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nline Education Platform

검색결과 187건 처리시간 0.032초

모바일 쇼핑 환경에서 사용자 데이터 수집 및 개인화 서비스 방법 (User Data Collection and Personalization Services in Mobile Shopping Environment)

  • 김성진;김성규;오창헌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60-561
    • /
    • 2018
  •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온라인 쇼핑 시장에서 모바일 쇼핑의 비중이 확대되고 있다. 대부분의 모바일 쇼핑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기업들은 온라인 마켓의 경쟁력 확보와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사항 응대를 위해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하지만 개인화 서비스는 사용자 데이터 수집과 분석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쇼핑 환경의 사용자 데이터 수집을 위해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물품의 바코드 인식기능과 머신러닝 기반 물품의 이미지 인식 기능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기능과 푸시 알림 서비스를 통해 온라인 쇼핑 플랫폼 애플리케이션의 개인화 서비스와 사용자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할 수 있었다.

  • PDF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따른 학생들의 ICT 활용 가치 인식 변화에 따른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in Student's Perceptions of the Value of ICT Use in the Post-Corona Era)

  • 김아라;김의정;정종인;김창석;강신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78-481
    • /
    • 2021
  • 코로나-19 사태가 발생으로 인해 비대면 수업으로 전환되면서, 학교 현장에서의 교육은 전통적 강의식 수업과 다른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 이에 따라 여러 온라인 플랫폼이 새롭게 등장하였고, 우리 교육은 수업 변화의 과도기에 놓여있다. 그 결과로 여러 가지 명암이 분명히 존재하는 현재,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온라인 플랫폼 조사 후, 코로나-19 발생 이전의 보고서와 비교하여, 정의적·심동적·가치 인식의 측면에서 학생들의 ICT 활용 능력 인식 변화를 확인하고자 한다.

  • PDF

개별 학습 지원을 위한 수학 플랫폼 LMS 사례 분석 (A Case Analysis for Learning Management Systems that support Individual Students' Mathematics Learning)

  • 한상지;김형원;고호경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8권2호
    • /
    • pp.187-214
    • /
    • 2022
  • This study compares the functions of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s (LMS) in three widely used Edu-Tech platforms, that support students' individualized learning by using the learning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The rapid advances in artificial intelligence (AI) are broadening their impacts in the education industry, and play a broad role in supporting student learning. In many countries, online classes have become a norm due to the COVID-19 crisis, and the demand for Edu-Tech in classes has increased rapidly. As a result, many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are now preparing and implementing various policy measures to adopt Edu-Tech in the class setting. Therefore, in this study, we analyze and compare the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widely used Edu-Tech platforms that support individualized mathematics learning. In particular, we compare the LMSs of the three platforms by considering the elements such as learning design, learning management, learner analysis, learning result analysis, and student management func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give implications in the future directions to take on how to build Edu-Tech platform models that promote students' individualized mathematics learning in public education.

비대면 교육을 위한 메타버스 구축 및 활용 사례에 대한연구 (A study on metaverse construction and use cases for non-face-to-face education)

  • 김준호;이병성;최성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483-497
    • /
    • 2022
  • 최근 COVID-19로 인해 비대면 온라인 강의가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고등교육은 원격수업이 주요 교수 학습방법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때에 메타버스(Metaverse)가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메타버스는 아바타, 3D 공간, 상호작용을 동반한 활동과 같은 기본요소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은 기존VR(Virtual Reality) 콘텐츠와 비교되는 차이점이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의 3요소를 반영하여 실제 강의에 적용할 수 있는 교육용 메타버스 플랫폼을 설계하고 구축하였다. 즉, 중학교, 고등학교, 교사, 학부모 등의 사용성 평가를 통해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HMD, 스마트폰, 타블렛,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를 지원하는 크로스 디바이스 플랫폼을 구현하여 누구나 쉽게 메타버스 강의에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현재 메타버스 플랫폼은 다양하게 개발되어 서비스되고 있으나 교육용으로 설계된 서비스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기존 화상회의 솔루션인 Zoom과 같은 서비스를 비대면 교육용으로 사용했듯이 현재 서비스되는 메타버스의 일부 기능을 교육용으로 활용하여 일회성 이벤트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교육용 메타버스 플랫폼은 향후 교육을 위한 메타버스를 구축함에 있어서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Wikispaces: A Social Constructivist Approach to Flippe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Contexts

  • Ha, Myung-Je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2권4호
    • /
    • pp.62-68
    • /
    • 2016
  • This paper describes an attempt to integrate flip teaching into a language classroom by adopting wikispaces as an online learning platfor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tudent perceptions of the effectiveness of using video lectures and wikispaces to foster active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ve learning. Flipped learning was implemented in an English writing class over one semester. Participants were 27 low intermediate level Korean university students. Data collection methods included background questionnaires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learning experience questionnaires at the end of the semester,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6 focal participants. Because of the significance of video lectures in flip teaching, oCam was used for making weekly online lectures as a way of pre-class activities. Every week, online lectures were posted on the school LMS system (moodle). Every week, participants met in a computer room to perform in-class activities. Both in-class activities and post-class activities were managed by wikispace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flipped classroom facilitated student learning in the writing class. More than 53% of the respondents felt that it was useful to develop writing skills in a flipped classroom. Particularly, students felt that the video lectures prior to the class helped them improve their grammar skills. However, with respect to their satisfaction with collaborative works, about 44% of the participants responded positively. Similarly, 44% of the participants felt that in-class group work helped them interact with the other group members. Considering these results, this paper concludes with pedagogical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Effective E-Learning Practices by Machine Learn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 Arshi Naim;Sahar Mohammed Alshawaf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4권1호
    • /
    • pp.209-214
    • /
    • 2024
  • This is an extended research paper focusing on the applications of Machine Lear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n virtual learning environment. The world is moving at a fast pace having the application of Machine Learning (ML)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 all the major disciplines and the educational sector is also not untouched by its impact especially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This paper attempts to elaborate on the benefits of ML and AI in E-Learning (EL) in general and explain how King Khalid University (KKU) EL Deanship is making the best of ML and AI in its practices. Also, researchers have focused on the future of ML and AI in any academic program. This research is descriptive in nature; results are based on qualitative analysis done through tools and techniques of EL applied in KKU as an example but the same modus operandi can be implemented by any institution in its EL platform. KKU is using Learning Management Services (LMS) for providing online learning practices and Blackboard (BB) for sharing online learning resources, therefore these tools are considered by the researchers for explaining the results of ML and AI.

멀티미디어 수화 콘텐츠의 Semantic Logic 플랫폼 연구 (A Study on Semantic Logic Platform of multimedia Sign Language Content)

  • 정회준;박대우;한경돈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199-206
    • /
    • 2009
  • 초고속 인터넷의 발달로 멀티미디어 수화 콘텐츠가 청각장애인의 수화교육에 활용되고 있다. 수화교육에서 사용되는 대부분 콘텐츠는 한글단어에 대한 수화표현을 수화동영상으로 보여주는 내용이다. 수화를 처음 배우거나, 수화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은 수화특성을 이해하기 어렵고, 수화표현에 어려움을 나타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에서 수화표현을 학습하기 위해서 수화가 가지고 있는 특성을 참고하고, Semantic Logic을 적용한 멀티미디어 동영상기반의 수화 콘텐츠 모형에 대한 플랫폼 설계를 연구하고자 한다.

원격과학수업의 활용도 및 문제점, 학습자 행동분석 (Analysis of Utilization and Problems, and Learner Behavior of Distance Science Learning)

  • 이용섭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75-18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원격과학수업의 활용도 및 문제점과 학습자 행동분석을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는 3월부터 6월까지 16주간에 거쳐 강의가 이루어졌으며 수강학생들에게 강의평가 및 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 대상은 B 교육대학교의 '초등과학교재연구 1' 강좌를 수강하는 128명을 대상으로 2020년 3월부터 6월까지 비대면 강의를 통해 강의평가 및 면담을 통해 조사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입장에서는 대학의 LMS시스템 활용이 좋았다. 둘째, 교수자의 과학 자료제시가 온라인 시스템에서 원활하게 운영되는데 효율적이지 않았다. 다양한 플랫폼의 장단점을 살펴보면 교육의 적합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전문적인 강의 지원방식인 LMS 시스템을 보다 학습자의 요구에 맞추어 업그레이드 한다면 보다 높은 교수자와 학습자의 만족도가 높을 것이다.

줌과 스페이셜의 학습자 경험 비교 평가 (Comparison of a Learner's Experience on Zoom and Spatial)

  • 이예진;정광태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535-541
    • /
    • 2022
  • 줌(zoom)은 COVID19 이후 비대면 온라인 수업 도구로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 메타버스의 확산으로 인하여 수업 목적으로 메타버스 플랫폼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메타버스 플랫폼은 로블록스, 제페토, 스페이셜 등의 여러가지 유형이 있지만, 스페이셜은 온라인 강의실 생성과 다양한 학습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고, 교수자와 학습자 또는 학습자와 학습자 간의 다양한 상호작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학 수업에서의 활용 가능성이 높다. 온라인 수업에서 스페이셜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관점에서의 연구가 필요하고, 특히 줌과 비교한 스페이셜의 학습자경험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경험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사용성, 몰입감, 만족도의 정량 분석과 학습자 의견에 대한 정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사용성 평가를 위하여 SUS(System Usability Scale)를 활용하였고, 몰입감과 만족도 평가를 위하여 Magnitude Estimation 방법을 활용하였다. 줌과 스페이셜을 활용한 수업에 참여했던 35명이 본 연구의 피실험자로 참여하였다. 줌과 스페이셜에 대한 사용성과 만족도는 줌이 스페이셜보다 유의수준 0.05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 수업에 대한 몰입감은 스페이셜이 줌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학습자들은 줌을 스페이셜보다 더 편하고 만족스럽게 생각하였다. 하지만, 스페이셜은 온라인 강의실 생성과 다양한 학습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고, 교수자와 학습자 또는 학습자와 학습자 간의 다양한 인터랙션과 재미요소를 제공하기 때문에 수업에의 몰입도가 높게 나타났다. 향후 스페이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인터랙션의 개선이 이루어진다면 대학 수업에서 줌을 대체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업도구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미래사회와 교육환경의 변화, 그리고 초·중등 과학교육의 과제 (The Changes of Future Society and Educationa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Tasks of School Science Education)

  • 조헌국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6권3호
    • /
    • pp.286-301
    • /
    • 2017
  • Nowadays, the public as well as science educators pays much attention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wonders what will happen to the societies in the future. Thus, this study aimed at predicting the education environment which will be brought from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suggesting the solutions or tasks to be investigated in science education.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categorized the major changes of future society into a wild fluctuation of job market, the shift from possession-based economy to sharing economy, post-urbanized and distributed system, and the crisis of dehumanization. According to the four major changes, this study predicted the future environment that will occur to the educational system. First, the students should the competences necessary for the future and the school curriculum will be changed in terms of width and depth. Second, sharing economy may bring about the open platform similar to MOOC (Massive Open Online Course) or TED. Third, the manifest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 will enable the individual and paced learning, and thanks to the change, the concept of distributed cognition will be more focused in education research. Fourth, the collaborative learning and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more stressed to resist the dehumanization. This study suggests relevant tasks and issues that should be tackled for the successful change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