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wave

검색결과 1,570건 처리시간 0.023초

콘크리트의 P파 속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P-wave Velocity of Concrete)

  • 이광명;이회근;김동수;김지상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III)
    • /
    • pp.725-730
    • /
    • 1998
  • Recently, non-destructive tests are getting popular in evaluating concrete properties without braking specimens. Among several NDT methods, P-wave velocity measurement technique has been widely used to evaluate the stiffness and strength of concre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P-wave velocity measured by impact-resonant method and ultrasonic pulse velocity method, such as moisture content of concrete, existence and size of coarse aggregates, sensor and sampling rate. Test results show that rod-wave velocity measured by impact-resonant method and ultrasonic pulse velocity a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moisture content of concrete, i.e., the lower moisture content, the lower velocity. Moisture content influences rod-wave velocity stronger than ultrasonic pulse velocity. Rod-wave velocity is faster in concrete than in mortar and is also faster in concrete containing small size aggregates. Sensor and sampling rate have little influence on velocity.

  • PDF

Recent Developments of Wave Energy Utilization in Denmark

  • Kofoed, J.P.;Frigaard, P.;Kramer, M.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6년 창립20주년기념 정기학술대회 및 국제워크샵
    • /
    • pp.91-98
    • /
    • 2006
  • This paper aims at giving an overview of the developments researchers at the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Aalborg University, Denmark (DCE), have been involved in within the field of wave energy utilization in Denmark over the past decade. At first a general introduction is given followed by a more thorough description of three ongoing projects. These are Wave Dragon, Wave Star and Seawave Slot-cone Generator. Common for these projects are that they are being, or will soon be, tested in real sea and have benefited from the Danish Wave Energy Program. The work by the department on these projects involves substantial laboratory testing, numerical simulations and real sea prototype testing.

  • PDF

802.11p WAVE에서 비콘메시지를 이용한 A-GBSR 프로토콜 설계 (Design of A-GBSR Protocol Using Beacon Message in 802.11p WAVE)

  • 정선미;김현주;김창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1554-1560
    • /
    • 2015
  • 802.11p WAVE는 차량 간 Ad-hoc 네트워크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차세대 무선통신이다. 이 통신의 프로토콜 중 하나인 GBSR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단절의 개선에 중점을 두어서 패킷의 전송시간과 전송속도를 고려하지 않아 실제 도로위의 교통사고나 응급환자의 수송 및 범죄와 같은 정보의 전달이 필요한 긴급 상황에 전송 속도가 늦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GBSR 프로토콜의 전송속도를 고려하여 개선된 비콘메시지와 이웃노드 리스트 관리를 통해 속도가 빠른 이동노드에게 패킷을 전송하는 A-GBSR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802.11p 기반 다중 라디오 다중채널 네트워크 환경에서 안전 메시지 전송을 위한 내쉬 협상 해법을 이용한 채널할당 (Channel assignment for 802.11p-based multi-radio multi-channel networks considering beacon message dissemination using Nash bargaining solution)

  • 권영호;이병호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63-69
    • /
    • 2014
  • IEEE 802.11p 차량 네트워크 환경 (WAVE)에서는 차량 운전자의 안전을 위해서 주기적으로 안전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되어 있다. 차량 안전 메시지의 전송을 통해 도로상의 안전과 주행 효율을 제공하기 위해서 WAVE 표준에서는 멀티 채널 멀티 라디오 환경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WAVE 표준안은 안전메세지를 하나의 물리 디바이스에 하나의 채널을 이용하여 제어하고 전송하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어서 다중 라디오 환경과 안전 메시지 전송 효율성을 고려하지 않았다. 또한 네트워크 무선상에서 서로 충돌이 일어나지 않는 채널을 할당하는 채널 할당은 네트워크 망구성방식을 잘 알고 있거나 모든 노드들이 같은 전송률을 가지는 무선 대역에 있어도 NP-hard한 문제로 잘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신 802.11p와 1609.4 802.11p 표준을 이용해서 다중 채널 다중 라디오 WAVE 환경을 무선 메쉬 네트워크로 가정하여 Nash 협상 게임을 통해서 서로 간섭이 없는 채널을 할당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제안된 알고리즘은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검증하였고 해당 알고리즘이 8채널 3 라디오 환경에서 랜덤 채널 할당 방법이나 Tabu 알고리즘 보다 효율성이 좋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Fractional wave propagation in radially vibrating non-classical cylinder

  • Fadodun, Odunayo O.;Layeni, Olawanle P.;Akinola, Adegbola P.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13권5호
    • /
    • pp.465-471
    • /
    • 2017
  • This work derives a generalized time fractional differential equation governing wave propagation in a radially vibrating non-classical cylindrical medium. The cylinder is made of a transversely isotropic hyperelastic John's material which obeys frequency-dependent power law attenuation. Employing the definition of the conformable fractional derivative, the solution of the obtained generalized time fractional wave equation is expressed in terms of product of Bessel functions in spatial and temporal variables; and the resulting wave i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peakons, the appearance of which fade in density as the order of fractional derivative approaches 2. It is obtained that the transversely isotropic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cylinder increases the wave speed and introduces an additional term in the wave equation. Further, it is observed that the law relating the non-zero components of the Cauchy stress tensor in the cylinder under consideration generalizes the hypothesis of plane strain in classical elasticity theory. This study reinforces the view that fractional derivative is suitable for modeling anomalous wave propagation in media.

REMARKS ON THE INFINITY WAVE EQUATION

  • Huh, Hyungjin
    • 대한수학회보
    • /
    • 제58권2호
    • /
    • pp.451-459
    • /
    • 2021
  • We propose the infinity wave equation which can be derived from the exponential wave equation through the limit p → ∞. The solution of infinity Laplacian equation can be considered as a static solution of the infinity wave equation. We present basic observations and find some special solutions.

특발성 발작성 심방세동 환자에서 P파 간격분산의 의의 (P Wave Dispersion as a Predictor of Idiopathic Paroxysmal Atrial Fibrillation)

  • 홍그루;김웅;박종선;신동구;김영조;심봉섭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8권2호
    • /
    • pp.267-276
    • /
    • 2001
  • 특발성 발작성 심방세동 환자에서 P파 간격 분산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해 있었으며, 동율동으로 전환 후 약물로 예방 치료를 받은 경우 12개월 후 추적 검사했을 때 최대 P파 간격과 P파 간격분산이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아마도 발작성 특발성 심방세동 환자에서 정상인보다 심방내의 전기적 불안정성과 불균질성의 증가에 기인한다고 보여지며, 약물 치료를 했을 때 이러한 전기적 불안정성이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P파 간격분산은 향후 발작성 심방세동 환자의 선별 검사로서, 또한 치료 후 재발을 예측할 수 았는 예후 인자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는 예측을 해보며, 이를 규명하기 위해 추후 더 많은 표본들에 대한 전향적인 시도가 이루어져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공용도로에서의 통신방식에 대한 전파특성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Radio Characteristics about Communication Mode in a Road)

  • 최기도;임기택;조형래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95-101
    • /
    • 2016
  • 차량통신시스템은 차량/도로기술과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하여 다양한 안전 메세지를 전송하거나 지능형 교통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최근 차량용 센서와 통신 기술의 발달로 길안내와 교통체중 알림 서비스뿐만 아니라 주변 차량의 주행 정보, 도로 상태정보, 차량 간 긴급 메시지 전달 등과 같은 다양한 ITS 서비스가 가능해졌다. 일반적으로 차량통신은 WAVE라고 알려져 있는 IEEE 802.11p/1609표준을 채택하여 차량간 통신 및 차량-노변기지국간 통신에 이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WAVE 통신 표준에 대하여 설명하고 신호 특성을 소개하였다. 또한 V2X 통신을 위해 실제 구현된 노변 기지국(RSS), 차량통신장치(OBE)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실제 WAVE 통신의 성능 평가를 위해 시험도로에서 시험차량의 통신장치의 수신 신호 세기 지수(RSS)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WAVE 통신 성능은 ITS 서비스에 충분히 가능함을 실제 시험을 통하여 입증하였다.

ECG 패턴 분석과 템플릿 문턱값을 통한 조기수축 부정맥분류 (Premature Contraction Arrhythmia Classification through ECG Pattern Analysis and Template Threshold)

  • 조익성;조영창;권혁숭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437-444
    • /
    • 2016
  • 일반적인 부정맥 분류 방법의 경우 심방 박동 수와 관련한 PP간격, P모양의 다양성과 같은 조건을 이용하는데, 잡음으로 인해 정확한 P파의 검출이 어렵기 때문에 잡음의 영향을 비교적 적게 받는 R파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R파 중심의 ECG(electrocardiography) 패턴 분석과 템플릿 문턱치를 도입하여 조기수축 부정맥 분류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형태 연산을 통한 전 처리 과정과 차감 동작 기법을 통해 R파를 검출하였다. 이후 RR 간격의 평균 가중치와 변화율을 이용하여 먼저 조기수축 파형의 패턴을 분류하고, R파의 진폭에 대한 템플릿 문턱값을 통해 조기심실수축과 조기심방수축을 분류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제안한 방법의 우수성을 입증하기 위해 조기 심방과 심실수축이 30개 이상 포함된 MIT-BIH 6개의 레코드를 대상으로 한 R파의 평균 검출율은 99.77%의 성능을 나타내었고, 조기심실수축과 심방수축 부정맥은 각각 94.91%와 95.76%의 평균 분류율을 나타내었다.

고속주행 환경에서의 WAVE 통신장치 성능분석 (Performance evaluation of WAVE communication systems under a high-speed driving condition in a highway)

  • 송유승;이상우;오현서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96-102
    • /
    • 2013
  • 최근에는 차량용 센서와 통신 기술의 발달로 길안내와 교통체증 알림 서비스뿐만 아니라 주변 차량의 주행 정보, 도로 상태 정보, 차량 간 긴급 메시지 전달 등과 같은 다양한 ITS 서비스가 가능해졌다. ITS 서비스의 발전은 고속 주행용 차량을 위한 V2X 통신 기술이 소개되면서 가속화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V2X 통신기술 중에서 IEEE802.11p 규격을 기반으로 개발한 WAVE 통신장치를 소개한다. WAVE 기술로 구현된 기지국 및 차량 통신장치에 대한 구조 및 특징 그리고 각 통신장치에 사용된 RF/안테나의 특성에 대해서도 설명하였다. 개발한 WAVE 통신장치의 성능 평가를 위해 시험차량에 설치된 통신장치와 시험 도로에 설치된 기지국 통신장치간의 데이터 전송량과 PER 그리고 지연시간 등을 실제시험도로에서 측정하였다. WAVE 통신장치는 전반적으로 6~7Mbps의 데이터 전송량을 가지며 1km 통신영역에서 10% 내외의 PER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모든 구간에서 3ms이내의 패킷 지연시간을 만족하였다. 측정된 WAVE 성능은 ITS 서비스에 충분한 성능이며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도 가능함을 실제 시연을 통해서 입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