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ld book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22초

히르시펠트(C.C.L.Hirschfeld) 정원예술론의 의미와 가치의 현대적 해석 (Interpretation of C.C.L.Hirschfeld's Theory of Garden Art in Contemporary Meaning and Its Significance)

  • 조경진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58-68
    • /
    • 2014
  • 크리스티안 케이 로렌츠 히르시펠트(Christian Cay Lorenz Hirschfeld)(1742-1792)는 18세기 독일의 미학자이자 정원이론가로 당대에 '풍경식 정원예술의 아버지'라고 불리었다. 그는 '정원예술론'이란 5권의 저작에서 정원이론을 집대성하였고 이는 현재까지도 가장 포괄적인 정원이론서로 여겨진다. 정원역사에서 식물소재, 공간구성요소와 정원유형 등을 다루고 있는 이 이론서는 당대에 유럽에 널리 알려졌고, 이로 인해 영국 풍경식정원을 널리 보급시키는데 크게 이바지하게 된다. 그러나 히르시펠트의 정원론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 논문은 히르시펠트 정원론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 현대적 관점에서의 주요 쟁점을 해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히르시펠트 정원이론은 18세기 독일 계몽주의와 낭만주의가 교차하는 지점에 태동되었고, 자연이 지닌 정신적 가치를 중시하는 독일문화의 산물이기도 했다. 당대 독서문화가 활성화되고 기행문학이 유행하게 된 사회 현상이 정원이론서가 소비될 수 있었던 배경이 되기도 했다. 오늘날 관점에서 히르시펠트 정원론이 기여한 바와 이를 재해석할 수 있는 쟁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원예술의 위상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했다는 점이다. 둘째, 히르시펠트는 정원예술은 자연의 모방이라는 전제 아래 자연의 원형 경관과 고안된 정원과의 관계를 규명하였으며, 정원은 자연의 아름다움을 최대한 표현하고 끌어낼 때 진정한 예술적 가치를 지닐 수 있다고 주창하였다. 셋째, 히르시펠트는 특정 정원의 인상과 관념이 연합하여 화학적 작용을 일으킨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특정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공간을 그는 유쾌하고 쾌활한 축제와 같은 정원, 온화하고 멜랑코리한 정원, 낭만적인 정원, 장엄한 정원 등으로 구분하였다. 넷째, 그는 정원에서의 움직임이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중요한 국면임을 강조하였다. 움직임이 중시되는 풍경식정원에서 풍경화식 재현방식이 적절한 방식으로 활용되었다. 다섯째로는 정원은 단지 물리적 공간이 아닌 정신이 구현된 장소임을 환기시켰고, 나아가 삶의 은유로서 윤리적 정원을 실천해야 한다고 주창하였다. 히르시펠트의 정원론은 18세기에 저술된 이론적 저작으로 현재적 시점에서의 구체적인 실천적 함의가 부족하다는 비판적 시각이 있다. 하지만 그는 공공 정원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19세기 도시공원운동의 단초를 제공하였다. 정원예술의 위상제고, 지역성의 강조, 실천이념으로 중재 개념이 그의 이론에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지점이다. 무엇보다도 정원문화가 새롭게 부각되는 오늘날 인문학적 조경론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에 대한 이해 및 새 교과서에의 적용 방안 (The Changes of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and Its Application to the New Text Book)

  • 김정현;이민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75-94
    • /
    • 2008
  • 현대사회의 식생활 행태는 영양보충제와 건강보조식품의 사용 증가 및 영양소의 과다 섭취 문제에 따른 새로운 식생활 구조 변화와 건강 및 질병 양상 관리를 위해서는 새로운 개념이 도입되고 적용되기 위하여 2005년 한국인을 위한 영양섭취기준을 설정하게 되었으며 현재 새로운 개념의 영양섭취기준은 우리의 올바른 영양건강상태 관리는 물론 합리적인 식생활 관리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다양한 관련 분야의 식품, 영양학 분야에서 활용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을 중심으로 변화된 식생활 영역의 내용을 알아보고 올바른 이해를 통하여 개정된 교육과정에 준한 새 교과서에 적용할 수 있도록 방향 제시를 함으로서 새 교과서의 식생활 영역에 있어 내용의 충실함과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은 지금까지 사용된 영양권장량보다 보다 다각적인 측면에서 기준을 제공하므로 실제 적용 현장에서도 이해하는 정도와 적용 가능 여부에 대하여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중학생 수준에서의 적용 수준을 결정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더욱이 7차 교육과정에 비해 개정 교육과정은 식생활영역의 내용의 제시 위치 및 분량 그리고 구성 요소의 근거 등에 변화가 있어 훨씬 어렵게 접근되어져야 하는 부분이다. 이는 국가의 미래를 책임질 어린이와 청소년의 학교교육에서 인간에게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생활을 실천하는 실천 교과인 본 가정 교과의 새로운 교육 과정에 적용을 위해서는 새롭게 도입된 영양섭취 기준에 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하여 실제 생활에 적용하여 실천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 PDF

균형적 영어접근 프로그램이 만5세 유아의 읽기와 쓰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alanced English approach program on five-year-old children's English reading and writing Ability)

  • 차경나;배재정;정정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57-81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균형 잡힌 영어접근 프로그램이 유아들의 영어 읽기와 쓰기능력 증진에 효과적인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D시의 유치원 만5세 유아 36명을(실험, 통제집단 각 18명씩) 대상으로 실험집단에 균형적 영어접근 프로그램을 8주간 주 2회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검증을 위해 활용한 검사도구는 알파벳 읽기능력과 단어읽기능력은 이옥섭(1999)의 단어읽기 검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책읽기 능력은 Sulzby(1985)의 읽기 발달단계를 검사도구로 사용하였다. 유아들의 쓰기발달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Hildreth(1936)와 Schikedanz(1986)의 쓰기 발달단계에 기초하여 이경화(1997)가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4.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ANCOVA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균형적 영어접근 프로그램이 유아들의 읽기능력 증진에 효과적임이 밝혀졌다. 하위 요인가운데 알파벳 읽기와 단어읽기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영어책읽기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균형적 영어접근 프로그램이 유아들의 쓰기능력 발달에 효과적임이 밝혀졌다. 따라서, 균형적 영어접근 프로그램이 유아들의 영어 읽기와 쓰기능력 증진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통정원에서 '오동(梧桐)'의 수종, 식재 위치와 경관적 활용 (Species, Planting Position and Scenic Utilization of 'Paulownia Tree(梧桐)' in the Traditional Garden)

  • 홍형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0-30
    • /
    • 2013
  • 인류 문명과 함께해 온 나무 중 하나인 '오동'은 정원수로도 널리 사용되어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전통 정원에 '오동'이 어디에 어떻게 식재되었는가? 또 그로부터 취한 효용성은 무엇이었는가를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규명하고자 한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전통 정원에서 '오동나무'와 '벽오동' 등 수종을 명확히 구분하고, 또 이들을 방위에 따라 가려서 식재하였는가? 둘째, 의기(宜忌)에 준해서 정전(庭前)에 오동나무 식재를 금기시했다면 어떤 위치에 식재하였는가? 셋째, 옛 사람들은 왜 오랜 기간에 걸쳐 오동을 즐겨심고 가꾸었으며, 이를 통해 어떠한 효용을 취하고자 했는가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여러 사료들에 담긴 내용과 의미를 고찰하고 해석하는 기술(description)적 연구방법이 사용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백과사전류와 농서, 원예서 등 고문헌을 고찰한 결과, '오동'에 대한 설명이 편찬자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구체적인 수종의 구분도 모호하다. 따라서 방위에 따라 '오동'의 수종을 가려서 식재하는 등의 제한이 적용되지는 않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오동'의 식재와 관련된 의기 사항은 "산림경제"가 아닌 "증보산림경제"와 "임원경제지"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2. 옛 정원을 묘사한 시문을 통해서도 오, 동, 오동, 벽동 등의 어휘가 큰 구분 없이 사용되었음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정원에 도입된 '오동'의 수종은 오동나무와 벽오동을 비롯해 개오동나무도 활용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3. '오동' 식재와 관련된 의기 사항이 보편적으로 적용되지는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정전(庭前)' 즉, 뜰 앞이나 뜰 가 등 집 가까이에도 오동이 즐겨 식재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4. 옛 정원의 정원수로서 오동의 효용성은 '가을의 전령'으로서 계절감을 강조하는 수목으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5. 오동은 일시적 경관의 정취를 더하는 수목으로서의 효용성도 있었다. 즉, 옛 사람들은 '달'과 가장 잘 어울리는 사물을 '오동'이라고 보았고, 이 둘이 병치된 운치를 즐겼다. 또 '오동'은 잎에 떨어지는 빗소리를 즐기는 등 비오는 날의 정취를 더해주는 수목 중 하나로 활용되었다. 본 연구의 한계는 많은 한문 자료 중 번역물에 국한하여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점이다. 추후 연구과제는 새로운 사료의 발굴과 번역 성과물이 축적됨으로써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 중(中) "해수병제후(咳嗽病諸候)"에 대(對)한 연구(硏究) (Study on Literatures of Symptoms and Signs of Tussiculaltion on Treatise on the Pathogenesis and Manifestations of All Diseases)

  • 이남구;최한백;김정완;송민아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11-22
    • /
    • 2010
  • Treatise on the Pathogenesis and Manifestations of All Diseases(諸病源候論)was written by Chao Yuanfang that was most active during the Sui Dynasty at A.D. 610. It classified clinical medicine by some departments of internal medicine, surgery, obstetrics and gynecology, pediatrics, and otorhinolaryngology and within each specific department, categorizes etiology and pathology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various diseases. It was the total disease classification book that based on the bibles of the Oriental medicine, (Huangdi''s) Internal Classic(黃帝內經), Classic of Difficult Issues(難經) and Treatise on Cold Damage and Miscellaneous Diseases(傷寒雜病論), A-B Classic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鍼灸甲乙經), Essential Prescriptions Worth a Thousand Gold for Emergencies(備急千金要方) and Medical Secrets of an Official(外臺秘要). It was arranged tussive causes, classes, diagnosis, prognosis and stretching for treatment by Volume 13, all symptoms of tussiculation. Dialectic part was divided into cough(咳嗽), cough with dyspnea(咳逆上氣), cough with pus and blood(咳嗽吐膿血), cough with duck crying sound(?嗽), sudden cough(暴氣咳嗽), cough with dyspnea(咳逆), cough with dyspnea and vomiting(咳逆上氣嘔吐). Disease situation part was divided into the new cough(新咳) and old cough(舊咳), deficiency syndrome(虛證) and excess syndrome(實證), visceral cough(藏府咳), etc. Out of these, cough with counterflow(咳嗽上氣), cough with dyspnea(咳逆上氣), cough with dyspnea and vomiting(咳逆上氣嘔吐), cough with shortness of breath(咳逆短氣) have a close connection with dyspnea(上氣), counterflow of qi(逆氣), dyspnea and vomiting(上氣嘔吐) and shortness of breath(短氣) in the Pathogenesis and Manifestations of All qi(氣病諸候) of vol 13. So two parts may be refer to each other. However, the content on the original book has been addition and subtraction on the original context along with many reprints. Therefore, this paper, with regard to the prints of former editions, tried to help in better comprehension of the original context through readings and Korean translation.

조선시대에 간인(刊印)된 "춘추(春秋)" 판본(板本)에 관한 서지적(書誌的) 연구 (A Study on the Printed Books of Ch'un-ch'iu(春秋) Commentary in Chosun Dynasty Period)

  • 염종일;송일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31-346
    • /
    • 2007
  • 이 연구는 조선시대에 간행된 $\ulcorner$춘추(春秋)$\lrcorner$ 주해서의 여러 판본(板本)에 대하여 문헌상의 기록과 판본에 대한 실제 조사를 통해 현존하는 판본들의 유형별, 형태별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그 특징에 대하여 서지학적 고찰을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조선시대에 간행된 <책판목록(冊板目錄)> 가운데 비교적 그 작성시기가 명확한 것을 선정하여 살펴봄으로써 문헌상에 나타나는 $\ulcorner$춘추(春秋)$\lrcorner$ 판본의 개판(開板) 상황을 조사하였으며, 고서를 소장하고 있는 주요 기관들의 고서종합목록과 주요대학도서관의 고서목록DB를 검색하여 $\ulcorner$춘추(春秋)$\lrcorner$ 개판(開板)의 종합적인 서목을 작성하고, 이를 근거로 각 소장기관을 방문하여 실물의 확인과 촬영, 복사 등을 통해 현존본 $\ulcorner$춘추$\lrcorner$ 판본의 서지사항을 담은 <종합서목(綜合書目)>을 작성하였다. 이렇게 작성된 <종합서목>을 기준으로 활자본 14종과 목판본 13종이 현존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들의 유형별 특징에 대해서 서지학적으로 고찰하였다.

안자산의 시조론에 대하여 (About Ahn, Jasan's theory of Sijo)

  • 조규익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30집
    • /
    • pp.165-188
    • /
    • 2009
  • 이 논문은 안자산의 시조론에 관한 분석이다. 그는 선입견을 가지지 않은 상태에서 문헌들을 정사(精査)했으므로 우리의 고전시가가 글자로 쓰인 문학이 아니라 입으로 불리던 음악이었다는 점을 체득하게 되었다. 우리 고유의 음악이나 문학 모두에 달통한 지식을 소유하고 있던 안자산은 시조에 대하여 정확한 인식을 갖고 있었다. 시조를 논할 경우 언제나 그 본질을 언급한 다음 존재 양태를 분석한 그의 태도는 그런 인식에서 가능한 것이었다. 안자산 시조론의 첫 단계는 시조의 정체성을 탐색한 "시조의 연원"이다. 그 글에는 유래, 율조, 시상, 시조의 발전 등 시조의 전반에 걸친 논의와 함께 시조 각론들의 방향까지 잘 나타나 있다. '시조의 시학적 정체성 확립'이 안자산 시조론의 2단계이자 완성담론인데, 저서 "시조시학"에 그런 내용이 집약되어 있다. 1단계인 "시조의 연원"부터 이 저서 직전까지는 시조가 지닌 종합적 측면이 언급되고 있으나, 이 저서에 이르러 비로소 본격 시문학으로서의 시조를 논하게 된다. 특히 장구론의 세밀한 논의가 이 시기에 이루어졌는데, 운율이나 율동 등 등장성을 바탕으로 하는 율격론 또한 이 단계의 핵심적인 논의다. 후대 학자들에 비해 아직 다듬어지진 않았으나, 후대 학자들의 논의가 출현할 수 있도록 한 '모범적 선례' 역할은 분명히 했다고 할 수 있다. 그의 견해는 각 시기마다 분명 여타 학자들보다 앞 서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메이저 그룹에 속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안자산의 이론은 연구자들로부터 본의 아니게 소외를 당해 왔다고 할 수 있다. 시조 연구사에서 안자산의 위치가 새롭게 조정되어야 한다고 보는 것도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

  • PDF

조선시대 도시연구를 위한 지리지(地理志)의 기초연구 - 『동국여지지(東國輿地志)』·『여지도서(輿地圖書)』·『여도비지(輿圖備志)』·『대동지지(大東地志)』를 중심으로 - (Review of Geography Books for Joseon Dynasty Urban Research - Focused on Donggukyeojiji, Yeojidoseo, Yeodobiji and Daedongjiji -)

  • 강서연;윤인석
    • 건축역사연구
    • /
    • 제21권5호
    • /
    • pp.33-46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on reinterpreting the geography books in Joseon dynasty as records of the cities and consequently suggesting directions for further urban research. Geography books of Joseon dynasty are valuable references to understand the national policy, and imply that the focus of the contents is on the system. Especially, military system is an important concept to understand city type in that period, relationships between cities, selection of location, etc. The results of review are as following: First, military system is not a permanent fixture and therefore reflects changes in urban policies along with the history. The system suggests valuable clues on urban development as it is state-run, and closely associated with national land development. Second, counties and prefectures under jurisdiction of district called Eupchi(邑治) had cities as important as or even more important than local government such as Yeong-a(營衙), Jinbo(鎭堡), Yeok(驛: administrative cities). Such special regions need to be studied as other type of cities in Joseon dynasty by defining their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roles. Third, the relationship of cities such as Eupch, Yeong-a, and Jinbo, was reorganized according to the local military system. Eupchi, administrative city, along with Yeong-a and Jinbo evolved into a military city as it became systematically organized. The characteristics of Yeok needs to be reconsidered in the context of such new inter-city relationship. Fourth, considerations which should be reviewed in the geography based on this concept can be mainly classified into architecture and landscape. This will also lay the foundation, and suggest new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for Eupchi, Yeong-a, Jinbo, and Yeok. Fifth, description of the geography looks simple at first sight, but with thorough understating on the system, there are chances to interpret objective reasoning of position and landscape in the overall flow of region, area, etc. Bongsu(烽燧), signal-fire, can be an object of comparison with geographical features and position. Furthermore, advantageous position is a historical and geographical element showing the major context of the region.

폄석(砭石)의 한반도 기원과 형성에 관한 연구 (Archeological Quest on the Origin and Formation of the Stone Needle in the Korean Peninsula)

  • 임용수;손인철;강연석;김성철;김재효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51-61
    • /
    • 2009
  • Objective: Much has been known that the systematical theory of acupuncture was developed from stone needle as therapeutic tools for orthopedic diseases in ancient times. Stone needle is very old therapeutic method like moxibustion and has been recognized that it was developed since the Stone Age in China so far. In the present study, it was examined for the origination and formation of stone needle based on stone relics of the Stone Age in Korean Peninsular, the medical and geographical literatures. Materials and methods: The facts of stone needle was examined and arranged on the ancient medical or geographical literatures such as The Yellow Emperor's Canon Internal Medicine, Shanhaijing as an ancient geographical book, etc. The clan societies and family related to an origination of stone needle was chased together with their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origination. The stone relics which have been digged out of historic sites in the North-East Asia were examined for a relevance to stone needle. Results: In The Yellow Emperor's Canon Internal Medicine, it was referred to the stone needle that originated from a fishery zone related to the east coast district in North-East Asia. Through the examination of Shan Hai Jing as an ancient geographical book and its historical reviews, a Go-yi clan society who keep Go's family tree dealt well with the stone needle and jewels including jade in the North-East Asia before the publication periods of The Yellow Emperor's Canon Internal Medicine, and is comprised in the culture of Dong-yi clan society but not the Chinese culture. The obsidian stones, which have been digged out of historical sites in the North-East Asia since the Stone Age, are originated from volcanic areas combined with seashore that seems to be Baekdu mountain district in Korea and Kyushu district in Japan. Furthermore, obsidian stone tools which were found out at Laodung peninsula and the Korean peninsula are archeologically similar to the stone needle with regards to the shape, size and dual-use. In addition, specific obsidian stone tools have been used in orthopedic surgery as well-crafted obsidian blades have a cutting edge up to five times sharper than high-quality steel surgical scalpels. Conclusion: The origin of obsidian stone needle is well corresponded to the explanation about that of the stone needle. It is suggested that the stone needle which influenced in completion of acupuncture and Meridian theory in China seems to be an obsidian stone, and distribution of obsidian stone needle has been closely connected to Dong-yi clan society which are lived in the North-East Asia including Baekdu-mountain district.

  • PDF

풍의 한의철학적 의미 (Treatise is a Study on 風 in Terms of Oriental Medicine as well as the Philosophy)

  • 홍무형;배현수;신민규;홍무창;김수중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861-878
    • /
    • 2003
  • In the ancient time wind is considered as the life . soul and the human's breath which represents essence of universal creation and the absolute power and also the messenger of the god or god's state. Greek's 'pneuma' , India's 'Brahman' and the Old Testament's 'ruach' are used to signify the wind. Also Wind(風) in traditional culture, it is related to 玄妙之道 of 花郞, the flower of youth in Shilla dynasty and sexual intercourse in shaman's dream which can be thought as Freud's libido. In this aspect we can see the connection between the wind and the libido which can be meaning of sexual desire. Ancient Chinese wrote word ‘風’ as phoenix, the god's bird, the phoenix in inscriptions on bones and tortoise carapace(甲骨文) because one can feel the wind but can’t see it. The word Ki(氣) origins from 風 therefore 風 is 氣's fundamental notion. The wind can be understood by ki which travels around the world to create all nature. And the Wind is associated with 風化, 玄鳥, 八僧舞, which are related with reproduction. In the book of change (周易) the 震巽卦 ; 雷風 come under wind which means the function of ki and also menas the 精(essence of life) of 恒久(eternity) means the reprodution ; that performs succession of life. In the Oriental Medicine 氣 is a phenomenon that appears by movement of Ki by 相火(Ministerial fire). 相火 is core of the succession of life which means preservation of descendants; therefore 風 has very similar concept with sexual desire. 風 is the beginning ki of universe and in human body aspect 風 belong to the Liver Meridian. If 風 makes movement then the Pericardium Meridian of Hand Kwolum responds and the genital organs which belongs to Liver Meridian of Leg Kwolum reproductive function by contraction and expansion. Generally 風 understood as movement and origination and this is recognized as meaning of 氣. Therefore as studied above the present writer believe m. participates closely to reproductive fun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