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lle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19초

도보여행길과 연계한 농촌마을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제주 올레길 주변 농촌마을 현장실태 조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Rural Village Related with the Trail - Focused on the Analysis of Field Investigation on the Rural Villages are Located Near the Jeju Olle Trail -)

  • 임창수;홍광우;김은자;김혜란;최진아
    • 농촌계획
    • /
    • 제19권1호
    • /
    • pp.91-107
    • /
    • 2013
  •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walking-tourists who visit Jeju olle trail are increasing every year and the ripple effect is a rapid change on the roles and leadership of local people in rural villages. The reason for the change is that most Jeju Olle Trails cuts through the rural village in Jeju island. However, most of travelers just walked along the trails, no one was interested about villages along the Olle roads. For these reasons, many rural villages would not get any benefits such as non-farm income, sales profit and also can not activate the facility of village and infrastructure. Therefore, we study on Revitalization Method for rural villages through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tourist in Jeju Olle Trails and a field survey research too. In this process, we investigated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rural villages of Jeju island in the first step. Then, we considered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and factors for improving of the 10 places with site investigation where were recommended by Jeju Olle Corporation and Jeju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in second step. Lastly, we arranged the resident's requirement and result of survey and interview with leaders of rural village. As a result, we suggest the activation methods for residents and leaders of rural area and this study is also expected to help management of rural villages and also is an important study to improve importance of utilizing of more people visiting in Jeju Olle Trails.

제주도민과 제주방문 도보여행객의 제주올레에 대한 만족도와 친환경 행동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Satisfaction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 on the Jeju Olle among Jeju Residents and Visitors)

  • 유원희;서세진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83-89
    • /
    • 2017
  • 제주올레는 2007년 제1코스 개장을 시작으로 2017년 2월 현재 총26개 코스가 제주전역에 퍼져있으며 매년 1백 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제주 올레를 걷기 위해 제주를 방문하고 있다. 제주올레는 환경문제가 큰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는 현 시점에서 도보 여행으로서 제주의 자연과 생태계를 지킬 수 있는 대표적인 친환경 여행 형태라는 점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지금까지 제주올레에 대한 연구는 제주방문 관광객 위주로 진행되어 제주올레의 또 하나의 주인이라고 할 수 있는 제주도민의 제주 올레 여행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주 방문 올레 도보여행자들과 제주도민을 함께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제주올레에 대한 여행 행태와 여행 만족도, 친환경 행동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2016년 12월부터 2017년 2월까지 수집한 총 290부의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제주도민은 제주방문 올레 도보 여행자에 비해 평균 동반 인원수가 더 많은 반면 제주올레 여행 만족도와 친환경 행동 점수는 제주방문 올레 도보 여행자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제주도민이 제주방문 올레도보 여행자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친환경 행동을 보인 본 연구 결과는 제주전체의 환경문제와 연관되는 것으로 친환경 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주도민 대상의 지속적인 환경 교육 프로그램과 홍보가 필요한 때이다.

제주 올레길이 인근토지가격상승율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제주 올레7코스를 대상으로 (Research into the Effect of Jeju Olle Tails on Nearby Land Prices using Feasirable Generalized Least Squares)

  • 이동원;정수연
    • 부동산연구
    • /
    • 제24권1호
    • /
    • pp.63-76
    • /
    • 2014
  • 본 연구는 제주 올레 트레킹코스의 개발이 인근 토지의 지가상승에 미친 영향을 FGLS(Feasiable Generalized Least Square)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로는 제주올레 7코스 주변의 2010년 개별공시지가자료를 사용하였는데, GI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주올레7코스로부터 각 필지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설명변수로 사용하였고, 그 외 다양한 토지가격영향요인들을 설명변수로서 고려하였다. 종속변수로는 2002년과 2010년 사이 토지가격변화율을 사용하였다. 기존 연구들이 고속도로, 지하철 등 교통시설의 개발이 주변 토지가격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반면, 본 연구는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트레킹코스의 개발이 주변 토지가격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올레7코스의 개발은 인근의 토지시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올레7코스로부터 1미터 멀어질수록 토지가격 상승률이 0.03%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고속도로나 지하철과 같은 교통시설의 건설만이 부동산시장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제주올레와 같은 트레킹코스의 개발도 인근의 부동산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제주 올레길 생태문화자원 경관생태학적 해석기법 연구 (Interpretation Method of Eco-Cultural Resources from the Perspective of Landscape Ecology in Jeju Olle Trail)

  • 허명진;한봉호;박석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28-140
    • /
    • 2021
  • 본 연구는 도보관광의 대표적 대상인 제주 올레길의 유형별 대표자원을 대상으로 Landscape Ecology 이론을 적용하여 생태문화적 특성을 파악하였고, 올레길 자원의 경관생태학적 해석 기법을 정립하였다. 제주 올레길 유형분류는 올레길 주변 대표경관, 주요 토지이용, 식생현황을 중심으로 비오톱유형을 조사하여 12개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제주 올레길 도보 관광자원 유형분류는 생태관광 자원분류 유형을 토대로 자연자원 7개 중분류 유형, 인문자원 7개 중분류 유형으로 구분하였고, 각 자원을 경관생태학 구성 체계와 동일하게 Geotope, Biotope, Anthropotope으로 특성화하여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였다. Geotope 자원은 해안 및 해변, 바위, 암반, 폭포, 지질 및 주상절리, 오름 및 분화구, 수자원, 지형경관 조망점 등이 해당되어 시각적 경관특성, Biotope 자원은 대경목 및 보호수, 곶자왈, 숲길 및 식생군락지, 생물서식지, 식생경관 조망점 등이 해당되어 생태특성, Anthropotope 자원은 해녀 및 전통문화, 포구 및 등대, 체험시설, 사찰 및 교회, 군사 및 봉수시설, 기타 역사·문화시설, 문화경관 조망점이 해당되어 지역문화 특성이 강하였다. 제주 올레길 유형별 대표자원은 제주에서만 볼 수 있는 해안, 오름, 곶자왈, 밭과 밭담, 제주가옥과 돌담이고, 제주 올레길의 생태문화를 알아보기 위해 올레길 유형을 대표하는 자원들의 구성요소와 다양한 기능들을 경관생태학적으로 해석하였다. 제주 해안의 생태문화적 특성을 살펴보면 해안은 검은 현무암 암반, 해안가 식생, 해안초지, 해안암반 식생, 겨울철새, 제주해녀 등이 있다. 오름은 독특한 화산지형으로 원형과 타원형의 산체, 오름 식생, 분화구 습지, 오름 지명 유래 및 전설, 설문대할망 설화, 말 방목 문화, 군사 목적의 사용, 민간신앙의 대상, 정상에서 조망경관 등이 있다. 곶자왈은 바위 요철 지형, 독특한 미기후 형성, 곶자왈 식생, 지명 유래, 과거 숯을 구웠던 문화, 기이한 형상의 나무와 덩굴식생이 특징이다. 밭담은 밭담구조 및 형태, 밭 재배 농작물, 밭담 서식생물, 제주 농업문화, 밭담경관 등이 있다. 마을은 현무암으로 쌓은 돌담과 지붕구조, 마을 어귀 정자목, 가옥내부 마당과 텃밭, 지역민들의 삶의 모습, 골목길 경관 등이 있다. 이런 자원들은 인간의 오랜 삶과 함께 서서히 변해왔고, 지금은 제주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독특한 경관이 되었다. 자원을 통합적으로 해석하여 특화된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올레를 걷는 도보 관광객들은 자원들의 스토리를 알아가면서 깊이 있게 체험할 수 있고, 올레길의 지속가능한 이용 및 이용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제주 올래와 올랫담의 유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 - 무근성 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Olle and Olle-Dam in Old Settlements of Jeju - Focused on a "Mu-geun-sung" area -)

  • 이용규;이승택;김정곤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9-16
    • /
    • 2017
  • The study aims to fi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Olle and Olle-Dam the old town of Jeju city, "Mu-geun-sung," through researches of the status of the spatial structure in the area. The research was mainly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survey and field survey. Literature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typification of alleys and stone walls.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to reveal the location, length, and materials of the stone walls on alleys. As a result, this study can grasp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alleys and the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tone walls in the old urban areas of Jeju City. The unit alley located in the old city area of Jeju was severely damaged. Also, the stone walls could reveal that there are few areas where the original shape is preserved. The management of the community has not been properly carried out in the use of alleys. In addition, there is concern about the damage caused by securing a road in the future. On the other hand, many of the damaged stone walls had basically the original shape. There were many stone walls that retained their original shape in the old alley. For this reason,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alleys and stone walls located in the old urban areas of Jeju are utilized as assets of the area.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community recovery using old alleys of Jeju is required.

도보여행자의 심리적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도보길 환경과 정보시설물의 설치 현황 - 제주올레 16코스와 사라봉·별도봉 산책로, 강릉바우길 8구간과 경포호 산책로를 대상으로 - (Installation Status of Information Facilities and Condition of Walking Road Influencing to Psychological Safety of Walking Tourists - Focusing on the Course No. 16 of Jeju Olle Trail, Sarabong·Byeoldobong Walkway in Jeju and the Course No. 8 of Bougil, Gyeongpo Lake Walkway in Gangneung -)

  • 변경화;김영덕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25-3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stallation status of information facilities and condition of walking road influencing to psychological safety of walking tourists. For this purpose, four roads for walking tour are selected; the course no. 16 of Jeju Olle Trail, Sarabong Byeoldobong walkway in Jeju and the course no. 8 of Bougil, Gyeongpo Lake walkway in Gangneung. Facilities installed on roads for walking tour are classified into four facilities; safety facility, information facility, amenity facility, local cultural facility. In order to consider installation status of information facilities and condition of walking road influencing to psychological safety of walking tourist,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ed focusing on the course no. 16 of Jeju Olle Trail. Thirteen cases were happened as confusing situation while walking tour. Of the 13 cases, the situation of being lost and wandering on the trail accounted for six cases. In contrast to the expectation that the situation of being lost and wandering would occur only at a crossroads, it is not that such situation took place at specific places like a crossroads or where direction signs were inaccurate. Walking tourists of this field experiment also confronted situations of having lost confidence about continuing the ongoing direction, of having anxiety over walking a walking trail, of feeling discomfort caused by walking and of being offended by uncomfortable or messy areas of walking trial. These confusing situations are happened inappropriate installation of direction sign, so direction sign is needed to install more carefully and detailed.

올레길 7구간의 이용객 만족도 및 이미지 분석 (The Study on the Satisfaction and Image of Passenger at Section Seven, in Olle-gil)

  • 강방훈;조승진;손진관;신지훈
    • 농촌계획
    • /
    • 제18권3호
    • /
    • pp.13-24
    • /
    • 2012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ages that affect general travel behavior and satisfaction of eco-tourists of Section seven of Jeju Olle-gil and to give eco-tourists preferred images to newly constructed eco-tour sections. Adjectives were selected to evaluate images, and for analysis, a survey was carried out with 132 persons who have toured 7 section of Jeju Olle-gil. On this survey, basic travel type, overall satisfaction, image before and after experience, age, gender, satisfaction level and accompanying type were inquired. 81(61.4%) knew section 7 of Jeju Olle-gil 'in advance', and 58(39.1%), which takes up the largest portion in this question, came to choose section 7 by a word of mouth. 95(71.9%) answered that they stayed 2 nights and 3 days, and 55(41.7%) answered that they stayed at a pension as accommodation. As for accompanying type, 34(25.7%) answered they accompanied family and relatives. As for the decision of visit, 60(45.5%) replied that they decided one month prior to the visit. And as for the purpose of visit, 63 (33.8%) replied they visited to appreciate nature. The adjectives that demonstrate overall satisfaction and significance level of the tourists were 'placid', 'refreshing', 'living', 'mountainous' and 'green'. As for the satisfaction level, people were satisfied with its environment, cleanliness level and direction boards. The types of section preferred by the tourists were clay pavements, followed by sand-masa soil mixture pavement and wooden deck pavement. 'Oidolgae' section was selected as the representative section, and 10:00a.m.~12:00p.m. was preferred as visiting time. And it is also proved that people were positive in appointing photo zones.

Soundwalking을 통한 제주도 올레길의 소리풍경 조사 (Investigation of the Soundscapes of Jeju Olle Route via Soundwalking)

  • 박찬재;한찬훈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0권8호
    • /
    • pp.410-420
    • /
    • 2011
  • 본 논문은 최근 제주도의 관광상품으로 각광받고 있는 올레길의 소리풍경을 soundwalking을 이용해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올레길의 전체 16개 코스 중 3개 코스의 10개 지점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특징을 문장으로 기술하고 소리의 크기를 측정하는 한편 녹음하였다. 또한 관광객 32명 및 음향전문가 5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하여 해당지점의 배경 소리의 크기와 불쾌감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인공음 및 자연음 17개를 제시한 뒤 그 중 가장 크게 들리는 소리 및 불쾌하게 들리는 소리, 듣기 좋은 소리와 인상적인 소리를 응답하도록 하였다. 또한 현장에서 녹음해온 소리를 실험실에서 청감실험을 통해 평가하여 현장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제주도 올레길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소리는 파도 및 바람소리, 자동차 소음과 사람의 말소리였으며, 그 중에서 듣기 좋은 소리는 자연음으로 이루어져있고 불쾌한 소리는 인공음인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에서 녹음해온 음원 및 영상을 통해 실험실에서 주관적 평가를 수행한 결과 소리의 불쾌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인공음과 자연음의 비중이며 이는 곧 소리의 크기에 대한 평가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현장평가와 실험실 평가 모두 소리의 크기와 불쾌감에 매우 큰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