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fficials of health centers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9초

보건소 공무원의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 참여실태 및 태도 (Attitude and Participation Status on District Health Planning in Officials of Health Centers)

  • 정한호;감신;한창현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8권2호
    • /
    • pp.135-154
    • /
    • 2003
  • 광역시의 7개 구 보건소(180명), 광역도의 9개 시 보건소(262명), 광역도의 12개 군 보건소(232명) 등 28개 보건소의 공무원 674명을 대상으로 2002년 9월에 지역보건의료계획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조사함과 동시에 이들 보건소의 보건소장 또는 보건사업과장에게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과정과 계획서에 따른 업무추진 내용, 제3기 지역보건의료계획서 작성에 관한 사항 등에 대해 설문조사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2기 지역보건의료계획을 구체적으로 끝까지 읽어본 공무원은 13.6%에 불과하였고, 구체적으로 알고 있는 비율도 12.5%에 불과하였다. 대상공무원의 56.9%가 제2기 지역보건의료계획서를 가지고 있지 않았고, 2002년도 계획서를 소지하고 있지 않은 공무원은 63.5%였다. 응답자의 35.4%가 지역보건의료계획에 대해 지방자치단체장의 관심이 높다고 하였고, 22.4%는 지방의회의원의 관심이 높다고 하였다. 보건소장의 관심이 높다고 응답한 공무원은 77.8%였으며, 44.9%는 보건소내 타 공무원의 관심이 높다고 하였고, 43.9%가 본인의 관심이 높다고 하였다. 응답자의 58.6%가 지역보건의료계획이 필요하다고 하였고, 44.8%가 지역보건의료계획이 업무에 기여한다고 하였으며, 38.0%가 활용정도가 높다고 하였다. 응답자의 36.9%가 제2기 지역보건의료계획에 참여하였고, 49.6%가 제3기 지역보건의료계획에 참여하였다고 하였다. 15.7%가 제2기 지역보건의료계획 작성을 위한 교육에 참여하였고, 23.6%가 제3기 지역보건의료 계획 작성교육에 참여하였다고 하였다. 지역보건의료계획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인력 및 예산부족(39.8%), 직원의 인식부족(21.4%) 순이었다. 지역보건의료계획의 내용 중 가장 중요한 것을 보건소 업무의 추진현황과 추진계획이라고 하였다. 전체 보건소의 14.3%만이 제2기 지역보건의료계획에 따라 인력확충 계획을 실행하였다고 하였고, 28.6%가 조직개편계획을 실행하였다고 하였으며, 25.0%가 자체평가를 하였다고 하였다. 지역보건의료계획 목표설정시 내부의견 수렴을 제대로 거치지 않은 경우가 제2기 계획때는 42.9%였으나 제3기 때는 17.9%로 줄어들었다. 지역보건의료계획 시 가장 어려운 점은 '서식이 많고 복잡함', '직원의 전문지식 부족', '직원과 기관장의 관심부족' 순이었고, 개선방안으로는 '기획전담부서 확보', '계획수립시기 조정', '의회의결폐지', '직원교육확대', '서식 개선' 등이 제시되었다. 따라서 인력 및 예산확보, 기관장과 직원의 관심도 제고, 보건소 실정에 맞는 지침정비,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제출시기 조정 등의 법규정비, 직원교육 등을 확대하여 지역실정에 맞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지역보건 의료계획을 수립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 PDF

보건소 공무원의 코로나19 대응 경험 (Experiences of Public Officials for the COVID-19 Response in the Community Health Center)

  • 손행미;양혜련;박보현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78-592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public officials working for the Coronavirus Disease-19 (COVID-19) response in community health centers in South Korea. Methods: A qualitative thematic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collected from three focus groups and two individual interviews. Results: The participants performed quarantine tasks in a poor working environment with several problems, such as significant workload, lack of manpower, and inappropriate compensation system. Participants experienced obstacles in performing quarantine works, which had the lack of the detailed quarantine guidelines, work support and cooperation system. Participants suffered from civil complaints. Participants endured sacrifices in their personal lives while partaking in COVID-19 response work without holidays, and subsequently experienced health problems. And also participants said that it was necessary to secure expertise and effective communication for infectious disease management.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policies are required that are aimed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and the recruitment of experts in infectious diseases. In addition, the job stress related to the COVID-19 response by public officials in community health centers must be evaluated, and the relation of their job stress to physical and mental problems, as well as psychosocial stress, must be examined.

간호직 공무원의 코로나19 스트레스, 충동성, 가족건강성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s of COVID-19 Stress, Impulsiveness, and Family Strength on Suicidal Ideation of Public Nursing Officials in Community Health Center)

  • 이안나;박완주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23-333
    • /
    • 202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of COVID-19 stress, impulsiveness, and family strength on suicidal ideation of public nursing officials in community health centers. Methods: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analysis stud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145 public nursing officials from community health centers in Busa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WIN 23.0 version. Result: The result of the predi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motor impulsiveness (β=.383, p<.001), workload (β=.222, p=.003), cognitive impulsiveness (β=-.205, p=.012), bond (β=-.169, p=.033). The regression model showed an explanatory power of 24.1%. Conciusio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impulse and stress control ability, and to adjust the workloa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guarantee a working environment where practical vacation can be used, but it may not be a realistic alternative in a disaster crisis such as COVID-19, so indirect alternatives such as reinforcing infectious disease experts, improving the work environment, and psychological support to prevent suicide in advance are required.

일 지역사회 공무원의 정신건강지식 및 정신건강사업에 대한 태도조사 (Mental health literacy of local public officials and the mental health business attitude survey)

  • 김현실;강은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275-28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지역사회 공무원의 정신건강지식 및 정신건강사업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조사대상자는 강원도 3개 군에 근무하는 공무원 273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2018년 7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공무원의 정신건강지식은 101.45점(범위 35-160)이었다. 정신건강지식정도는 직업, 정신건강 교육 유무, 정신건강 치료경험 유무, 가족의 정신건강 치료경험 유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정신건강사업에 대한 인식으로 정신건강복지센터에 대해 알고 있는지에 대해 응답자의 39.9%가 이름정도만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확대해야 할 정신건강서비스는 우울 등 조기발견 서비스가 35.9%로 가장 많았다. 정신건강사업으로 인한 지역사회의 변화에 대해 약간 좋아지고 있다는 응답자가 44.7%로 가장 많았다. 조사대상자들의 정신건강복지센터에 대한 인식과 정신건강 지식 점수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정신건강지식점수에 따라 정신건강복지센터에 대한 사전지식 유무와 정신건강 관리를 위한 정부의 관리투자에 관한 문항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므로(p=.012) 지역사회 공무원들의 정신건강지식을 향상시키기 위해 정신건강간호사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제안한다.

일개 도지역 보건기관 근무 치과위생사의 직무실태와 개선방안 (Task Status of Dental Hygienists of Health Centers and Subcenters)

  • 은종영;감신;임지선;양진훈;김종연;한창현;유윤선;차병준;송근배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7권2호
    • /
    • pp.35-54
    • /
    • 2002
  • 보건기관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의 직무실태, 직무만족도, 그리고 향후 직무개선 방안을 알아보기 위하여 경상북도 보건소 및 보건지소에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 전원(203명) 대상으로 2002년 4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타부서에 비해 업무량이 많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52.2%였고, 보수 수준에 대하여는 61.6%가 보통, 36.5%는 만족한다고 하였다. 대상자의 73.9%가 업무에 대해 긍지와 보람을 느낀다고 하였고, 32.0%가 전직의사가 있다고 응답하였는데, 전직의사 이유로는 승진기회의 부족이 가장 높았다. 대상 치과위생사의 47.3%가 직무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있었고, 19.2%가 특수사업에 참여한 경험이 있었다. 치과위생사가 공무원계급에 6급직이 없는 이유에 대해서는 60.6%가 타직렬의 견제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보건기관에서 타업무에 종사하는 치과위생사에 대해서는 53.7%가 구강업무에 종사하도록 해야 한다고 하였고, 치과의사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지역의 치과위생사에 대해서는 61.9%가 치과질료실을 구강보건실로 전환하여 구장질환 예방사업에 종사하도록 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보건기관의 유휴 치과장비에 대해서는 89.1%가 지역실정에 맞게 치면세마사업에 활용하야야 한다고 하였다. 보건기관 근무 치과위생사외 구강보건업무 담당시간은 전체 업무시간의 57.8%를 차지하였고, 투입시간 비율은 치과실내에서의 치과진료업무가 41.6%로 가장 많았다. 구강보건업무 중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업무로는 구강보건실 내에서의 구강보건업무 학교구강보건사업, 수직적 구강보건사업 순이었다. 보건기관에서의 구강보건 업무를 수행하는데 문제점으로는 공중보건치과의사의 부족으로 치과위생사 고유 업무에 종사 하지 못함, 구강보건사업에 대한 관심부족, 예산 및 인력부족 순이었다. 개선방안으로는 보건복지부와 도에 치과위생사 배치, 인력 및 예산확보 등이었다. 이상의 결과, 보건기관 근무 치과위생사의 효율적인 활용방안이 강구되어야 하겠는데, 타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치과위생사의 재배치를 통해 구강보건업무에 종사하도록 하여야 하겠고, 치과위생사의 업무를 치과진료실 내에서의 진료보조 업무에서 구강보건교육과 예방진료 등으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겠으며, 공중보건 치과의사 미배치지역에 대해서는 지역설정에 맞게 치과 진료실을 구강보건실로 전환하여 구강보건사업에 활용하도록 하여야 하겠다. 또한 치과위생사익 전문성 제고를 위하여 직무교육, 연구사업, 특수사업 등의 참여 기회를 확대 부여하도록 하여야 하겠고, 치과위생사에 대한 6급 승진 기회 부여와 시 도에 구강보건 담당부서 설치 및 치과위생사 배치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PDF

한의약건강증진사업 담당자 인식도 조사 (A survey of public officials' perception on PHPP-TKM)

  • 김경한;장수빈;정명주;최대범;황정운;김제명;사사키 유이;주용준;신용철;장보형;고성규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17
    • /
    • 2016
  • Objectives : This study was aimed to survey the perception of public official on public health promotion programs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PHPP-TKM). Methods : Data were collected from 129 public officials who were in charge of PHPP-TKM business in the public health centers using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T-test using SPSS 13.0. Results : Even though stroke prevention programs are implemented most often at present, respondents hope to practice dementia prevention programs in the future. The obstructive factor was measured by 5-point Likert scale, and the most obstructive factor was that there were neither standard manuals nor methodological guidelines for the programs($3.73{\pm}0.97$). The second most obstructive factor was that TKM-PHPP duplicated other public health programs($3.67{\pm}1.07$). The plan to activate TKM-PHPP was also measured by 5-point Likert scale. The most suggested plan was to develop competitive programs ($4.20{\pm}0.88$). The second most suggested plan was that of various integration of public health programs ($4.14{\pm}0.80$). Conclusions : The result of survey questionnaire suggests to develop various integrated programs, and to draw up a standard manual to activate the TKM-PHPP in public health centers.

유아교육·보육기관 평가인정제 개발 연구 (Accreditation Standards and Procedures for Institut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 양옥승
    • 아동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77-196
    • /
    • 2000
  • A large sample (1090) of randomly selected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fessionals and government officials rated each of the 133 standards of "A Model for Institutional Accredit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Yang, 1999) on a scale of 1 (least important) to 5 (most important). Findings were that all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should be evaluated for accreditation every 3 years with 3-6 months for self-study and on-site validation visits by representatives of the appropritates agencies for 1-2 days. Evaluation results are should be used by institution personnel as a guide to self-supervision, by government officials as a funding standard and by parents as criteria of program quality. Essential accreditation standards included: facilities and equipment; curriculum; nutrition, health and safety;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and support systems. Safet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were most highly rated while parent involvement was not highly rated.

  • PDF

소방공무원의 심리적 응급처치 필요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ecessity of Psychological First Aid for Firefighters)

  • 김주현;박상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385-390
    • /
    • 2023
  •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스트레스에 대한 심리적 응급처치 필요성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0명의 구급대원을 대상으로 1:1 심층 인터뷰를 통해 구급대원의 근무환경, 외상 후 스트레스 경험, 심리적 응급처치 경험 등을 분석하여 소방관의 정신건강 향상을 위한 심리적 응급처치의 필요성에 대한 정책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소방공무원을 현장에 배치해 외상 후 스트레스와 그로 인한 신체 증상을 미리 교육한 뒤 외상 사건에 노출될 필요가 있다. 둘째, 소방공무원은 외상환자에 노출된 후 적절한 시기에 심리적 응급처치를 해야 한다. 셋째, 정신건강 업무를 전문적으로 수행할 인력과 제도적 장치의 보완이 필요하다. 넷째, 소방공무원에 적합한 맞춤형 전문의료서비스와 심리지원을 위해서는 소방복합치유센터와 국립 소방병원의 연계가 필요하다.

Multilevel Analysis of Factors Associated with Perceived Good Health and Multimorbidity among Older Adults: Using the 2017 Community Health Survey

  • Boo, Sunjoo;Han, Young Ran;Choi, Hye Young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1권spc호
    • /
    • pp.549-562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individual- and regional-level factors associated with perceived good health and multimorbidity among older adults. Methods: Secondary analysis of the 2017 Korea Community Health Survey was conducted on a sample of 67,532 older adults. The individual level data set was combined with regional-level factors from the administrative data released on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website. Distribution of perceived good health and multimorbidity in 254 public health centers were calculated using sampling weights and presented as percentages.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identify individual- and regional-level factors associated with perceived good health and multimorbidity. Results: Overall, 21.1% of subjects perceived their health to be good, ranging from 9.3% to 39.4% by region. The prevalence of multimorbidity was 15.9%, and varied between 6.6% and 22.6% by region. At the individual level, perceived good health was associated with men, younger age, higher educational levels, higher income levels, and those married and living with a partner and maintaining a healthy lifestyle. At the regional level, higher rates of health center personnel among public officials and higher levels of financial independence were associated with perceived good health. Multimorbidity was associated with marital status and healthy lifestyle, and higher rates of health center personnel among public officials. Conclusion: Regional factors such as health care personnel and local economy could affect population health. Our findings suggest the need to consider individual- and regional-level factors to promote good health among older adults and reduce the health gap by region.

보건소 공무원들의 감정노동과 조직지원인식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the Job Attitude of Public Health Workers)

  • 신선해;안재선;김문중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3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labor,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job attitude in public health centers. Results: First, emotional dissonance had no effect o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owever, emotional endeavor had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Seco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attitude. Third, emotional labor had no effect on job satisfaction, but emotional labor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commitment. Fourth,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d a ful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attitud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onclusions: Higher emotional labor leads to lower job satisfaction and job commitment in public officials, thereby affecting job attitude. Accordingly, various systematic methods, such as flexible working hours and personnel policy, need to be implemented to alleviate the negative effects of emotional lab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