물리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함수율, 습윤성, 광투과율 및 단백질 흡착량을 측정하였다. 첨가제를 넣은 모든 시료의 함수율과 습윤성은 증가하였고 단백질 흡착량은 감소하였다. 특히 MPC가 포함된 시료의 단백질 흡착량은 더욱 감소하였다. PVP와 MPC를 첨가한 소수성 아크릴 하이드로겔은 기본적인 물리적 특성을 가지면서 단백질 흡착을 감소시킴으로써 기능이 향상된 인공수정체로의 응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도성 나노 구리잉크의 잉크젯 프린팅 유변학적 거동 및 광소결 특성 평가 (Rheological behavior and IPL sintering properties of conductive nano copper ink using ink-jet printing)

  • 이제영;이도경;남산;최정훈;황광택;김진호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74-182
    • /
    • 2020
  • 최근 잉크젯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인쇄전자 분야가 차세대 기술로서 각광받고 있으며, 복수의 프린트 헤드(head)로부터 다양한 잉크 형태의 소재를 정밀하게 출력하여 적층할 수 있는 3D 프린팅 기술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잉크젯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여 광경화성 실리카 잉크와 PVP가 첨가된 나노 구리 잉크로 절연층과 전도층의 복합구조체를 제작하였다. 프린팅 구동 조건과 잉크의 유변학적 거동을 최적화하여 정밀한 광경화 실리카 절연층을 적층 제조하였으며, 절연층의 저항은 2.43 × 1013 Ω·cm의 값을 나타내었다. 광경화 실리카 절연층 위에는 액적 간격 제어를 통하여 나노 구리 전도층을 프린팅하였다. PVP 첨가 나노 구리 잉크의 소결은 IPL 광소결 공정을 이용하였으며, 어닐링 온도와 인가 전압 변화에 따른 전기적, 기계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100℃ 어닐링 온도와 700 V IPL 광소결 조건에서 PVP가 첨가된 나노 구리 전도층의 저항은 29 μΩ·cm으로 매우 낮으며, 광경화 실리카 절연층과의 접착력은 매우 우수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Effect of Manufacturing Method and Acidifier on the Dissolution Rate of Carvedilol from Solid Dispersion Formulations

  • Lim, Dong-Kyun;Bae, Jeong-Woo;Song, Byung-Joo;Jo, Han-Su;Kim, Hyoung-Eun;Lee, Dong-Won;Khang, Gil-Son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41권6호
    • /
    • pp.363-369
    • /
    • 2011
  • 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the release behavior of carvedilol with the content of polyvinylpyrrolidone K-30 (PVP K-30) and the effect of citric acid and fumaric acid as acidifiers on the release behavior of drug. In addition, it tries to inquire into the release behavior difference of the carvedilol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The release behavior of the tablets was compared with Dilatrand$^{(R)}$ in the simulated gastric fluid (pH1.2).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X-ray diffraction (XRD) and 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were characterized for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tablets. In case of mixing the carvedilol and PVP K-30, in case the ratio of the carvedilol and PVP K-30 was 1:5, the release behavior was the highest among. As well as the dissolution rate of tablets manufactured by lyophilization and rotary evaporator was higher than physical mixture. The dissolution rate of containing acidifiers was more improved. But, rather the excessive amount of the acidifier addition reduced the dissolution rate.

고체분산체에 의한 펠로디핀의 용출율 개선과 서방성 경구제제 (Improvement of Dissolution rate of Felodipine Using Solid Dispersion and its Sustained Release Oral Dosage Form)

  • 길영식;홍석천;유창훈;신현종;김종성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2권3호
    • /
    • pp.185-190
    • /
    • 2002
  • To improve the solubility of poorly water-soluble drug and to develop a sustained release tablets, the need for the technique, the formation of solid dispersion with polymeric materials that can potentially enhance the dissolution rate and extent of drug absorption was considered in this study. The 1:1, 1:4, and 1:5 solid dispersions were prepared by spray drying method using PVP K30, ethanol and methylene chloride. The dissolution test was carried out at in phosphate buffer solution at $37^{\circ}C$ in 100 rpm. Solid dispersed drugs were examined using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wherein it was found that felodipine is amorphous in the PVP K30 solid dispersion. Felodifine SR tablets were prepared by direct compressing the powder mixture composed of solid dispersed felodipine, lactose, Eudragit and magnesium stearate using a single punch press. In order to develop a sustained-release preparation containing solid dispersed felodipine, a comparative dissolution study was done using commercially existing product as control. The dissolution rate of intact felodipine, solid dispersed felodipine and its physical mixture, respectively, were compared by the dissolution rates for 30 minutes. The dissolution rates of felodipine for 30 minutes from 1:1, 1:4, 1:5 PVP K30 solid dispersion were 70%, 78% and 90%. However, dissolution rate offelodipine from the physical mixture was 5% of drug for 30 minutes. Our developed product Felodipine SR Tablet showed dissolution of 17%, 50% and 89% for 1, 4, and 7 hours. This designed oral delivery system is easy to manufacture, and drug releases behavior is highly reproducible and offers advantages over the existing commercial product. The dissolution rate of felodipine was significantly enhanced, following the formation of solid dispersion. The solid dispersion technique with water-soluble polymer could be used to develop a solid dispersed felodipine SR tablet.

폴리프로필렌 표면 위에 폴리비닐피롤리돈의 플라즈마 유도 그래프트 공중합 (Plasma-Induced Grafting of Poly(N-vinyl-2-pyrrolidone) onto Polypropylene Surface)

  • 지한솔;정시인;허호;최호석;김재하;박한오
    • 폴리머
    • /
    • 제36권3호
    • /
    • pp.302-308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대기압 플라즈마 처리된 평판형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필름 표면 위에 폴리비닐피롤리돈(poly($N$-vinyl-2-pyrrolidone), PVP)을 그래프트 공중합시키기 위한 최적 조건을 찾는데 있다. 대기압 플라즈마 처리 조건은 RF power 200W, Ar 유속 6 LPM, 처리시간 30초, 처리 후 노출시간은 5분으로 고정하였다. 그래프트 공중합에서는 중합 시간, 중합 온도, 비닐피롤리돈($N$-vinyl-2-pyrrolidone, NVP) 농도의 조건을 각각 달리하여 표면 그래프트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중합 시간 6시간, 중합 온도 $90^{\circ}C$, NVP 농도 40%에서 가장 높은 그래프트도를 나타내었다. ATR-FTIR,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XPS), SEM 분석을 통해서도 PVP의 도입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