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nline real-time class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1초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수학과 원격수업의 만족도 및 수학학습과의 연관성에 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Mathematics Online Class and its Relationship with Mathematical Learning in Corona-19)

  • 김홍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5권3호
    • /
    • pp.341-358
    • /
    • 2021
  • 2020년 처음 발생한 코로나는 사회 전반에 많은 변화를 초래했다. 이러한 변화에 있어 교육 역시 예외가 아니었다. 학교에서는 사상 유례없는 온라인 개학을 시행했고 학생들과 교사는 충분한 준비 없이 원격수업에 참여해야 했다. 원격수업과 관련하여 관련 자료 개발, 만족도 조사와 같은 연구들이 수행되었으나 실제 학교 현장을 기반으로 한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20년부터 원격수업에 참여한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원격수업의 방식 및 만족도를 조사하고 원격수업 만족도와 수학학습과 관련된 하위요소들과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수학 교과에서는 원격수업이 대체로 실시간 쌍방향 수업의 형태로 이루어졌으며 학생들은 수학학습에 만족을 느꼈다. 하지만 원격수업을 지속해야 하는 것의 문제에 있어서 어느 정도 상반된 의견을 표명하였다. 또한, 통계분석 결과 원격수업에 대한 만족도에 따라 수학학습 의지, 전략, 수학에 대한 가치, 학습의욕 등에서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드러났다.

빅데이터를 접목한 스마트시대 온라인 학습 모델의 제안과 실증 (Proposal of Smart era Online Learning Model with BigData)

  • 박재천;이두영;국성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991-1000
    • /
    • 2015
  • 본 논문은 스마트시대의 온라인 학습에 대한 논문으로, 새로운 모델을 제안하고 실증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온라인 학습 클래스 운영에 있어 각 학습 요인들을 통해서 최종 성취도를 예측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학습 운영 요인 7가지를 정하고 학습자들의 데이터를 수집한 후 의사결정나무방법을 통한 예측 모델을 완성한다. 모델을 통한 예측성을 확인한 후, 일반성 확보를 위해 다른 교과목에도 모델을 적용시켜 예측성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기존의 온라인 클래스의 정적인 학습 모델을 넘어 객관적인 지표를 이용한 학업성취도를 상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학습자와 교수자 모두가 학습 중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스마트시대 새로운 패러다임의 학습 모델을 제안한다.

초등 과학 온라인 수업 운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운영실태 (Survey on Teachers' Perception and Operational State for Elementary Science Online Remote Classes)

  • 김혜란;최선영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9권4호
    • /
    • pp.522-532
    • /
    • 2020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do a survey on teachers' perception and operational state for elementary science online remote classes and suggest ways to improve the elementary science online remote classes. The survey was based on responses from 100 teachers who have taught elementary science online remote classes for the first semester of 2020 for COVID-19.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four parts: general informations of participants, the operation status of elementary science online remote classes, teachers' perceptions on the operation of elementary science online remote classes, ways to improve elementary science online remote classes. As a result of this study, elementary teachers taught elementary science online remote classes on the main use of content utilization type. And they had a difficulty in conducting elementary science online remote classes because of lack of contents, absence of elementary science online remote classes teaching methods, learner management and heavy workload. Therefore, to improve elementary science online remote classes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regional offices of education have to develop and provide high-quality contents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ience subjects, introduce a rent-an-experiment equipment system, and build a science class platform providing frequent real-time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

교양 과목에서의 온라인 수업 학습자 만족에 관한 연구 - 녹화 동영상 수업을 위주로 (A Study on the Learner's Satisfaction of on-line Classes in Liberal Arts course - Focusing on on-line recorded video lectures)

  • 전병호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97-207
    • /
    • 2021
  • The threat of COVID-19 pandemic put many universities in Korea to develop and implement various types of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such as on-line real time class and on-line recorded video class. Online education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effective educational methods because of its ubiquitous and flexible educational environments. Even though COVID-19 led to many problems such as faculty's burden and stress during the early stage of COVID-19, both students and faculties have gradually become familiar with on-line environment. As students have got accustomed to the online environment, on-line recorded lectures are shown to be more preferred rather than on-line real time class. Researches regarding the learner's satisfaction of on-line classes during the COVID-19 indicate that systematic and good quality contents and interaction by instructor are important factors. This study, therefore, investigate the learner's satisfaction of online classes in Liberal Arts course using recorded video contents in terms of contents and interaction.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reveal that systematic and good quality contents are likely to predict learner's satisfaction and interaction plays a great role in providing those contents. These findings provide insights that preparing systematic contents and interaction are key to enhancing learner's satisfaction of on-line classes in Liberal Arts course.

디지털 휴먼을 활용하여 교수-학생 상호작용을 촉진시키는 학습지원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a Learning Support System that Facilitates Teacher-Student Interaction Utilizing a Digital Human)

  • 정규성;임찬형;이해찬;부라윤;설순욱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523-533
    • /
    • 2022
  • 코로나19 팬데믹을 지나면서 동영상 수업과 실시간 온라인 교육은 활성화되었지만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 부족 문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본 논문은 실시간 온라인 수업의 교육 효과와 만족도를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상호작용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디지털 휴먼을 활용하는 학습지원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본 논문에서 디지털 휴먼은 수업에 참여하는 가상의 학습자로서 다른 학습자들이 익명 채팅 시스템을 통해 등록한 질문을 교수자에게 대신 질문해 준다. 또한, 수업의 조력자로서 교수자가 강의하는 음성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학습자에게 수업의 요약본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상호작용을 촉진한다. 제안한 시스템이 실제 온라인 실시간 수업에 활용 가능한지 검증하기 위해 Zoom 수업에 적용한다. 실험 결과 디지털 휴먼 기반의 학습지원시스템을 통하여 촉진된 질의응답과 실시간 수업 요약이 성공적으로 제공됨을 보인다.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수강자들의 집중력 측정 도구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easuring Tool for the Degree of Focus on Real-Time Online Class)

  • 최지훈;조대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2호
    • /
    • pp.565-566
    • /
    • 2021
  • 최근 펜데믹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교육 시스템은 비대면 수업을 통해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비대면 강좌는 대면 강좌와는 다르게 강의자가 수강자의 수업 상태를 파악하는데 제한이 있으며 강좌 수강 태도에 대하여 수강자를 평가하기가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비대면 강좌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 중에서 실시간 화상 강의 수강자의 참여도 추정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기존의 화상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장비를 이용하여 수강자의 얼굴, 동공 및 사용자 활동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이를 강의자에게 여러 카테고리 형태로 수업 참여도 측정값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강의자가 수업 시 수강자들의 수업 참여 여부와 수업 평가 및 향후 수업 개선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 PDF

수업 유형에 따른 학습자 만족도 비교 연구 -동일 교수자의 동일 강좌 강의평가 사례 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Learner Satisfaction according to Instructional Mode -Case Analysis of Lecture Evaluation of the Same Course by the Same Instructor)

  • 최임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778-78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수업 유형에 따른 수업설계 및 교수전략 수립을 위한 기반 자료를 얻기 위하여 동일 교수자의 동일 강좌에 대한 서로 다른 수업 유형의 강의 평가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콘텐츠 수업, 온라인 실시간 수업, 온라인과 대면 혼합 수업, 대면 수업 등 4가지 수업 유형으로 나누어, 이에 따른 학습자 만족도를 비교 분석하고 각 유형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강의 진행 적절성에 대한 강의 평가 영역에서 수업 유형별 만족도 차이가 나타났다. 즉, 온라인 실시간 수업 유형에서의 강의 진행에 대한 만족도가 콘텐츠 수업, 혼합 수업, 대면 수업의 만족도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서술형 강의 평가 분석 결과, 학습자들은 콘텐츠 수업에서는 쉽게 이해 가능하고 재미있는 설명에 만족한다고 응답하였다. 온라인 실시간 수업의 경우, 학생들은 철저한 준비와 원활한 소통에 만족한다고 평가하였다. 혼합 수업에서는 체계적 수업과 열정적 강의에 만족한다고 하였으며, 대면수업에서는 상호작용의 즐거움과 교수자의 열정을 만족도의 주된 이유로 표현하였다. 네 가지 수업 형태에서 공통적으로 도출된 만족도 특성은 교수자의 열정이라고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는 각각의 수업 유형에 따른 수업 설계와 교수 전략 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비대면 온라인 공예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사례 연구 (A Study on the Necessity and Cases of Non-Face-to-Face Online Craft Education Programs)

  • 장지수;정진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9호
    • /
    • pp.277-282
    • /
    • 2021
  • 본 논문은 비대면 온라인 공예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사례를 연구하여, 앞으로 개발될 다양한 온라인 교육 매체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현재 국내에서 운영하는 온라인 클래스 플랫폼 중, 공예 교육 프로그램이 포함된 네 곳을 선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클래스101, 하비풀, 커넥츠-취미클래스, 에어클래스가 그 사례이다. 연구 결과, 콘텐츠의 접근에 대한 편의성과 클래스 구성의 다양성이라는 공통적인 특징이자 장점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온라인 클래스 플랫폼에서 실시간 질의 및 응답 시스템이 체계적으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 시대를 맞아 점차 온라인 클래스 플랫폼의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는 만큼, 대면의 가장 중요한 특성인 상호작용이 온라인 플랫폼에서도 잘 이루어지도록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치위생(학)과 학생의 온라인 수업 질에 대한 만족도 조사 연구 (A Survey Study on Online Learning Quality Satisfaction in Dental Hygiene Students)

  • 심현주;이선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76-189
    • /
    • 2021
  •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학생의 온라인 수업 질에 대한 만족도를 파악하고자 2021년 2월 3일부터 2월 17일까지 강원도 내 대학의 치위생(학)과 재학생 최종 228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좋은 수업 구성요소 별 온라인 수업 만족도는 중요도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낮게 인식하였으며, 학습환경의 만족도가 중요도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다. 좋은 수업 세부 구성요소 별 온라인 수업의 중요도와 만족도의 차이는 수업의 체계성, 온라인 학습환경, 수업내용의 전달력에서 비교적 큰 차이를 보였다. 온라인 학습 콘텐츠 필요도는 수업자료와 VOD가 높게 나타났으며, 수업운영 유형의 만족도는 비실시간 수업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온라인 수업의 교수-설계 수립 시 질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비대면 온라인 수업실행 및 평가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 조사 (A survey of learners' satisfaction with non-face-to-face online class execution and evaluation)

  • 고은정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543-1552
    • /
    • 2022
  • Purpose: It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e students with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and use them as basic data for successful lecture design and operation. Methods: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the lBM SPSS Statistics 21 program.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were frequency analysis, non-face-to-face online class satisfaction, and test satisfaction were frequency analysis and technical statistics. Through the independent sample T test, a t-test was conducted to find out whether there was an average difference in online class and test satisfaction according to grade. Results: The advantages of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were that repetitive learning was possible (57.7%), the disadvantage was that there was a lack of real-time communication (74.9%), and the most efficient teaching method was a mixed form of online and face-to-face classes (64.9%). The satisfaction level of online classes was 2.69 points for 'self-directed learning habits,' which was the highest compared to the overall average of 2.55 points, and 2.09 points for 'difficulty in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in online classes.'Non-face-to-face test satisfaction was 2.68 points for 'short test time gives fairness to test results,' higher than the overall average of 2.45 points, and 2.07 points for 'no difficulty accessing the test.'In terms of satisfaction with the non-face-to-face test according to the grade, it was found that the third grade showed a more negative attitude than the second grade in terms of sexual fairness (p<0.05). Conclusions: Through the above results,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require various content development and some mixed classes considering the level of students, and instructors'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classes for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ar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