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BL

검색결과 623건 처리시간 0.022초

메타버스를 활용한 외국인 학습자의 e-PBL 상호작용 강화 방안 (Exploring Enhancing Interaction for Foreign Learners e-PBL Using Meta-verse)

  • 송고은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555-563
    • /
    • 2022
  • 본 연구는 외국인학습자들 사이의 PBL의 상호작용을 강화하고자 메타버스 도구를 활용한 e-PBL의 교육적 효과를 탐색하였다. C대학교의 매주 3시간의 15주차의 PBL 교과목을 비대면 상황에 맞추어 체계적으로 재구성하였고 우리 사회 이슈와 밀접한 실제적인 문제해결을 e-PBL로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호작용의 도구로서 메타버스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였다. 11개 국적의 43명의 참여 수강생 중 절반 이상인 외국인 학습자들로 구성된 e-PBL 강의에서 언어와 국적을 초월하여 효과적인 소통의 도구로서의 메타버스 활용을 통해 학습자들은 프로젝트 활동에 한층 더 능동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메타버스 공간에서 팀 구성원들간의 언어적 소통 외의 다양한 비언어적 소통이 가능했고 그 과정에서 메타버스 공간 특유의 행동 유도 기능들은 매우 유용하게 작용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언어적 의사소통이 완벽하지 않은 학습자들간의 상호작용을 개선하기 위한도구로서의 메타버스 활용 e-PBL 교수방법을 모색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글로벌 TVET에서의 PBL 적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Exploratory Study on Application of PBL at Global TVET)

  • 김미화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571-577
    • /
    • 2024
  • 본 연구는 직업교육훈련 과정에서의 PBL 적용의 효과성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에 A대학교의 글로벌 TVET 과정에 PBL을 적용하여 문제 제시, 자료 수집 및 학습활동을 통한 문제 해결안 탐색 및 작성, 문제해결안 발표 및 성찰 등의 절차로 수업을 구성 후 8주 동안 운영하였다. 이후 참여 학생들의 인식 및 학습 몰입 및 만족도 등을 서면 면담과 설문으로 진행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학습자들은 PBL 경험 전반에 대한 만족도 및 학습 몰입등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또한 PBL을 통해 자기주도적 학습과정 및 팀활동을 통한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등이 함양됨을 느꼈다는 반응들도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TVET에서의 PBL 적용을 위한 적용 가능성, 내용 분석 및 학습자 분석의 선행, TVET 과정에의 PBL 적용 확산을 위한 관련 지원의 구체화 및 PBL 적용 TVET 운영을 위한 교수역량 강화 지원 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학습자간의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웹기반 문제중심학습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PBL System for Improving Learner's Interaction)

  • 이준희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57-65
    • /
    • 2008
  • 웹기반 교육 시스템의 경우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이 교육적 교류와 사회성을 증진하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에 인터넷을 통하여 상호작용을 증진하는 방법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의 상호작용 향상을 위한 웹기반 문제중심학습(PBL)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실제 웹기반 PBL 수업에서 설계된 상호작용 증진 방안이 PBL 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학생들이 웹기반 PBL 학습경험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제안한 시스템이 학습자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과 정과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공과대학에서 문제중심학습 적용 사례 연구 : 인공지능 과목을 중심으로 (Case Study for the Application of PBL in Engineering School : Focused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Class)

  • 이근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54-160
    • /
    • 2018
  • 본 논문은 공과대학에서 인공지능 교과목에 문제중심학습(PBL : Problem-Based Learning) 활용을 위하여 PBL 문제를 개발하여 수업에 적용하고 PBL 효과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현대 산업사회에서는 협동 학습 능력, 자율적인 학습능력, 통합지식 활용 능력, 창의 문제해결 능력을 갖춘 인재를 필요로 하고 있다. 대학은 사회에서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학습자들에게 문제해결능력 향상과 협동학습의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PBL 활동은 이러한 실천을 위한 적합한 학습방법이다. 연구대상은 '인공지능'교과목을 수강한 H대학 2학년 학생 37명이었으며, PBL수업은 15주에 5개의 PBL문제를 적용하였다. 학생들은 주어진 문제의 PBL 활동이 끝날 때마다 성찰일지를 작성하여 제출하였으며, 5번째 PBL문제의 활동이 끝난 후에 강의 평가지를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는 학습내용에 대한 이해(86.48%), 협동학습에 대한 이해(94.59%), 실제적 경험(75.67%), 문제해결력(89.18%), 프리젠테이션 스킬(97.29%), 창의성 향상(81.08%), 지식획득 능력(86.48%), 의사소통 능력 향상(97.29%), 통합지식 활용 능력(78.37%),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86.48%), 자신감(97.29%)과 같은 다양한 PBL의 효과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이 PBL 학습 활동은 현대 산업사회에서 요구하는 미래의 유능한 엔지니어로서의 전문성을 기를 수 있는 중요한 방법이라고 인식하였다.

PBL을 활용한 <드레이핑> 교과 수업사례 및 학습효과 연구 (A case study of problem-based learning (PBL) in classes)

  • 강여선
    • 복식문화연구
    • /
    • 제29권3호
    • /
    • pp.346-360
    • /
    • 2021
  • Universities have recently introduced problem-based learning (PBL) to various subjects to enhance problem-solving skills (including self-directed learning and small-group learning) required in industry. The PBL module was applied to the personal production process in a draping class. A study was based on a questionnaire after conducting two PBL modules with a group of students. Each PBL module included 'design analysis', 'presentation of flat sketch and draping plan', 'discussion of the plan', 'evaluation of the draping result and correcting the problem', and 'final evaluation of the completed project'. Results showed that satisfaction with the PBL method and its activities was higher than satisfaction with existing teaching methods. In particular, among the various components, the 'design analysis' and 'the presentation step of flat sketch and draping plan' stages were more helpful to students compared to small-group discussion. Moreover, the effects of PBL were observed through student reflection essays, in which students suggested that PBL was very effective in enhancing problem-solving through self-directed and small-group learning. Despite the overall satisfaction with PBL, students expressed some minor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awkwardness with a novel learning method, lack of diverse perspectives among each group, and poor communication skills. Therefore, the study shows that PBL is highly likely to be useful to students when they are solving pattern drafting problems and making samples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and small-group learning.

PBL을 활용한 <패션의 이해> 수업 사례 및 학습효과 (Effects and class case of problem based learning in )

  • 신혜원;김희라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3-45
    • /
    • 2016
  •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패션의 이해> 과목에서 새로운 교수학습방법인 PBL을 시도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패션과 사회문화 부분에서는 '패션 에디터', 패션디자인 부분에서는 '패션 스타일리스트'를 체험하는 2개의 PBL 문제를 개발하고 수업을 설계한 후 가정교육과 대학생 29명을 대상으로 2번의 PBL 수업을 진행하였다. PBL 수업효과는 학생들의 성찰일지를 키워드 중심의 내용분석과 빈도분석으로 살펴보았고, 자기평가와 학습만족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PBL의 학습효과는 협동학습에 대한 이해, 관련 지식 습득 및 적용, 실제 경험 및 체험, 자아성찰 및 변화된 자신, 문제해결력 향상으로 나타났다. PBL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자기평가와 학습만족도는 높은 편이었다. 그러나 PBL 학습과정에서 학생들은 팀원 간의 관계를 가장 힘들어했으며 시간이 부족하다고 하였다.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e-PBL 시스템 연구 (A Study on e-PBL System for Improve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서성원;김의정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471-1476
    • /
    • 2013
  • 본 연구는 K대학부설과학영재교육원 학생 중 웹기반 사이버 토론 학습 프로그램인 "Science Cyber Conference" 참가자를 대상으로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PBL)전략을 적용한 시스템을 개발하여 16주 동안 프로그램을 진행한 후, PBL 전략이 '자기주도 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와 더불어 PBL 수업 과정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웹기반 PBL 전략을 적용한 프로그램 진행 후 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 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p<.05) 효과가 있었다. 특히 '자기주도 학습능력'은 하위 영역 7개 중 '학습자 신념'을 제외한 모든 6개의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또한 웹기반 PBL 전략을 사용한 수업이 긍정적이라는 인식을 보였다.

환경교육에서 PBL과 GBS간의 환경 소양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f Environment Literacy between PBL & GBS In Environment Education)

  • 강인애;이명순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2권3호
    • /
    • pp.15-30
    • /
    • 2009
  • This study focuses on the comparison of PBL and GBS. PBL is a famous model that emphasizes diversity of students and self directed learning within the theory of constructivism. GBS has not been studied that extensively. GBS is most similar to PBL but this model has not been actively applied to school education. This study focuses on how to enhance students' interest in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is encompassing a new and changing teach-learn paradigm and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y. Furthermore, PBL and GBS methods were compare actively applied to "Environmental Education" to make the students learn self-directed education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one's environmental awareness. Specifically, the models were applied to the "Ecology and Environment" subject taught in general high schools and the degree of 'environmental literacy' were measured, From March to May of 2007, the PBL and GBS models were applied to 3rd grade students at D high school and the subject was 'Ecology and Environment'. The students were divided according to age into groups of $5{\sim}7$. The PBL group attempted to solve the given problems and the GBS group carried out their missions. In conclusion, after analyzing the 'environmental literacy' survey results by SPSS 12.0, just 'Knowledge of Ecology (KEOC)' and 'Locus of Control (LOC)' were slightly significant in PBL. This shows that PBL enhances the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hinking power. This is a result of the enhancement of students' problem-solving and thinking abilities through PBL. Students can learn many things because they completed their projects based on their experience and knowledge, both individually and interpersonally. We have to study how to apply PBL and GBS to the education field in spite of the many limited conditions. Therefore, this study looks at the application of PBL and GBS i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suggests specific strategies for educators who want to apply GBS and PBL and adapt them into their education curricula.

  • PDF

정보통신윤리의식 함양을 위한 e-PBL 개발 및 평가 (Evaluation and Development of e-PBL for Cultivating Consciousnes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 이준희;류관희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437-447
    • /
    • 2010
  • 본 논문의 목적은 정보통신윤리의식 함양을 위한 효과적인 e-PBL을 설계하고 개발하는데 있다. 제안한 e-PBL은 구성주의 교수-학습 이론에 속하는 PBL에 기반한다. 교수-학습 목표 달성을 위해서 온라인 학습과 면대면 수업이 체계적으로 혼합되었고 온라인 학습을 위한 주요 모듈은 오픈소스 학습관리시스템인 무들에서 운영되었다. 제안 e-PBL의 교육적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OO시 소재의 대학교 2학년 2개 반을 대상으로 논문에서 제시한 교육내용과 방법을 사용하여 실험연구를 하였다. 실험 대상의 학생 수는 60명(실험집단: 30명, 통제집단: 30명)이며 각 그룹에 6명의 학생으로 10개의 그룹으로 편성되었다. 연구 결과 제안한 e-PBL을 활용한 교육이 전통적인 면대면 PBL 학습 방법을 활용한 교육보다 정보통신윤리의식 함양에 효과적이었으며 학습자들이 보다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 PDF

대학교수들이 인식하는 PBL 수업운영의 난관 탐색 (A Research on University Faculty Member's Perception of the Barriers about PBL Implementing)

  • 금혜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0호
    • /
    • pp.77-84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수가 PBL 수업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인식하는 난관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충남에 위치한 B대학에서 2017년 1학기, 2학기, 2018년 1학기동안 PBL 수업을 운영한 교수 32명이 작성한 수업성찰 보고서의 수업운영 난관관련 내용을 귀납적 분석방법(inductive content analysis)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PBL 수업운영의 난관들은 교수신념(teaching beliefs), 교실문화(classroom culture), 학습촉진(learning facilitation), 평가(assessment), 학교환경(school environment)의 대주제로 구분되었다. 이와 같은 교수들의 PBL 운영 난관을 해소하기 위해 향후 필요한 연구와 지원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PBL 운영 난관별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둘째, 학교차원에서 교수의 PBL 수업운영의 난관을 극복할 수 있는 교수역량개발 프로그램이 지원되어야 한다. 셋째, PBL 수업운영에 부합하는 물리적 학교환경과 학사제도의 변화가 수반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PBL 운영 난관에 대한 연구가 보다 확대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