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DMS mold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42초

미세접촉인쇄기법을 이용한 미세패턴 제작 (Fabrication of Micropattern by Microcontact Printing)

  • 조정대;이응숙;최대근;양승만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24-1226
    • /
    • 2003
  • In this work, we developed a high resolution printing technique based on transferring a pattern from a PDMS stamp to a Pd and Au substrate by microcontact printing Also, we fabricated various 2D metallic and polymeric nano patterns with the feature resolution of sub-micrometer scale by using the method of microcontact printing (${\mu}$CP) based on soft lithography. Silicon masters for the micro molding were made by e-beam lithography. Composite poly(dimethylsiloxane) (PDMS) molds were composed of a thin, hard layer supported by soft PDMS layer. From this work, it is certificated that composite PDMS mold and undercutting technique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generation of a clear SAM nanopattern on Pd and Au substrate.

  • PDF

표면개질에 의한 물방울 접촉각 변화를 이용하여 제작된 PDMS 마이크로 렌즈 (Fabrication method of PDMS microlensesusing water-based molding method)

  • 김홍기;윤광석
    • 센서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375-379
    • /
    • 2008
  • This paper reports a new fabrication method of polydimethylsiloxane (PDMS) microlenses with various curvatures by using a water-based mold. The hydrophobic surface of Polypropylene (PP) substrate was modified by corona discharge using tesla coil to have hydrophilic surface. Then hydrophilic surface of PP substrate takes hydrophobic recovery to have various contact angles from less than $25^{\circ}$ to about $84^{\circ}$. By using the water droplets with various contact angles as replica molds for PDMS process, we could obtain PDMS microlenses with various curvatures.

친수성 유지를 위해 Monomethyl Ether Hydroquinone이 제거된 2-Hydroxyethyle methacrylate로 처리하는 PDMS 표면개질 (PDMS Surface Modification for hydrophilicit Using 2-Hydroxyethyle Methacrylate without Monomethyl Ether Hydroquinone)

  • 김상철;양상식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물성,응용부문
    • /
    • pp.36-38
    • /
    • 2003
  • In this paper, the surface modificatioin of PDMS (polydimethyl-siloxane) which is a useful material of microfluidic devices is presented. PDMS-based devices can be fabricated by casting the polymer in a mold, but the porosity and the hydrophobicity of PDMS make difficult to use as bio-medical devices. To overcome these disadvantages, the PDMS surface is grafted with HEMA (2-Hydroxyethyle methacrylate) treatments and $O_2$ plasma process. The $O_2$ plasma process is performed for 20 sec after curing PDMS, and PDMS is put in the prepared HEMA without Monomethyle Ether Hydroquinone. Residual monomers and homopolymers of HEMA-treated PDMS surface are removed using soxhlet extractor. The PDMS surface modification using HEHA without Monomethyle Ether Hydroquinone is experimented, and compare to when additing $FeCl_2{\cdot}2H_2O$. A method with a soxhlet extractor compare to the existing rinse method. The hydrophilicity is confirmed by the measurement of a contact angle, and we observe whether the hydrophilicity is retained.

  • PDF

나노템플레이트 표면처리를 통한 나노패턴이 형성된 PDMS 탄성 스탬프 몰드 제작 (Fabrication of Nanopatterned PDMS Elastic Stamp Mold Using Surface Treatment of Nanotemplate)

  • 박용민;서상현;서영호;김병희
    • 한국생산제조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8-42
    • /
    • 2015
  • Polydimethylsiloxane (PDMS) is a widely used material for replicating micro-structures because of its transparency, deformability, and easy fabrication. At the nanoscale, however, it is hard to fill a nanohole template with uncured PDMS. This paper introduces several simple methods by changing the surface energy of a nanohole template and PDMS elastomer for replicating 100nm-scale structures. In the case of template, pristine anodic aluminum oxide (AAO), hydrophobically treated AAO, and hydrophillically treated AAO are used. For the surface energy change of the PDMS elastomer, a hydrophilic additive and dilution solvent are added in the PDMS prepolymer. During the molding process, a simple casting method is used for all combinations of the treated template and modified PDMS. The nanostructured PDMS surface was investigated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fter the molding process for verification.

피코초 레이저를 이용한 초소수성 표면 제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urface Fabrication of Super Hydrophobic using Pico Second Laser)

  • 조일환;이제훈;노지환;이승원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61-169
    • /
    • 2012
  • Recently, a study for the functional surface production of super hydrophobic of natural and biomimetic artificial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To make process methods of super hydrophobic surface has a variety of ways such as lithography, etching, and laser ablation. However, we were used ultra-shot pulse laser ablation process which has the virtue of more environmental friendliness and simple process. In this paper, we were fabricated a multiplicity of super hydrophobic patterns on mold surface(NAK80) using by optimizing the laser processing conditions and it was transferred on PDMS. Also, we measured contact angle super hydrophobic patterns on PDMS. The result showed there is no patterns on PDMS were measured 94 degrees, by contrast, optimized super hydrophobic patterns on PDMS was 157 degrees. Therefore we fabricated super hydrophobic surface on mold. Based on these experimental results, it is possible to mass production using ultra shot pulse laser ablation of super hydrophobic pattern and to be applied for a variety of industries.

Micromolding process에 의한 refractive microlens의 제작 (Micromolding process using PDMS for refractive microlens)

  • 안시홍;이상호;김민수;김용권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학회본부 C
    • /
    • pp.578-580
    • /
    • 2000
  • Micromolding process에 의한 refractive microlens array를 제작한다. PDMS, UV curable acryl adhesive 등 여러 가지 polymer 재료를 시도한다. 기존의 공장에서 주로 사용되던 etched bulk silicon, electroplated metal 등의 구조물이 아닌, polymer 구조물을 mold로 사용한다. Micromolding process에 의해 제작되는 microlens의 특성은 mold의 험상에 의해 결정된다. Reflow 공정에 의해 제작된 photoresist microlens는 매우 우수한 표면 특성과 형상 대칭성을 보여주므로, microlens의 mold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 PDF

printing 방식을 이용한 은 나노 잉크 직접 패터닝 기술

  • 오상철;양기연;한강수;이헌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3-63
    • /
    • 2010
  • 나노 구조를 제작은 나노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electronics, optoelectronics, sensing, ultra display등의 여러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특히 나노 구조를 갖는 금속 패터닝의 경우 전자빔 리소 그래피 (electron beam lithography)나 레이저 패터닝(laser patterning)과 같은 방법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공정이 복잡하고 그로 인해 공정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었다. 나노 임프린트 리소그래피 기술은 master mold 표면의 나노 패턴을 가열, 가압 공정을 통해 기판 위의 고분자 레지스트 층으로 전사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간단한 공정을 통해 나노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기술이기 때용에 차세대 나노 패터닝 기술로써 각광받고 있다. 특히 이 기술은 레지스트 층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나노 패턴을 형성하기 때문에 다양한 방법을 통해 기능성 나노 패턴을 직접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novel meta1의 하나인 Ag 입자가 첨가된 ink solution를 master mold로부터 복제한 PDMS mold를 이용하여 다양한 구조의 나노 패턴을 만드는 방법에 대한 연구이다.

  • PDF

유리기판의 친수.소수 상태 변화를 이용한 자기정렬 Ag Pattern 형성 연구 (Self Assembled Patterns of Ag Using Hydrophobic and Hydrophilic Surface Characteristics of Glass)

  • 추병권;최정수;김건정;이선희;박규창;장진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54-359
    • /
    • 2006
  • 일반적인 포토리소그래피를 사용하지 않고 마이크로미터 혹은 나노미터 단위의 패턴형성을 위한 연구가 최근 많은 연구그룹에 의해 진행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패턴이 형성된 polydimelthylsiloxane (PDMS) 몰드를 octadecyltrichlorosilane (OTS) 용액에 dipping 하여 PDMS 표변에 OTS 단분자막을 형성하고 micro contact printing (${\mu}-CP$) 방법으로 OTS 단분자 막을 유리기판 표면위로 전사하였다. 전사된 OTS 단분자막은 친수성 유리기판 위에서 소수성 표면특성을 갖게 하며, 친수성은 용액 속에 dipping 하였을 때 소수성 표면 위에는 코팅되지 않도록 한 이 방법을 이용하여 유리기판 위에 Ag 패턴을 형성하였다. 또한, 세척직후 친수성 표면 특성을 보이는 유리기판의 시간에 따른 접촉각 측정을 통해 표면에너지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유연 기판을 이용한 PLC소자 제작을 위한 롤투롤 공정 연구 (PLC Devices Fabricated on Flexible Plastic Substrate by Roll-to-Roll Imprint Lithography)

  • 강호주;김태훈;정명영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5-29
    • /
    • 2015
  • 저가격, 높은 생산성, 고해상도를 가지는 소자의 패턴 제작 방법에 대한 요구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롤투롤 연속생산 공정은 저비용, 대량생산이 가능한 차세대 공정으로 각광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PLC (planar lightwave circuit) 소자의 제작을 위해서 롤투롤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제안한 기술은 polydimethylsiloxane (PDMS) 고분자를 이용하여 롤투롤 공정을 통해 PLC소자를 제작하는 공정을 연구하였다. 실리콘 웨이퍼에 형성된 마이크로 패턴을 복제 공정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원통금형에 적용하여 롤투롤 공정의 롤 몰드(roll mold)로 사용하였다. 웹 텐션과 웹 속도의 공정 조건 최적화로 롤투롤 공정을 이용하여 PLC소자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PLC소자는 약4.0dB의 삽입손실을 가지는 $1{\times}2$ 광분배기이며, 제안한 롤투롤 공정 기술을 이용한 PLC소자의 제작 공정이 대량연속생산에 유효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