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B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9초

우수한 탈취율과 항산화능을 갖는 다시마 추출물의 규명 (Identification of Novel Extracts of Saccharina japonica with High Deodorant Performance and Antioxidant Activity)

  • 성지은;최현준;김지은;최준영;박지원;강미주;배수지;이영희;박주민;이희섭;김동균;김영옥;정영진;황대연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95-213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novel extracts of brawn algae with the high deodorant capacity and antioxidant activity. To achieves this, an composition, deodorant performance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analyzed in powder and water extracts of Ecklonia cava(PEC/EEC), Saccharina japonica(PSJ/ESJ), Eisenia bicyclis(PEB/EEB), Sargassum spp.(PSS/ESS) and Hizikia fusiformis(PHF/EHF) using several analytical methods. Major component of five powders was verified as PEC, phlorotannin; PSJ, alginic acid and glutamic acid; PEB, carotenoid, chlorophyll, phlorotannin, tocopherol and fucoxantin; PSS, ${\beta}$-carotene and polyphenol; PHF, tannin. The highest level of DPPH scavenging activity was detected in EEC($IC_{50}=23.018{\mu}g/ml$), followed by EEB, ESJ, EHF and ESS. The deodorizing performance to ammonia was maintained high level in PEC, PSJ, PEB and PSS, while PHF showed low level in the same condition. But, the deodorizing performance to acetic acid was slightly higher in PSJ and PEC than those of PEB, PSS and PHF. Based on the results of DPPH scavenging activity and deodorizing capacity, we selected fractions of S. japonica as leading extracts and further prepared the 70% acetone extract (AESJ) and 70% ethanol extract (EESJ) from PSJ. The contents of total flavonoid, total phenol and total condensed tanni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112-209% in AESJ and EESJ compared to those of ESJ. Also, a similar enhancement was observed on the level of DPPH scavenging activity and deodorizing performance against ammonia/acetic acid in AESJ and EESJ.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AESJ and EESJ contained with high total phenol and total condensed tannin contents may exhibit high deodorant capacity and antioxidant activity as well as has the potential for use as a powerful biomaterial for antibacterial deodorant.

SU-8 PR을 이용한 마이크로 구조물 제작 공정 개발 (A development of fabrication processes of microstructure using SU-8 PR)

  • 김창교;장석원;노일호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68-72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3차원 마이크로구조물을 위한 새로운 UV-LIGA 공정을 개발하였다. 일반적으로 photoresist는 얇은 두께로 코팅이 되지만, SU-8은 수십 $\mu\textrm{m}$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높은 형상비를 갖는다. SU-8과 같은 Thick photoresist는 기존의 baking 공정과 같이 급격한 cool down을 할 경우 stress에 의한 crack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경우 도금을 위한 마이크로구조물이 구현이 되지 않는다. SU-8의 코팅, bake에서의 시간 조절, 그리고 PEB의 시간 조절 및 cool down조절을 통하여 stress에 의한 crack이 발생하지 않도록 3차원 마이크로구조물을 제작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폴리(에틸 아크릴레이트-co-t-부틸 아크릴레이트)/ 실리카 나노복합체 특성에 대한 계면 개질의 효과 (Effect of Interfacial Modific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Poly(ethyl acrylate-co-t-butyl acrylate)/Silica Nanocomposites)

  • 진선욱;한건옥;김형일
    • 폴리머
    • /
    • 제28권6호
    • /
    • pp.487-493
    • /
    • 2004
  • 계면간 상호작용이 약한 폴리(에틸 아크릴레이트-co-t-부틸 아크릴레이트) (PEB) 에멀션 고분자를 사용한 나노복합체 혼합용액에서는 pH변화에 따라 고분자 입자들과 실리카 나노입자들의 분포 형태가 결정되었다. 이러한 나노복합체는 실리카 입자의 응집이 심하였고 불규칙적인 분산성을 나타내었다. 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MPS)를 사용하여 개질한 용액 중합 고분자나 실리카 나노입자를 사용한 나노복합체에서는 계면간 강한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실리카 나노입자가 미세하게 분산되었고 코어-쉘 형태학적 특성을 나타냈다. 계면을 MPS로 개질한 나노복합체에서는 강한 수소 결합 상호작용이 존재하는 것을 적외선 분광계로 확인하였다. 강한 계면 상호작용을 갖는 나노복합체는 고분자 사슬의 유리 전이 온도가 증가하였고 ΔC$_{p}$ 는 감소하였으며 열분해 온도는 상승되었다.며 열분해 온도는 상승되었다.

P.E.B 강골조에서 인장가새의 구조성능에 관한 실험연구 (Experimental Study on Structural Performance of Tensile Brace in P.E.B Steel Frames)

  • 김종성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549-558
    • /
    • 2007
  • 이 연구는 P.E.B. 골조 시스템 공장 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훅 볼트 형상의 골조 가새의 사용현황을 조사하여 그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의 가새 (예를 들면, 로드 바, 로드 슈, 앵글)에 대한 구조성능실험을 실시한다. 그 실험결과의 분석, 비교를 통해서, 훅 볼트 형 가새의 기술적 한계를 평가하고, P.E.B. 골조에 적합한 인장가새의 기술을 제안한다.

AISC2005에 기준한 변단면 선설계 건축물시스템의 자동화 최적구조설계 (Self-Optimizing Structural Design of a Pre-engineered Building System with Nonprismatic Members based on AISC2005)

  • 김용석;오명호;송병규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193-201
    • /
    • 2009
  • 철골 Pre-Engineered Building System(PEBS)이 국내에서도 80년도 후반부터 상당히 일반화되었지만 변단면 PEBS는 대부분 국외에서 개발된 최적화 프로그램으로 구조설계가 수행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3차원 변단면 PEBS의 구조설계를 AISC2005의 허용응력설계법과 KBC 기준에 따라 주어진 여러 제약조건들을 만족하도록 수치해석법으로 최적화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변단면 구조물의 최적화 설계는 구조해석과 최적 부재설계를 수행하는데, 구조물의 최소 중량화를 위해서 구조해석과 부재설계 과정을 허용응력조건과 변위조건이 만족될 때까지 반복 수행한다. 2, 3차원 변단면 구조물을 최적화 설계한 결과에 의하면 변단면 용접 H-형강으로 설계하는 것이 압연 H-형강보다 상당한 철골 절약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단면 용접 H-형강으로 설계하는 경우 구조물의 종류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AISC2005 기준으로 설계하는 것이 AISC1989 기준보다 철골량이 줄어들었고, 부재 춤도 작게 설계되어 웨브 좌굴에 새 기준이 더 안전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전자선 석판 기술에서 디지타이징과 노광후굽기 최적화를 통한 40 nm 급 패턴 제작에 관한 연구 (Study on 40 nm Electron Beam Patterning by Optimization of Digitizing Method and Post Exposure Bake)

  • 한상연;신형철;이귀로
    • 전자공학회논문지D
    • /
    • 제36D권10호
    • /
    • pp.23-30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전자선 직접 묘화 시스템을 이용하여 50 nm 이하의 패턴 폭을 가지는 패터닝 결과를 얻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SAL601 negative E-beam PR(Photo Resist)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고, E-beam 장비의 특성을 최대로 이용하기 위해서 PR의 두께를 100nm로 줄이고, field 크기를 200 ${um}m$로 줄여 실험하였으며, 또한 SAL601 PR의 경우 작은 선폭을 얻기 위해 중요한 요인 중에 하나인 PEB (Post Expose Bake) 온도와 시간을 줄이면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여기에 디지타이징 방식의 최적화를 통하여 50 nm 이하의 패턴 폭을 가지는 단선 패터닝 결과를 얻었다. 이 공정을 이용하여 단전자 메모리 소자에 응용 가능한 50 nm 급의 silicon 양자선과 silicon 양자점을 제작하였다. 이는 현재 많이 연구되고 있는 단전자 기억소자 및 국소 채널 MOS소자 제작에 유용할 것이다.

  • PDF

화력발전소 석탄저장고 설계개념과 시공과정 상의 주요 공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Concepts and Main Construction Processes of the Coal Shed at Thermal Power Plant)

  • 김시현;최장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619-3626
    • /
    • 2015
  • 본 연구대상인 화력발전소 석탄저장고는 우리나라 발전 산업 현장 중에서 원자력, 화력 등을 포함한 건축물 중 그 규모면에서 가장 크다. 이 옥내형 석탄저장고는 축구장 6개 크기의 평면에 높이가 73m인 mass volume이다. 또한 구조 및 기능적 요소가 미적요소보다 우선이므로 구조적 안전성과 기능적 석탄저장을 위해 중앙 옹벽과 부벽 합산이 $75,000m^3$에 달하는 콘크리트와 11,744ton의 PEB시스템을 이용한 철골을 사용하여 장대한 공간을 창출할 수 있게 설계되었다. 따라서 옥내형 석탄저장고에 적용된 옹벽과 철골구조에 대한 설계조건과 PEB 시스템의 특징 및 시공에 따른 주요 공정 특이사항을 조사하고, 아울러 이들 주요 공정상에 요구되는 시험 사항에 대해서 조사함으로써 이와 유사하게 지어질 옥내형 석탄저장고에 대한 설계조건과 기준 등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UV-LIGA 공정용 SU-8 PR 몰드 제작 공정 개발 (A Development of Fabrication of Processes of SU-8 PR Mold for UV-LIGA)

  • 김창교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238-242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3차원 마이크로구조물을 위한 새로운 Thick Photoresist(TPR) 공정 기술을 개발하였다. 일반적으로 Thin Photoresist는 얇은 두께로 코팅을 할 수 있다. 그러나 SU-8과 같은 TRP은 몇 십 ㎛ 또는 그 이상으로 코팅이 가능하고 높은 종횡비를 얻을 수 있다. SU-8과 같은 TPR을 사용하여 마이크로구조물을 제작할 때 TPR의 crack들은 bake시의 갑작스런 tool down에 의한 stress에 의해 나타나는데, 이러한 crack들은 마이크로구조물의 도금을 어렵게 만든다. 본 논문에서는 TPR의 코팅, baking 시간 조절, cool down과 PEB(Post Expose Sake) 시간 조절을 통하여 stress에 의해 발생되는 crack이 없는 3차원 마이크로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는 새로운 공정 기술을 개발하였다.

FLUCTUATION INDUCED CRYSTALLIZATION: IN A SIMULTANEOUSLY PHASE SEPARATION AND CRYSTALLIZATION POLYOLEFIN BLEND SYSTEM

  • Zhang Xiaohua;Han, Charles C.
    • 한국고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고분자학회 2006년도 IUPAC International Symposium on Advanced Polymers for Emerging Technologies
    • /
    • pp.158-158
    • /
    • 2006
  • The correlation between liquid-liquid phase separation (LLPS) and crystallization at several compositions in statistical copolymer blends of poly (ethylene-co-hexene) (PEH) and poly (ethylene-co-butene) (PEB) has been examined. In this case, the LLPS is coupled with the other ordering process, i.e. crystallization. The overwhelming change in the crystallization kinetics due to the composition fluctuation caused by the spontaneous spinodal LLPS is observed. This coupling mechanism suggests a new mechanism in the nucleation-crystallization process.

  • PDF

탈·부착이 가능한 전기 자전거 시스템의 설계 (Implementation of Portable Electric Bicycle System (PEB-System))

  • 신윤구;도태훈;권이준;김정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36-538
    • /
    • 2015
  • 전기 에너지가 우리 생활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부분이 정말 많다. 최근에는 자전거 열풍이 불면서 덩달아 전동 자전거 업계에도 호황이 일고 있는데, 21C 기후 변화와 환경오염, 교통체증 등의 문제해결을 위한 저탄소 녹색성장의 인식 전환으로 전동 자전거 이용이 늘어나고 있다. 이는 전동 자전거도 전기 에너지가 사용되고 있다 점이다. 하지만 이런 장점을 가지고 있는 전동 자전거를 많은 사람들이 구입하지 못하는 이유가 있다. 대부분의 이유가 '집에 자전거 1대씩 가지고 있는데, 굳이 비싼 돈을 주고 전동 자전거를 구입해야하나?' 라는 생각을 가지게 된다. 또 다른 이유로는 기존의 전동 자전거가 탈 부착 형식이 아닌 일체형으로 나오기 때문에 다른 신제품의 전동 자전거가 나온다면 기존의 전동 자전거의 부품을 사용하지 못 하고 새로운 자전거를 사야 한다는 단점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탈 부착이 가능한 전기 자전거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