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zational Silence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61초

외식산업 조리종사원의 직장 내 괴롭힘이 조직침묵, 반생산적 행동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성별과 고용형태의 조절효과 검증 (The Influence of Foodservice Industry Culinary Staff's Workplace Harassment in Organizational Silence,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and Turnover Intent: Focus on Moderating Effects on Gender and Staff's Job Status)

  • 김영중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5-28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workplace harassment in foodservice industry culinary staff's on organizational silence,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and turnover intent. Based on total 234 samples obtained from empirical research, this study tested the reliability and fitness of the research model and verified a total of 5 hypotheses using the AMOS program.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hypothesized relationships in the model were tested simultaneously. The proposed model provided an adequate fit the data, $x^2=75.936$ (p<.001), df=41, CMIN/DF=1.852, GFI=.946, AGFI=.913, NFI=.914, TLI=.944, CFI=.958, RMSEA=.060. The model's fit, as indicated by these indexes, was deemed satisfactory, thus providing a good basis for testing the hypothesized paths. The SEM showed that the relational workplace harassment (${\beta}=.957$) had a positive significan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silence, organizational silence (${\beta}=.934$) had a positive significant influence on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Also,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beta}=.815$) had a positive significant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The moderating effects on gender and job status did not show significant effect.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discussed.

조직침묵 관련 국내연구동향 분석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with Organization Silence)

  • 김명자;김미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189-200
    • /
    • 2016
  • 본 연구는 조직침묵에 관한 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조직침묵의 개념을 이해하고, 관련변수와 대상자의 융합적 관련성을 파악하여 향후 연구 방향을 수립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06년부터 2015년까지 국내학술지에 게재된 조직침묵 관련 연구 26편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이중 25편(96.2%)의 연구가 2011년부터 2015년 사이에 이루어졌으며, 또한 전체연구의 25편(96.2%)이 서술적 조사연구였다. 연구대상자는 주로 경찰이 많았으며, 다음으로 호텔종사원, 기업종사원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직침묵 측정은 Van Dyne, Ang & Botero(2003)의 도구를 사용하거나 이를 수정 보완하여 활용하였다. 조직침묵 결과변수로는 이직의도를 제시한 연구가 13편으로 가장 많았다. 조직침묵에 대해 다양한 조직을 대상으로 한 확대 연구와 국내 풍토에 적합한 측정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병원조직문화, 조직침묵과 직무 배태성이 종합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복합 연구 (The Effect of Hospital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Silence and Job Embeddedness on Turnover Intention of General Hospital Nurses)

  • 우정희;이민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385-39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병원조직문화, 조직침묵과 직무 배태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종합병원 근무 간호사 152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2017년 4월 19일부터 4월 30일까지 수집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이직의도는 체념적, 방어적 침묵이 정적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합의지향적 조직문화, 직무배태성의 희생, 적합성, 연계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직의도의 영향요인으로는 현 근무지 경력, 방어적 침묵, 희생이 있었으며, 이직의도에 대한 이들의 설명력은 47%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해서 적절한 부서이동의 기회 및 간호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패턴 변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제공, 타 기관과 차별화된 복지 제도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직장인의 내현적 자기애가 조직 침묵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회피 동기의 이중매개효과 (Mediation Effect o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Avoidance Motivation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Organizational Silence)

  • 김주현;정우진;정승철
    • 벤처혁신연구
    • /
    • 제4권1호
    • /
    • pp.67-86
    • /
    • 2021
  • 본 연구는 직장인의 내현적 자기애가 조직 침묵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회피 동기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393명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내현적 자기애, 조직 침묵,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회피동기를 측정 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내현적 자기애와 조직 침묵,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회피 동기는 정적 상관관계에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각 변수들의 관계에서 모두 적절한 설명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회피 동기를 매개변수로 하여 매개 모형 검증을 한 결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은 내현적 자기애와 조직 침묵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검증되지 않았고, 회피 동기는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내현적 자기애와 조직 침묵 간의 관계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회피 동기 변인 사이에서의 이중매개가 성립함을 확인하였다. 이후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행정직 간호사의 조직침묵, 전문직업성이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ganizational Silence and Professionalism on Job Embeddedness among Nurses in Hospital Management)

  • 김정원;강경화
    • 임상간호연구
    • /
    • 제25권2호
    • /
    • pp.198-207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data to establish an efficient manpower management plan so that the organization can identify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silence and professionalism on job embeddedness among nurses in hospital management. Methods: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50 nurses in hospital management who were working in general hospitals with less than 900 beds but more than 300 beds in the districts of Seoul and Gyunggi, Gangwon province. Of the questionnaires, 127 out of 150 copies were collected and 120 copi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Seven were not considered sincere in the response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 22.0 statistic program, t-test, ANOVA, $Scheff{\acute{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Organizational silence and professionalism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job embeddedness, which explained 43.4% of job embeddedness.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in order to raise job embeddedness,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programs to change communication patterns in the nurses in hospital management, and to create environments in which nurses in hospital management can present various opinions.

임상간호사의 상사신뢰도, 간호업무강도, 조직냉소주의가 조직침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rust in Supervisor, Work Intensity and Organizational Cynicism on Organizational Silence in Clinical Nurses)

  • 김효정;조연교;이지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627-635
    • /
    • 2018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조직침묵에 상사신뢰도, 업무강도와 조직냉소주의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8년 2월부터 3월 까지 B광역시와 U광역시에 소재한 100병상 이상의 6개 병원에 근무하는 임상간호사 13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 program을 활용하여 임상간호사의 상사신뢰도, 간호업무강도, 조직냉소주의, 조직침묵의 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상사신뢰도, 간호업무강도, 조직냉소주의, 조직침묵의 차이는 t-test와 one-way ANOVA, 사후검증은 $Scheff{\acute{e}}$ test,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조직침묵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의 상관관계에서 조직침묵은 상사신뢰도와 유의한 음의 상관(r=-.32, p<.001), 업무강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r=.18, p=.043)을 나타냈다. 조직침묵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상사신뢰도(${\beta}=-.36$, p<.001)가 가장 컸으며, 다음이 현재의 병원 근무기간 중 10년 이상(${\beta}=-.67$, p=.002), 근무형태 중 상근근무(${\beta}=-.79$, p=.022), 3교대 근무(${\beta}=-.64$, p<.001)였고 총 설명력은 26.0%였다(F=11.47, p<.001). 이상의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간호조직에서 임상간호사와 상사의 신뢰도 향상안, 다양한 근무형태 등 업무강도의 변화를 통해 조직침묵 개선을 위한 중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진성리더십과 상사에 대한 신뢰, 조직침묵, 이직의도, 반생산적 과업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Trust in Superiors, Organizational Silence, Turnover Intention, and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s)

  • 권혁기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131-147
    • /
    • 2017
  • 본 연구는 진성리더십이 상사에 대한 신뢰와 조직침묵을 매개로 이직의도와 반생산적 과업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통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며 이를 통하여 진성리더십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부산 소재 중규모 제조업체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진성리더십의 구성요소를 상사의 투명성, 도덕성, 균형 잡힌 처리, 자아인식으로 구분되었으며 구성요소 모두 상사에 대한 신뢰에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사에 대한 신뢰는 구성원들의 조직침묵(체념적, 방어적)에 부(-)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조직침묵은 조직 내 구성원들의 이직의도와 반생산적 과업행동에 모두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성원 침묵, 학습관성, 지식공유 비열의 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Employee Silence, Learning Inertia, and Knowledge Sharing Disengagement)

  • 허명숙;천면중
    • 지식경영연구
    • /
    • 제18권4호
    • /
    • pp.31-62
    • /
    • 2017
  • It found that employee silence negatively impacts both organizations and their employees as shown in findings from many studies and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it. Silence is described as intentionally withholding job-related ideas, information, concerns, and opinions. Employee silence may decrease organizational change and innovation and reduce employee learning motivation and knowledge sharing engagement as we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silence motivations, perceived silence climate, and employee silence; the relationships among employee silence, learning inertia and knowledge sharing disengagement; the mediating role of employee silence between antecedents of employee silence and consequences additionally. The results that analyzed using data from 225 employees in 42 organiz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impact of silence motivation and perceived silence climate on employee silence are positively significant. Second, the influence of defensive silence motivation on the acquiescent and relational silence motivation is positively significant. Third, the influence of employee silence on learning inertia and knowledge sharing disengagement is positively significant. Forth, employee silence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ilence motivation and perceived silence climate and learning inertia and knowledge sharing disengage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employee silence is another strong expression and message for organizations to try to establish a learning organiz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knowledge management.

A Structure Model of Clinical Nurses' Silence on Patient Safety

  • Han, Jeongwon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8-77
    • /
    • 2018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hypothetical model on silence regarding patient safety and to verify the model's goodness of fit and hypotheses.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30 registered nurses working in tertiary hospitals with over 300 bed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July 1, and August 30, 2017, from nurses who agreed to participate. A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The model of fit index was $x^2=59.54$, normed $x^2=2.29$, GFI=.97, AGFI=.93, SRMR=.05, NFI=.99, CFI=.95 and RMSEA=.05. The organizational culture had an influence on patient safety motivation (${\beta}=.26$, p=.003) and attitude (${\beta}=.43$, p<.001). RN-MD collaboration had an influence on patient safety motivation (${\beta}=.33$, p<.001), attitude (${\beta}=.35$, p<.001), and patient safety silence (${\beta}=-.17$, p=.026). Supervisory trust had an influence on patient safety motivation (${\beta}=.26$, p<.001), attitude (${\beta}=.12$, p=.036), and patient safety silence (${\beta}=-.23$, p=.002). Patient safety motivation had an influence on patient safety silence (${\beta}=-.33$, p=.006). The model of patient safety silence explained 36.0% of the variances.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for nursing education and program development for rejecting patient safety silence.

병원 간호사의 침묵 행위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the Hospital Nurses' Silence Behavior Scale)

  • 정수진;황지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279-295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cale to measure hospital nurses' silence behavior and examine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Methods: A total of 52 preliminary items on hospital nurses' silence behavior were selected using a content validity test by seven experts on 53 candidate items derived from a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s with 14 nurses. A total of 405 hospital nurses participated in a psychometric testing. Data analysis comprised item analysis,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and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test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for assessing concurrent validity, and Cronbach's alpha was used for the reliability test. Results: The final scale consisted of nine factors with 31 items, exhibiting acceptable model fit indices,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The score of the entire scal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Organizational Silence Scale (OSS)-the issues on which nurses remain silent' (r = .60, p < .001) and 'OSS-the reasons why nurses remain silent' (r = .68, p < .001). Cronbach's α of the scale was .92, and α of each subscale ranged from .71 to .90. Conclusion: The Hospital Nurses' Silence Behavior Scale is a useful tool for assessing multifaceted silence behavior among nurses. It can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better communication strategies among nurses and other hospital staf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