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live

검색결과 1,320건 처리시간 0.033초

양식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에서 분리된 스쿠티카 섬모충 Philasterides dicentrarchi의 병원성 (The pathogenicity of scuticocilate Philasterides dicentrarchi isolated from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허문수;이영돈;이제희;진창남;강현실;이창훈;강선경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7-97
    • /
    • 2006
  • 2004년 12월부터 2005년 4월까지 양식넙치에서 분리된 스쿠티카 섬모충 P. dicentrarchi를 넙치 치어 3 ㎝ 그룹과 5 ㎝ 그룹에 인위 감염시킨 후 감염에 따른 폐사율 등의 병원성을 조사하였다. 소형수조에 스쿠티카충 P. dicentrarchi를 접종시킨 결과 수조저면에서 활발히 증식하였으며 접종 후 6일째부터 1.4 × 103 cell ㎖-1~2.5 × 103 cell ㎖-1범위로 ㎖당 2,000 cell 내외의 밀도로 증식하였다. 반면에 중층인 경우는 ㎖당 300 cell 이하의 낮은 밀도를 유지하였다.수조저면에 P. dicentrarchi충을 증식시킨 후 넙치치어를 방양한 결과 3 ㎝ 그룹과 5 ㎝ 그룹 모두 배양시킨 충에 감염되었으며, 충 감염에 의한 폐사는 3 ㎝ 그룹인 경우 치명적이었다. 접종 후 5일째부터 폐사가 시작되었으며, 28일 만에 95.6%의 높은 폐사율을 보였다. 대조구에서는 실험기간 동안 4.4% 폐사율을 보였으나 스쿠티카충은 검출되지 않았다. 5 ㎝ 그룹은 접종 후 18일째에 처음으로 폐사되기 시작하여 3 ㎝ 그룹에 비해 폐사 진행이 현저히 늦었다. 이 그룹은 스쿠티카충의 인위 접종 후 28일 동안 71%가 폐사하여 3 ㎝ 그룹에 비해 폐사율이 낮았다. 5 ㎝ 그룹의 대조구에서는 실험기간 동안 폐사가 없었으며 스쿠티카충의 감염도 없었다.모든 실험구의 폐사어에서 인위 감염시킨 충을 재분리하여 SSU rRNA에 대한 유전학적 분석결과, 처음 접종시킨 P. dicentrachi와 각 실험구별 재분리된 섬모충의 SSU rRNA 유전자가 일치하여 동일 섬모충에 의한 감염임이 확인되었다.

Effects of Plant Oils and Minerals for the Inhibition of Lipase Activity of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Fermented Pork Meat

  • Cho, Sang-Buem;Chang, Woo-Kyung;Kim, Yun-Jung;Moon, Hyung-In;Joo, Jong-Won;Choi, In-Soo;Seo, Kun-Ho;Kim, Soo-K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764-772
    • /
    • 2010
  • Staphylococcus aureus lipase is regarded as a virulence factor. The response of lipase activity to various factors can provide important insights concerning the prevention of S. aureus during meat ferment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main effects of nutrients used in culture media, and their combined effects on the inhibition of lipase activity and cell growth of pathogenic S. aureus SK1593 isolated from fermented pork meat. A Plackett-Burman design was used to evaluate the main effects of variables, including olive oil, soybean oil, grapeseed oil, sesame oil, $CuSO_4$, $MgCl_2$, $KNO_3$, $CaCl_2$, and KCl.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lipase activity were detected with soybean oil, grapeseed oil, $KNO_3$, and $CaCl_2$. Additionally, these nutrients were further selected as variables for the investigation of their combined effect on lipase activity, via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In order to confirm the regression model, a situation that only inhibits lipase activity was simulated. The predicted lipase activity and cell growth of the simulated situation were 14.0 U/mL and $9.6\;{\log}_{10}$ (CFU/mL), respectively, and the estimated value of those in the same medium showed 15.14 U/mL and $9.4\;{\log}_{10}$(CFU/mL) respectively. The lipase activity of the simulated medium was inhibited approximately 5-fold as compared to the basal medium,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ell counts were noted to exist between the basal and simulated media.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ybean oil, grapeseed oil, $KNO_3$, and $CaCl_2$ can be used to inhibit the growth of pathogenic S. aureus during the process of meat fermentation.

사염화탄소 투여가 Dimethylnitrosamine의 급성중독 간세포의 구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rbon Tetrachloride on Structures in Hepatocytes Following DMN Induced Hepatotoxicity)

  • 강영천;남혜주;김동석;최원희;이태숙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8권2호
    • /
    • pp.84-94
    • /
    • 1991
  • 간에 급성 출혈성 괴사를 일으키는 dimethylnitrosamine(DMN)의 간 독작용이 과량의 사염화탄소로 전처치시 어떤 영향을 받는 가를 관찰하기 위해 먼저 DMN을 쥐의 복강내에 주입하였다. 또 사염화탄소 전처치에 의한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사염화탄소 투여 후 DMN을 투여하고 간조직을 적출하여 광학 현미경 및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광학 현미경하에서 DMN 단독 투여시 12시간부터 간 소엽중심부에 심한 출혈성 괴사가 나타나서 120시간까지 지속되었다. 과량의 사염화탄소로 전처치시 초기부터 광범위한 괴사가 나타났으나 24시간부터는 활발한 재생성변화가 나타나서 120시간에는 거의 정상으로 회복되어서 괴사의 정도는 DMN 단독 투여군과 유사하고 회복되는 시간은 단독 투여군보다 더 빨랐다. 전자 현미경하에서 DMN 단독 투여시 초기 변화는 주로 과립성 내형질막의 분열로 나타났고, 사염화탄소 단독 투여시는 내형질막의 덩어리 형성과 수포성 팽창으로 나타났다. 사염화탄소 전처치 후 DMN 투여시 초기에 나타난 변화는 그 양상이 사염화탄소 단독 투여시와 유사했지만 정도가 더 심했다. 이상의 결과에서 DMN의 급성중독 효과는 과량의 사염화탄소로 전처치한 경우에 재생이 더 빨리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아 사염화탄소가 DMN에 대해 방어적인 작용을 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 PDF

n-3 및 n-6계 다불포화 지방산의 함유비율이 다른 유지가 식이성 고지혈증 흰쥐의 간장, 뇌, 고환 및 신장의 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Feeding Mixed Oils with Various Level of n-3 and n-6 Polyunsaturated Fatty Acid on the Lipid Components of Liver, Brain, Testis and Kidney in Dietary Hyperlipidemic Rats)

  • 김한수;김성희;김군자;최운정;정승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85-691
    • /
    • 1993
  • n-3계 EPA와 DHA의 함유 비율이 높은 정어리유와 n-6계 linoleic acid의 함유 비율이 높은 홍화유의 혼합 급여가 고지질식이 흰주의 주요 장기 및 조직의 지질 개선 작용을 구명하기 위해 Sprague Dawley계 숫 흰쥐에게 버터 식이를 대조군으로 하고 정어리유 및 홍화유의 혼합 비율을 달리한 유지를 급여하여 4주간 실험 사육한 후 주요 장기 및 조직의 지질성분을 분석 검토한 결과, 간장의 총콜레스테롤, 중성지질 및 인지질 농도는 시험유지의 P/S비 0.85, n-6/n-3P비 2.85인 5군(4% 정어리유+4% 홍화유)에서 가장 낮았고 유리 콜레스테롤 농도는 4군(6% 정어리유+2% 홍화유), 5군에서 특히 낮았다. 뇌조직중의 총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의 농도는 5군에서, 인지질 농도는 3군(8% 홍화유)에서 유의성 있게 낮았다. 고환의 총콜레스테롤, 중성지질, 인지질 및 유리 콜레스테롤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전실험군에서 낮았으며, 신장의 총콜레스테롤, 중성지질, 인지질 및 유리 콜레스테롤 농도는 3군, 7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주요 장기 및 조직의 각종 지질 성분의 농도 등으로 미루어 보아, n-3계 PUFA 함유 비율이 높은 정어리유와 n-6계 PUFA 함유비율이 높은 홍화유를 동량 혼합 급여하였을 때, 주요 장기 및 조직의 지질개선 효과가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시험 유지의 P/S비 0.85, n-6/n-3P 비가 2.85로서 적정한 혼합유지의 비율로 인한 것이라 추정된다.

  • PDF

n-3 및 n-6계 다불포화 지방산의 함유비율이 다른 유지가 고지혈증 흰쥐의 혈청 지단백 지질성분 및 지방산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Feeding Mixed with Various Levels of n-3 and n-6 Polyunsaturated Fatty Acid on the Lipid Components and Fatty Acid Metabolism of Serum Lipoprotein in Hyperlipidemic Rats)

  • 김한수;김성희;정효숙;강정옥;정승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43-551
    • /
    • 1993
  • n-3계 EPA와 DHA의 함유비율이 높은 정어리유와 n-6계 linoleic acid의 함유비율이 높은 홍화유의 혼합급여가 고지질 식이 흰쥐의 지단백 지질성분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Sprague Dawley계 숫 흰주에 버터 식이를 대조군으로 하고 정어리유 및 홍화유의 혼합비율을 달리한 유지를 급여하여 4주간 실험 사육한 후 혈청 지단백의 지질성분 및 지방산 조성을 분석 검토한 결과, 혈청 지단백 성분중 총콜레스테롤 농도는 LDL에서 가장 높았으며 VLDL, HDL, chylomicron 순이었다. 한편 중성 지질 농도는 chylomicron>VLDL>LDL>HDL 순이었으며, 인지질 농도는 HDL>LDL>VLDL>chylomicron 순이었다. 혈청 자단백 성분중 총콜레스테롤, 중성지질 및 인지질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전 실험군에서 대체로 낮았으며, 특히 n-3계 PUFA의 함유 비율이 높은 정어려유와 n-6계 PUFA 함유 비율이 높은 홍화유를 동량 혼합 급여한 5군에서 더욱 낮게 나타난 바, 혈청 지단백의 지질개선 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사료되며, 이는 시험유지의 P/S비 0.85, n-6/n-3P 비가 2.85로서 적정한 혼합비용로 인한 것이라 추정된다. 혈청 지단백 성분중 chylomicron의 지방산 조성에서 EPA 함유 비율은 여타 지단백성분의 지방산 조성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chylomicron, VLDL, LDL 및 HDL의 지방산 조성은 시험유지의 지방산 조성이 반영된 것로 나타났다.

  • PDF

양식장 배출수 퇴적층에서 분리된 리파아제 생산 박테리아의 동정 및 배양학적 특성 (Identification and Cultural Characterization of Lipase Production Bacteria Isolated from Pond Effluent Sedimentary Layer)

  • 김만철;장태원;;장익수;여인규;정준범;허문수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58-62
    • /
    • 2009
  • 제주 연안 양식장 배출수 퇴적층으로부터 미생물 배양 배지를 사용하여 총 200여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분리된 균주를 이용하여 olive oil이 함유된 평판배지에서 투명환을 형성하는 균주를 분리하였고, 이를 LI-68, LI-80로 각각 명명하였다. 분리 균주 LI-68, LI-80의 BIOLOG를 이용한 생화학적 분석 특성 및 16S rDNA의 염기서열 분석 결과 Janibacter anophelis와 99%의 유전적 상동성을 보여 최종적으로 Janibacter sp. LI-68, Janibacter sp. LI-80으로 동정되었다. 분리 균주 Janibacter sp. LI-68과 Janibacter sp. LI-80의 증식을 위한 최적 배양온도를 확인하고 증식온도에 따른 지방분해효소 활성의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배양 온도를 $20^{\circ}C$에서 $40^{\circ}C$까지 $10^{\circ}C$ 간격으로 배양하여 균체의 증식과 분비되는 지질분해 효소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분리균주 Janibacter sp. LI-68는 $30^{\circ}C$ 배양실험구에서 가장 높은 균 생육도를 나타냈으며, 효소활성은 균 생육도와는 다른 $40^{\circ}C$에서 가장 높은 효소활성을 보였다. 반면 Janibacter sp. LI-80 균주는 $30^{\circ}C$에서 가장 높은 균 생육도를 보였으며, 효소활성은 균 생육도와 반비례하여 $40^{\circ}C$에서 가장 높은 효소활성을 보였다.

The Functional Relevance of Prepro-melanin Concentrating Hormone (pMCH) to Skin Color Change, Blind-side Malpigmentation and Feeding of Oliver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Kang, Duk-Young;Kim, Hyo-Chan;Kang, Han-Seu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7권3호
    • /
    • pp.325-337
    • /
    • 2014
  • To assess the functional structure of prepro-melanin-concentrating hormone (pMCH), we isolated and cloned pMCH (of-pMCH) mRNA from the brain of th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and compared its amino acid sequence with those from other animals. In addition, to examine whether activation of the brain of-pMCH gene is influenced by background color, density, and feeding, we compared pMCH mRNA activities against different background colors (bright and dark) and at different densities (100% PCA and 200% PCA). To examine whether the pMCH gene is related with malpigmentation of blind-side skin and appetite, we compared pMCH gene expression between ordinary and hypermelanic flounders, and between feeding and fasting flounders. The of-pMCH cDNA was 405 bp in the open reading frame [ORF] and encoded a protein of 135 amino acids; MCH was 51 bp in length and encoded a protein of 17 amino acids. An obvious single band of the expected size was obtained from the brain and pituitary by RT-PCR. In addition, of-pMCH gene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bright background only at low density (< 100% PCA) making the ocular skin of fish whitening, and in ordinary fish. However, the gene activ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dark background, at high density (>200% PCA), and in hypermelano fish. These results suggest that skin whitening camouflage of the flounder is induced by high MCH gene activity, and the density disturbs the function of background color in the physiological color change. Moreover, our data suggest that a low level of MCH gene activity may be related to malpigmentation of the blind-side skin. In feeding, although pMCH gene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feeding in the white background, the pMCH gene activity in the dark background was not influenced by feeding, indicating that the MCH gene activity increased by feeding can be offset by dark background color, or is unaffected by appetite.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MCH gene expression is related to ocular-skin whitening camouflage and blind-skin hypermelanosis, and is influenced by background color and density.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수정란 부화율에 대한 중금속(Cd, Cu, Zn)의 급성독성 (Acute Toxicity of Heavy Metal (Cd, Cu, Zn) on the Hatching Rates of Fertilized Eggs in th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황운기;류향미;김성길;박승윤;강한승
    • 환경생물
    • /
    • 제30권2호
    • /
    • pp.136-142
    • /
    • 2012
  •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수정란의 부화율에 대한 중금속(Cd, Cu, Zn)의 급성독성을 조사하였다. Cd, Cu 및 Zn (0, 10, 100, 500, 1000, 2500, 5000 ppb)에 수정란을 48 h 노출시킨 후, 정상 부화율을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Cd, Cu 및 Zn을 포함하지 않는 대조구에서는 정상 부화율이 80% 이상을 나타냈으나, 중금속 농도가 증가할수록 정상 부화율은 급격히 감소하였다. 정상 부화율은 Cd, Cu 및 Zn에 대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각각 1000, 100, 100 ppb 이상의 농도에서 유의적이 차이를 나타내었다. P. olivaceus의 정상 부화율에 대한 Cd, Cu 및 Zn의 반수영향농도($EC_{50}$)를 이용한 독성은 Zn>Cu>Cd 순으로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중금속에 대한 $EC_{50}$는 각각 584, 1015, 1282 ppb를 나타내었다. Cd에 대한 NOEC는 500 ppb를 나타냈고 LOEC는 500 ppb를 나타내었다. Cu와 Zn의 NOEC와 LOEC 각각 100 ppb와 500 ppb로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NOEC와 LOEC 결과로부터 자연생태계 내에서 Cu와 Zn 농도는 100 ppb, Cd 농도는 500 ppb를 초과할 경우 P. olivaceus 수정란의 정상 부화율은 감소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P. olivaceus의 정상 부화율을 이용한 생물학적 시험은 중금속과 같은 유해물질에 대한 해양생태계의 영향을 판단하기 위한 시험방법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왕범바리(Epinephelus fuscoguttatus ♀×E. lanceolatus ♂)의 아질산 급성노출에 따른 내성한계: 혈액성상 및 혈장성분의 변화 (Tolerance limit of nitrite exposure to hybrid grouper (Epinephelus fuscoguttatus ♀×E. lanceolatus ♂): hematological parameters and plasma components)

  • 조재황;김석렬;허영백;이경미;김준환
    • 환경생물
    • /
    • 제38권1호
    • /
    • pp.93-100
    • /
    • 2020
  • 본 실험에서 아질산 급성노출은 대왕범바리의 혈액학적 성상 및 혈장성분에 유의적 변화를 나타내었다. 혈액학적 성상인 Hct와 Hb는 아질산 노출에 의한 유의적 감소를 확인하였다. 혈장 성분인 glucose, cholesterol, GPT 및 ALP는 아질산 노출에 의해 유의적으로 변화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 아질산 노출 100mg L-1 이상의 농도는 대왕범바리의 혈액 성상 및 혈장 성분의 유의적 영향을 미치며, 800 mg L-1의 아질산 급성 노출은 대량 폐사를 유발할 수 있으나, 기존 국내 양식 대상종인 Olive flounder, P. Olivaceus는 171.043 mg L-1 (Kim et al. 2018), Yellow tail, Seriola quinqueradiata는 147 mg L-1 (Sugiyama et al. 1991)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여 아질산 내성이 상대적으로 강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우스에서 2,4-Dinitrochlorobenzene을 이용한 아토피성 피부염 발현 관련 면역지표치 분석 (2,4-Dinitrochlorobenzene-induced Atopic Dermatitis Like Immune Alteration in Mice)

  • 이승혜;백성진;김형아;허용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2권4호
    • /
    • pp.357-364
    • /
    • 2006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velop a reliable mice model demonstrating similar immunologic phenomena as human atopic dermatitis characterized with predominance of type-2 immune response. BALB/C mice and NC/Nga mice were sensitized twice with $100{\mu}l$ of 1% 2,4-dinitrochlorobenzene (DNCB) or vehicle (acetone : olive oil=4:1 mixture) in a week and challenged twice with $100{\mu}l$ of 0.2% DNCB or the vehicle at the following week. Mice were sacrificed at 19 days following the second DNCB or vehicle challenge for NC/Nga mice and at 28 days following the second DNCB or vehicle challenge for BALB/c mice. Upregulation of plasma 1gE, a hallmark of atopic dermatitis occurrence, was evident in the plasma obtained 4 day after the second DNCB challenge from BALB/c mice (approximately 4-fold) and NC/Nga mice (approximately 6-fold) treated with DNCB in comparison with that of the vehicle treated-control mice, and remain higher $3{\sim}4$ week after the second challenge. Ratio of plasma IgG1 versus IgG2a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ice treated with DNCB than the control mice, which also implies the skewed type-2 reactivity in vivo. Ratio of interleukin-4 versus interferon gamma produced in the splenic T cell culture supernatants was approximately 3-fold higher in the both strains of mice treated with DNCB than their control mice, respectively. The DNCB-treated mice demonstrated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gions characterized with erythma, scaling, and hemorrhage, which was not observed with the control mice. Scratching on face or dorsal area was significantly more frequent (approximately 25-fold) in the DNCB-treated mice than the control at next day of the second DNCB challenge, and scratching frequency remains higher (approximately 4-fold) in the mice treated with DNCB than the control at 14 day following the second DNCB challenge. Overall, the mice model developed through sensitization and challenge with DNCB may be useful for research on atopic dermatitis and development of treatment materials for atopic dermatit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