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BL(Program based Learning)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7초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 프로그램 개발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분석 (Development of web-based and problem-based learning program(PBL) and its effect on studies achievement)

  • 김경현;정미경;최운필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12
    • /
    • 2005
  • 본 구성주의적 학습 모형의 일종인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PBL)'을 웹 기반으로 구현하려는 것은 WBI 유형의 다양성을 모색한다는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WBI의 구성주의적 활용안의 구체적 사례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러한 WBI에 의한 교수 학습 과정이 학업성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통적 수업 2개 집단과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 1개 집단의 총 3개 집단으로 나누어 과학 교과 지도를 통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이 학업성취 향상에 효과적임이 규명되었고, ICT활용 능력에 따라서도 학업성취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은 학습자의 ICT활용 능력의 향상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살펴본 PBL 부분통합 교과과정에 대한 간호학생의 인식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f PBL Hybrid Curriculum Examin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 김수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343-354
    • /
    • 2019
  • 본 연구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PBL 부분통합 교과과정에 대한 간호학생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질적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간호학과 4학년 학생이며, 총 25명을 4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자료는 의미있는 주제를 찾기 위해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6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1) PBL 부분통합 교과과정의 비효율성 2) 학습에 대한 불안 3) PBL 운영에 대한 불만 4) 조별활동의 어려움 5) PBL에 대한 수용 6) 변화와 만족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을 제안한다. PBL에서 학습내용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과 과정평가 비중을 높여 PBL 평가의 본래 취지를 살려야 할 것이며 PBL 전문가와 전문부서에 의한 세분화된 튜터 교육프로그램이 개발,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예비교사를 위한 문제중심학습에 기반한 '소비자학' 수업 사례 (A Case Study on the 'Consumer Studies' Class Using Problem-Based Learning for Prospective Home Economics Teachers)

  • 정주원;하오선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01-11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 중심 교수방법인 문제기반학습(PBL)을 '소비자학' 교과목에 적용하는 것이다. '소비자학'을 수강하는 대학생 27명을 대상으로 경제개념 특강안과 재무컨설팅을 제안하는 2가지 PBL 문제를 개발하고 총 7주간 PBL 수업을 진행하였다. PBL 효과는 학습자들이 작성한 성찰일지, 자기평가지, 수업만족도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학습자는 문제해결 과정에서 소비자학 교과목의 학습목표를 달성했으며, 팀원과의 협업과 소통 방식을 습득하는 경험을 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자기주도적 학습이 이루어졌으며, 문제해결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는 학습과제이행, 적극적 상호작용, 자기주도적 학습수행 능력 등 PBL 수업에 임하는 스스로를 평균 4.68로 높이 평가했으며, PBL 수업에 대한 수업만족도도 평균 4.75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교수자 및 예비교원에게 PBL 수업에 대한 유용한 정보로 제공될 것이며, 학습자중심 PBL 수업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문제중심학습(PBL)에서 팀 활동을 촉진을 위한 퍼실리테이션 프로그램 적용에 대한 융합 연구 (Effects of a Team Facilitation Program on Team Activities in Problem Based Learning)

  • 양복순;최경윤;심정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299-308
    • /
    • 2019
  •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PBL)의 수업 효과를 촉진하기 위한 전략으로 팀 퍼실리테이션 프로그램 적용 후 팀 활동 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팀 역동성을 측정한 융합연구이다. 연구방법으로 실험군에게는 팀 퍼실리테이션 프로그램을, 대조군에게는 인간관계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팀 퍼실리테이션 프로그램을 교육 받은 실험군이 인간관계 교육을 받은 대조군보다 팀 활동을 위한 개인기여 역량(F=5.12, p<0.05), 팀원들의 팀 역동성(F=10.35,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팀 역동성 항목 중 팀원 간 신뢰(F=9.86, p<0.01), 의사소통(F=5.69, p<0.05), 팀 학습행동(F=4.57 p<0.05)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 결과, PBL 수업에서 팀 퍼실리테이션 프로그램이 팀 역동성을 촉진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PBL과 같은 소그룹 협동 학습에서 팀 역동 활성화에 필요한 교육적 프로그램을 사전에 적용할 필요성이 있다.

문제중심학습에서 학습자가 평가한 튜터 역할이 문제중심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earners' perceived roles of a tutor on Problem-Based Learning satisfaction in Problem-Based Learning)

  • 김수진;강희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4942-4949
    • /
    • 2014
  •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에서 학습자가 평가한 튜터 역할이 문제중심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제중심학습으로 수업받는 간호학과 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튜터 역할과 문제중심학습 만족도 도구를 가지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V. 20.0) 프로그램으로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4가지 튜터 역할 중 '지식통합촉진' 역할과 문제중심학습 만족도간에 관련성이 있었고 문제중심학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튜터 역할은 '지식통합촉진' 역할이었다.

기계분야 일학습병행제에서의 PBL 실태 분석 (Analysis of PBL for Korean Apprenticeship Program in Mechanical Engineering)

  • 장혜정;강선애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515-53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실무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고용노동부 일학습병행제 교육훈련에서 문제 기반 학습(PBL)을 활용하는 실태를 분석하여 공업분야 일학습병행제에서의 PBL 활용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24개 NCS 대분류 분야 중에서 가장 많은 일학습병행제 참여 실적을 가지고 있는 공업분야인 기계분야를 중심으로 실태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분석, 설문조사, FGI를 수행하였다. 먼저 일학습병행제와 일학습병행제에서의 PBL 적용현황, 공업분야를 중심으로 PBL 수업모형 등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는 일학습병행제에서의 PBL 인식과 운영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총 515명의 공동훈련센터 교수, 기업현장교사, 학습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총 515명 중 108명의 기계분야 응답자의 설문조사 결과를 전체 결과와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일학습병행제에서 PBL 활용경험이 있는 총 25명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여 보다 심층적인 실태와 애로사항을 수렴하였고 그 결과를 결론 및 제언에 반영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론과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PBL은 4차산업혁명시대의 미래 역량인 비판적 사고와 분석능력,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일학습병행제의 주요한 교수학습방법으로 더욱 확대될 필요가 있다. 둘째, 실험·실습이 많고 협업을 통한 프로젝트로 작업이 수행되는 공업분야의 특성 상 PBL은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일학습병행제에 참여하고 있는 모든 분야와 모든 기업에서 PBL이 효과적이며 잘 활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므로 어떠한 유형과 NCS 분야, 직무기술 수준에서 보다 잘 활용할 수 있을지 추가적인 고려가 필요하다. 넷째, PBL로 진행된 OJT를 위한 적절한 평가방법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일학습병행제에 맞는 PBL 운영 모델의 개발, 우수사례 및 가이드라인 보급, PBL 실행역량을 고려한 참여기업 선정, 교수자이자 평가자로서 기업현장교사의 역량 강화, 일학습병행 참여기업의 형태와 역량을 고려한 e-PBL의 적극적인 도입 등이 일학습병행제에서 보다 효과적인 PBL 활용과 후속연구를 위해 제안되었다.

문제중심학습 수업에 내재된 학습동기 유발요인과 수업효과성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ARCS (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and Satisfaction) Learning Motivation Factors and Class Effectiveness Inherent in Problem-Based Learning Classes)

  • 이미숙;채수은
    • 의학교육논단
    • /
    • 제16권3호
    • /
    • pp.156-166
    • /
    • 2014
  • The current study aime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and satisfaction (ARCS) learning motivation and class effectiveness inherent in problem-based learning (PBL) classes designed for dental and nursing students. Seventy-nine participants responded to survey items for motivation and class effectiveness after completion of their classes. The study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s among the $dental^{**}$, $clinical^{**}$, and $nursing^{**}$ PBL classes were identified in terms of class effectiveness (F=3.63, p<0.05) and academic achievement (F=13.9, p<0.01). Second, three learning motivation factors-satisfaction (t=4.07, p<0.01), confidence (t=2.84, p=0.01), and relevance (t=2.96, p<0.01)-appeared to determine class effectiveness in the abovementioned order. Only attention (t=2.02, p=0.05)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academic achievement.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hours of learner contribution to the PBL tasks and academic achieve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we suggest the incorporation of ARCS motivation factors in PBL classes on the ba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ajor and grade.

몽골 대학에서 PBL을 이용한 경제학 수업의 실제적 적용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Application of Economics Class Using PBL Mongolian University)

  • 바야르마;이근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738-743
    • /
    • 2018
  • 본 논문은 몽골 대학에 학생들이 21 세기 요구하는 여러 가지 능력을 기르기 위하여 PBL을 경제학 교과목에 적용하였다. 몽골 대학에서 처음으로 PBL 활용을 위하여 PBL 문제를 개발하여 수업에 적용하고 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은 경제학 교과목을 수강한 D 대학 1 학년 학생 60명이였으며, PBL수업은 16주에 5개 PBL문제를 적용하였다. 학생들은 수업을 끝날 때마다 성찰일지 작성하여 제출하였으며 마지막 PBL 문제 활동이 끝난 후에 PBL 수업에 대한 강의 평가지를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는 학습내용의 대한 이해, 협동학습의 대한 이해, 실제적 경험, 창의 문제해결력, 프리젠테이션 스킬, 의사소통 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자신감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PBL학습 활동 과정에서 학습 환경 아직 잘 준비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어려움이 도출되기도 하였다. 몽골 학생들은 21 세기에 요구하는 미래의 리더로서의 전문성을 기를 수 있는 새롭고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능동적인 학습 방향을 갖춘 전문 인재를 육성하고자 하는 몽골 대학 교육의 궁극적인 교육 목표 달성에 큰 시사점을 준다.

샵매니저를 위한 비주얼 머천다이징 수업에의 문제중심학습 (PBL) 적용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Visual merchandising (PBL) for Shop Manager)

  • 이지수;이윤정;노혜균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6권1호
    • /
    • pp.71-84
    • /
    • 2018
  • This study presents a case of a visual merchandising course adopting a problem-based learning (PBL) model, as a part of shop manager training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Various vocational training classes are actively developed for vocational high schools, yet programs in the home economics area are relatively lacking. In particular, education programs for shop manager training are urgently required due to the high demand of this job in the fashion industry. The PBL model, which reflects constructionist learning theory, is considered for this visual merchandising course in order to help develop the ability of students to creatively apply their knowledge on real-world problems through self-driven learning. For the purpose of job analysis, two problem areas were identified through interviews conducted with shop managers who work for apparel shops in department stor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professors and high school teachers developed two PBL instructional modules. The developed module courses were implemented with 2 classe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e learning outcome was examined through the analysis of a student survey and reflection journals. It was apparent that the PBL courses effectively attracted the interests of learners in vocational training and improved their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as well as cooperation skill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mplementing the PBL model for the training of store managers can contribute to the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for high school students.

공간문화콘텐츠 창제작 프로젝트 기반 수업 :신촌 도시재생 커뮤니케이션 캠페인 PBL 효과분석을 중심으로 (Project Based Learning for University-Led Urban Regeneration: A Case Study on the Strategic Communication Campaign Class for the Sinchon Regeneration Project)

  • 유승철;정광희;류정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207-215
    • /
    • 2020
  • 광고PR을 포함한 문화콘텐츠 응용학문에서 프로젝트기반학습(이하 PBL)에 대한 수요가 날로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전략 커뮤니케이션 캠페인'과목을 PBL 방식으로 두 학기 동안 진행한 후 수업 프로젝트가 목표한 성과를 측정하고 관련된 요인 구조를 파악했다. 구체적으로, 서울시 '서대문구 신촌 도시재생'을 주제로 진행된 프로젝트 기반수업에서 수강생 대상으로 학기 초와 말에 두 차례 진행한 사전-사후 설문 분석결과 본 수업에서 주요 변수로 간주한 '신촌에 대한 장소애착'에서 유의미한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수업의 지적효용, 수업의 즐거움, 수업만족과 장소애착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토한 결과 수업만족이 장소애착을 예측하는 주요 변인임을 확인했다. 수업성적은 장소애착에 직접적 영향을 행사하지만 타 변인들과의 영향관계를 보여주지는 않았다. 본 연구는 '문화콘텐츠 창제작 분야 PBL 수업 실제 사례를 다룬 연구로 문화콘텐츠 영역 PBL 학술연구뿐 아니라 대학교육 현장에서 PBL을 실제 적용하는데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본 연구가 대학들에 PBL 교수법을 확산시킴으로써 문화콘텐츠 관련 전공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를 높이는 동시에 청년들의 취창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도 일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용적 함의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