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PYLENE GLYCOL

검색결과 300건 처리시간 0.028초

Solubility and Stability of Melatonin in Propylene glycol and 2-hydroxypropyl-${\beta}$-cyclodextrin vehicles

  • Lee, Beom-Jin;Choi, Han-Gon;Kim, Chong-Kook;Parrott, Keith-A.;Ayres, James-W.;Sack, Robert-L.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0권6호
    • /
    • pp.560-565
    • /
    • 1997
  •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elatonin (MT) in propylene glycol (PG) and 2-hydroxypropyl-.betha.-cyclodextrin $(2-HP{\beta}CD)$ vehicles were characterized. MT was endothermally decomposed as determin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Melting point and heat of fusion obtained were $116.9{\pm}0.24^{\circ}C $.and $7249{\pm}217 cal/mol$., respectively. MT as received from a manufacture was very pure, at least 99.9%. The solubility of MT in PG solution increased slowly until reaching 40% PG and then steeply increased. Solubility of MT increased linearly as concentration of $2-HP{\beta}CD$ without PG INCREASED$(R^2=0.993)$. MT solubility in the mixtures of pg and $2-HP{\beta}CD$ also increased linearly but was less than the sum of its solubility in $2-HP{\beta}CD$ and PG individually. The MT solubility was low in water, simulated gastric or intestinal fluid but the highest in the mixture of PG(40v/v%) and $2-HP{\beta}CD$ (30w/v%) although efficiency of MT solubilization in $2-HP{\beta}CD$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PG increased. MT was degraded in a fashion of the first order kinetics $(r^2>0.90)$. MT was unstable in strong acidic solution (HCl-NaCl buffer, pH 1.4) but relatively stable in other pH values of 4-10 at $70^{\circ}C$. In HCl-NaCl buffer, MT in 10% PG was more quickly degraded and then slowed dpwm at a higher concentration. However, the degradation rate constant of MT in 2-HP.betha.CD was not changed significantly when compared to the water. The current studies can be applied to the dosage formulations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percutaneous absorption or bioavailability of MT.

  • PDF

Sucrose, Propylene Glycol, Tween 80의 첨가가 전환기 젖소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Addition of Sucrose, Propylene Glycol and Tween 80 on the Performance of Transitional Holstein Cows)

  • 이왕식;김현섭;손근남;김용국;이현준;기광석;백광수;안병석;아주말 칸;하종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6호
    • /
    • pp.839-846
    • /
    • 2006
  • 본 연구는 분만 전후 40두의 젖소에 무첨가, sucrose, sucrose+PG 및 sucrose+PG+NIS 복합제 첨가의 4 처리로 급여 시 사료섭취량, 산유량 혈중대사물질 및 대사성 질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사양시험을 수행하였는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분만전 건물섭취량은 처리 간에 차이가 없었지만 sucrose+PG+NIS 복합제를 투여하였을 때 대조구 보다 높았으며(P<0.05), sucrose 급여시 분만 후 3주 동안의 건물섭취량이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있게 높았다(P<0.05). 혈중 glucose 함량은 처리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분만 전 21일 평균 NEFA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sucrose+PG 혼합제를 투여한 처리구에서 유의있게 낮은 수준을 보여주었다 (P<0.05). 그러나 분만 당일 및 분만 후 21일 동안에는 처리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주지는 않았다. 처리구별 산유량에 있어서는 첨가제의 급여에 의한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으나, 유지율에 있어서는 sucrose 급여구와 sucrose+PG+NIS 복합제를 급여한 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있게 높은 수준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4 % FCM에서는 대조구에 비하여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있게 높았으며 (P<0.05), 대사성질병 발생은 대조구에서 첨가제 급여구에 비하여 다소 많은 개체에서 후산정체, ketosis 및 유방염이 발생하였다.본 시험의 결과에서 sucrose와 같이 단맛으로 기호성을 증진시켜주는 것과 에너지원으로 이용될 수 있는 PG와 함께 사료의 이용성을 높여줄 수 있는 NIS를 첨가하여 급여할 경우에 생산성을 높이고 대사성질병의 발생을 줄여 낙농농가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폐액 중 프로필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PGMEA) 회수하는 증류공정에서 회귀분석을 이용한 공정 최적화 (Process Optimization Using Regression Analysis of Distillation Processes for the Recovery of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PGMEA) Containing Waste Organic Solvent)

  • 최용석;변헌수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3권2호
    • /
    • pp.181-192
    • /
    • 2015
  • 본 연구는 Liquid Crystal Display (LCD) 세척 후 발생하는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PGMEA)폐액 재활용을 위한 2기 증류탑을 사용하는 공정의 최적 조건을 산출하였다. 공정조건 최적화 기법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1차 증류 시 Bottom 온도(BTM 온도), Reflux 량, Feed 량 및 Feed 온도에 따라 PGMEA 함량에 대한 최적 조건과 2차 증류 시 BTM 온도, Reflux 량, Feed 량에 따른 PGMEA 함량에 대한 최적 조건과 공정인자를 산출하였다. 1차 증류탑의 공정인자 중 Reflux 량, Feed 온도 및 Feed 량이 중요한 인자로 산출되었다. 본 연구의 공정조건 범위에서는 BTM 온도범위가 PGMEA함량에 크게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따라서 최적 공정 조건은 Feed 량 $5,700{\ell}$, Reflux 량 $2,500{\ell}$, BTM 온도 $165^{\circ}C$ 및 Feed 온도 $130^{\circ}C$이며 이때 예측된 PGMEA 함량은 92.12~94.62%로 산출되었다. 2차 증류탑에서는 Reflux 량이 함량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Feed 량과 BTM 온도도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산출되었다.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이 Reflux 량과 BTM 온도 간에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어, 두 인자 중 다중회귀식에 영향이 지배적인 인자 하나를 선택하였으며, 최적조건은 BTM 온도 $199^{\circ}C$ 기준에서 최적 공정 조건은 Feed 량 $4,275{\ell}$ 및 Reflux 량 $6,200{\ell}$이며, 이때 예측 PGMEA 함량은 99.0~99.5%로 산출되었다.

Propylene Glycol 용매계에서 DL-Alanine과 D-Glucose의 마이야르 반응에 의한 휘발성 화합물의 생성 (Formation of Volatile Compounds from Maillard Reaction of D-Glucose with DL-Alanine in Propylene Glycol Solution)

  • 김영희;김옥찬;이정일;양광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7-163
    • /
    • 1988
  • Propylene glycol 용매계에서 0.5M DL-alanine(${\alpha}-amino-propionic acid$) 와 0.5M D-glucose 를 $100^{\circ}C,\;120^{\circ}C$$140^{\circ}C$에서 각각 20분, 2시간 반응시켜 생성되는 휘발성 화합물을 분석하고 반응온도와 시간이 갈색화반응 및 휘발성 화합물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갈색화반응 및 휘발성 화합물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갈색화반응은 반응온도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급격히 증가 하였다. 휘발성 화합물은 7종의 alkylpyrazine, 4종의 pyrrole, 3종의 furan, 1종의 furanone 그리고 기타성분으로 2-hydroxy-3-methyl-2-cyclopenten-1-one을 포함하여 11종이 확인되었으며 pyrazine, pyrrole 및 furan화합물의 생성량은 반응온도가 높아지고 반응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급격히 증가하였다. 또한 alanine과 glucose의 마이야르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구수한 카라멜냄새 및 설탕 탄냄새(burnt sugar-like)는 주로 2-hydroxy-3-methyl-2-cyclopenten-1-one, 2, 5-dimethyl-4-hydroxy-3(2H)-furanone과 같은 함 산소화합물과 pyrazine, pyrrole과 같은 함 질소화합물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D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의 열중합에 의한 Poly(propylene) 분리막으로 지지한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겔 전해질막 제조 (Preparation of Poly(propylene) Membrane Supported Gel Electrolyte Membranes for Rechargeable Lithium Ion Batteries through Thermal Polymerization of D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 윤미혜;권소영;정유영;조두현;구자경
    • 멤브레인
    • /
    • 제20권3호
    • /
    • pp.259-266
    • /
    • 2010
  • 다공성 Poly(propylene) 분리막의 지지 하에 전해질 용액 (EC/DEC 1 : 1 혼합물 내의 $LiPF_6$ 1 M 용액) 내에서 DEGDMA [D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의 $70^{\circ}C$ 열중합을 통하여 겔 고분자 전해질(GPE)막이 합성 되었다. 합성된 겔 고분자 전해질막의 이온전도도 및 전기화학적 안정성은 AC 임피던스법 및 CV (cyclic voltametry)법에 의하여 측정 평가하였다. 겔 고분자를 전해질로, 그리고 양극 및 음극으로는 각각 $LiMi_{0.8}Co_{0.2}O_2$ 및 graphite로 이용하여 리튬이온전지(LIB)도 제작하였다. 열중합을 통하여 리튬 이온전지에 적합한 이온전도도($10^{-3}\;S/cm$ 이상) 및 전기화학적 안정성을 보이면서 자체적인 성상을 유지하는 겔 고분자 전해질막을 얻을 수 있었다. 단량체 함량 5%의 전구체로 제작한 겔 고분자 전지는 단량체 함량이 7.0% 및 10.0%인 경우에 비하여 우수한 고율 및 충-방전 효율을 보였다.

프로필렌글리콜에 분산된 나피온 이오노머로 제조된 공기극 촉매층의 연료전지 성능 특성 연구 (Electrochemical Behavior of Cathode Catalyst Layers Prepared with Propylene Glycol-based Nafion Ionomer Dispersion for PEMFC)

  • 우승희;양태현;박석희;임성대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7권4호
    • /
    • pp.512-518
    • /
    • 2019
  • 고분자연료전지용 막전극접합체(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의 저가화 및 고성능화를 위하여 촉매층을 구성하는 촉매와 이오노머의 계면 특성에 대한 이해가 중요한 연구주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오노머의 구조 제어를 위하여 상용 이오노머의 용매로 사용되는 물 대신에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PG)을 용매로 사용하여 단측쇄(Short Side Chain, SSC) 나피온 이오노머가 분산된 현탁액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공기극 촉매층을 제조하여 연료전지 성능 특성을 평가하였다. PG 기반 이오노머의 함량을 20~35 wt%로 증가시키면서 제조된 촉매층의 연료전지 성능은 상용 물 기반 이오노머와는 달리 이오노머 함량이 35 wt%까지 증가함에 따라 성능도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PG 기반 이오노머의 작은 입도와 느린 건조 속도는 균일 구조의 촉매층 형성을 유도하여 수소이온전달에는 효과적이었지만 PG 기반 이오노머 필름의 낮은 산소투과도는 MEA 성능을 저하시키는 주요 문제로서 개선이 필요하였다.

실험 계획법을 이용한 투명비누에 영향을 미치는 폴리올 농도 결정 (Determination of Polyol Concentration Affecting to the Transparent Bar Soap Using Design of Experiment Method)

  • 조완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4-62
    • /
    • 2012
  • 본 실험에서는 투명비누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폴리올의 최적 농도를 실험계획법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짧은 사슬을 보유한 디프로필렌글리콜과 1,3 부틸렌글리콜은 비누의 투명도를 증가시켰으나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글리세린과 디글리세린은 비누를 불투명하게 하였다. 프로필렌글리콜, 디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농도를 증가시키면 비누의 경도는 증가하였다. 경도, 투명도, 물의 흡수성 및 마찰 용해도는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설탕과 트리에탄올아민의 농도를 조절하여 최적화할 수 있었다.

가교된 폴리 알킬렌 옥사이드 하이드로겔의 약물방출 특성 (Drug Release Characteristics of Crosslinked Poly(alkylene oxide) Hydrogels)

  • 김신정;이승진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1권2호
    • /
    • pp.91-95
    • /
    • 1991
  • Polyethylene glycol, polypropylene glycol and block copolymer of ethylene glycol and propylene glycol were crosslinked by triisocyanate to form water swellable, rubbery polymer. The equilibrium swelling of the hydrogels ranged from 3% to 60% according to the hydrophobic-hydrophilic properties of the prepolymers. Model drugs, sodium salicylate and prednisolone were incorporated in the polymer matrices by swelling loading. Physical properties of the drugs affected the drug release mechanisms due to the change in the swelling behaviors of the polymeric devices. Zero order release was observed in the case of relatively hydrophobic polymer matrices.

  • PDF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의 결정화에 미치는 폴리올 종류 및 경질부 함량의 영향 (Effects of Polyol Types and Hard Segment Contents on the Crystallization of Thermoplastic Polyurethanes)

  • 김성근;이명걸;;이대수
    • 폴리머
    • /
    • 제29권2호
    • /
    • pp.140-145
    • /
    • 2005
  •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의 제조에 사용한 폴리올 종류와 경질부 함량에 따른 TPU의 결정화 거동을 고찰하였다. TPU의 제조에 사용한 폴리올은 분자량이 2000인 poly(tetamethylene ether glycol) (PTMEG), poly(propylene glycol)(PPG) diol, polycaprolactone(PCL) diol, poly(butylene adipate)(PBA) diol을 사용하였으며, 경질부 함량은 $35\~44\;wt\%$였다. TPU의 경질부 냉각 결정화는 경질부 함량이 많을수록 고온에서 관찰되었다. TPU의 등온 결정화 속도는 경질부 함량이 많을수록 빠르고, TPU 제조에 사용한 폴리올 종류별로는 $PTMEG>PPG>PCI{\geqq}PBA$ 경향이 나타나, 연질부와 경질부의 상용성이 낮을수록 용융상태에서 경질부의 수소결합이 용이하고 결정화 속도가 빠르며, 냉각 결정화가 고온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용액 처방으로부터 록소프로펜의 기니아픽 피부 투과 증진 (Enhanced Penetration of Loxoprofen across Excised Guinea Pig Skin from Solution Formulations)

  • 김태성;전인구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1권4호
    • /
    • pp.217-224
    • /
    • 2001
  • To develop a novel transdermal delivery system of loxoprofen (LP), a potent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agent, the effects of various vehicles and penetration enhancers on the skin permeation of LP from solution formulations were investigated. The permeation rate of LP through excised guinea pig skin was measured using a side-by-side permeation system at $32^{\circ}C$. The solubilities of LP in various vehicles were determined by the equilibrium solubility method, and partition coefficients $(P_c)$ were determined. The solubility of LP increased in the rank order of water & isopropyl myristate (IPM) & glyceryl dicaprylate/dicaprate & propylene glycol dicaprylate/caprate & propylene glycol laurate (PGL) & polyethylene glycol 400 & di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DGME) & ethanol. n-Octanol-water $P_c$ value was 15.5. Among pure vehicles tested, IPM and PGL showed highest fluxes of $89.9{\pm}5.0$ and $45.4{\pm}0.3\;{\mu}g/cm^2/hr$ from saturated solutions, respectively. However, it was not possible to demonstrate any correlation between the solubility of LP and its permeation rate, indicating the change in the barrier property of the skin and/or carrier mechanisms by vehicles tested. The addition of DGME to IPM or PGL markedly increased the solubility of LP, but the permeation rate did not decrease when the concentration of DGME in the cosolvent was increased upto 40%. The addition of linoleic acid (3%) in the cosolvent slightly increased the permeation rate, but others such as lauroyl sarcosine, fatty alcohols and fatty acids tested did not show enhancing effect. In conclusion, the DGME-IPM or DGME-PGL cosolvent system proved to be a good vehicle to enhance the skin permeation of L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