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7851/ksrp.2013.19.1.091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Rural Village Related with the Trail - Focused on the Analysis of Field Investigation on the Rural Villages are Located Near the Jeju Olle Trail -  

Lim, Chang Su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Hong, Kwang Woo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Kim, Eun Ja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Kim, Hye Ra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Choi, Jin Ah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 v.19, no.1, 2013 , pp. 91-10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walking-tourists who visit Jeju olle trail are increasing every year and the ripple effect is a rapid change on the roles and leadership of local people in rural villages. The reason for the change is that most Jeju Olle Trails cuts through the rural village in Jeju island. However, most of travelers just walked along the trails, no one was interested about villages along the Olle roads. For these reasons, many rural villages would not get any benefits such as non-farm income, sales profit and also can not activate the facility of village and infrastructure. Therefore, we study on Revitalization Method for rural villages through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tourist in Jeju Olle Trails and a field survey research too. In this process, we investigated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rural villages of Jeju island in the first step. Then, we considered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and factors for improving of the 10 places with site investigation where were recommended by Jeju Olle Corporation and Jeju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in second step. Lastly, we arranged the resident's requirement and result of survey and interview with leaders of rural village. As a result, we suggest the activation methods for residents and leaders of rural area and this study is also expected to help management of rural villages and also is an important study to improve importance of utilizing of more people visiting in Jeju Olle Trails.
Keywords
Jeju Olle Trail; Utilization Status; Activation Strateg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국토해양부, 2011, 개발제한구역 누리길 조성 가이드라인 수립연구.
2 김기원, 2009, 숲길 계획의 개념적 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13(2), 11-24.
3 김길곤, 2012, 마을만들기 활성화 전략에 관한 연구-익산시 사례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 김민철, 2012, 델파이방법을 이용한 농촌관광의 고객접점 도출 및 만족도와의 상관관계 분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 김보미, 이응진, 2010, 농촌관광마을에서 갈등이 마을운영성과와 분위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주민간 갈등을 중심으로, 동북아관광학회, 6(2), 43-61
6 김상범, 최자운, 정대영, 김은자, 2010, 지역활성화를 위한 테마길 조성방안-부처별 길 만들기 사업을 중심으로, 17(3), 2010, 587-606.   과학기술학회마을
7 김준연, 한영호, 오상민, 2011, 도보여행의 관광공간에 관한 사례연구-종로구 20코스를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6(4), 49-56.
8 김창식, 김영진, 신왕우, 2007, 사례조사를 통한 제주지역 레저관광상품 개발전략, 제주관광학회, 2007(1), 41-64.
9 나혜현, 이주희, 2011, 슬로우 투어리즘 관광객의 이용행태, 관광동기, 만족도와 행동의도간의 관계-대구올레 팔공산 코스를 중심으로, 한국산림휴양학회, 2011(4), 59-64.
10 노혜림, 2006, 농촌어메니티 개념을 이용한 농촌체험마을 방문객의 특성분석,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대구경북연구원, 2008, 낙동정맥 트레킹로드 조성타당성 조사연구.
12 문화체육관광부, 2009, 이야기가 있는 문화생태탐방로 가이드라인 연구.
13 민현석, 2010, 스토리텔링을 통한 옛길 가꾸기 방안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6(2), 205-212.
14 박경옥, 이하나, 2009, 농촌활성화사업 마을주민의 사업참여도와 마을 환경변화에 대한 만족도, 한국농촌건축학회, 11(1), 57-66.
15 박덕병, 전영미, 이민수, 2008, 농촌관광마을 공동 시설 이용현황 및 개선방안, 한국호텔관광학회, 10(4), 240-253.
16 박덕병, 윤유식, 이민수, 2007, 이단계 군집분석에 의한 농촌관광 편의시설 유형별 소비자 선호 결정 요인, 한국마케팅과학회, 17(3), 1-19.
17 박시사, 노경국, 2010, 도보여행객의 여행동기에 따른 시장세분화 연구-제주올레여행객을 중심으로, 한국관광학회, 2010(7), 959-970.
18 박창규, 김혜영, 2011, 지역주민의 농촌마을종합개 발사업에 대한 인식이 농촌관광개발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제지리학회, 14(3), 419-436.
19 전인철, 2004, 농촌관광사업의 공익적 기능평가에 관한 연구-농촌관광 이용자를 대상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 정광중, 제주도 농어촌 지역 마을자원의 발굴과 활용에 대한 시론적 연구-애월읍 신엄마을을 사례로, 한국사진지리학회, 21(3), 153-170.
21 정철, 정란수, 이훈, 2011, 도보관광 수요와 파급효과 분석; 제주올레를 중심으로, 한국관광학회, 35(8), 289-408.
22 제주지역 환경기술 개발센터, 2010, 제주형(올레) 생태문화로 조성방안.
23 주대진, 김진모, 2004,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주민 참여 방법론 탐색, 한국농촌지도학회, 11(2), 2004, 303-320.
24 오성수, 2003, 그린투어리즘 활성화에 관한 연구-전남 곡성군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5 유형숙, 2004, 단양의 관광숙박시설에 대한 고찰-농촌 민박의 활용 방안, 한국관광학회, 345-351.
26 추영, 2011, 관광동기에 따른 농촌관광지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중국 농촌관광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7 윤유식, 박덕병, 2008, 농촌관광마을 지역주민의 사회자본이 농촌관광개발 효과 인지에 미치는 영향 분석, 32(2), 193-211.
28 이명구, 2010, 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 갈등관리 연구-제주 올레길 중심, 한국서비스산업학회, 7(2), 143-164.
29 이병훈, 2011, 농촌관광마을의 스토리텔링을 구현을 통한 장소성 확보, 계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30 이상호, 2006, 경북지역 농촌체험마을의 현황 및 활성화 방안, 동북아관광학회, 2(1), 35-53.
31 황윤미, 2009, 관광체험소비행위 유형에 따른 관광객 특성 연구-홀트모델에 기초한 관광객 세분화, 대한관광경영학회, 2009(5), 23-44.
32 최병길, 이영관, 2011, 도보관광지 이미지와 지각된 가치가 관광자만족에 미치는 영향-제주올레길과 지리산둘레길을 중심으로, 한국관광학회, 35(7), 299-321.
33 한국의 길과 문화, 2011, 탐방로 조성 매뉴얼-탐방로 표지를 중심으로.
34 환경부, 2007, 전국단위 국토생태탐방로 조성계획 연구.
35 http://map.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