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sk Status of Dental Hygienists of Health Centers and Subcenters

일개 도지역 보건기관 근무 치과위생사의 직무실태와 개선방안

  • Eun, Jong-Young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am, Sin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im, Ji-Seu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Yang, Jin-Hoo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Jong-Yeo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Han, Chang-Hyun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Yoo, Yoon-Sun (Taekyeung College) ;
  • Cha, Byung-Jun (Taekyeung College) ;
  • Song, Keun-Bae (Department of Preventive and Public Health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은종영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
  • 감신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
  • 임지선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양진훈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김종연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한창현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
  • 유윤선 (대경대학) ;
  • 차병준 (대경대학) ;
  • 송근배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예방치과학교실)
  • Published : 2002.12.30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task status and performance improvement plan of dental hygienists of Health Centers and Subcenters. The Data collec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of 203 dental hygienists of Health Centers and Subcenters located in Gyeongsangbuk-do were analyzed.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or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tasks, 73.9% of dental hygienists of Health Centers and Subcenters felt proud, 52.2% felt overwork, 32.0% hoped transferring to other worksite and the major reason of transferring was lack of promotion opportunity in officials of dental hygiene department. Dental hygienists received job education in addition continuous job education in last 3 years were 47.3%, 19.2% of dental hygienists performed the special dental health program for residents in last 3years. Almost half(53.7%) of dental hygienists replied that dental hygienists who were not engaged in dental health tasks should be engaged in dental health tasks. The major dental hygienic tasks performed by dental hygienic officials were support for dental treatment(41.6%). Dental hygienic officials answered that dental health tasks, school dental health program, vertical dental health program should be conducted as important tasks in order. And they replied that the most serious problem of dental hygienic tasks was not conducting dental health affairs due to 'lack of dental doctor'(40.9%), 'lack of concern for dental health tasks'(26.4%), and 'lack of budget and personnels for dental tasks'(19.0%), and the most important thing to improve dental hygienic tasks was 'posting dental hygienists i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MOHW) and province', 'securing of budget and personnels for dental health tasks'.

보건기관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의 직무실태, 직무만족도, 그리고 향후 직무개선 방안을 알아보기 위하여 경상북도 보건소 및 보건지소에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 전원(203명) 대상으로 2002년 4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타부서에 비해 업무량이 많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52.2%였고, 보수 수준에 대하여는 61.6%가 보통, 36.5%는 만족한다고 하였다. 대상자의 73.9%가 업무에 대해 긍지와 보람을 느낀다고 하였고, 32.0%가 전직의사가 있다고 응답하였는데, 전직의사 이유로는 승진기회의 부족이 가장 높았다. 대상 치과위생사의 47.3%가 직무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있었고, 19.2%가 특수사업에 참여한 경험이 있었다. 치과위생사가 공무원계급에 6급직이 없는 이유에 대해서는 60.6%가 타직렬의 견제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보건기관에서 타업무에 종사하는 치과위생사에 대해서는 53.7%가 구강업무에 종사하도록 해야 한다고 하였고, 치과의사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지역의 치과위생사에 대해서는 61.9%가 치과질료실을 구강보건실로 전환하여 구장질환 예방사업에 종사하도록 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보건기관의 유휴 치과장비에 대해서는 89.1%가 지역실정에 맞게 치면세마사업에 활용하야야 한다고 하였다. 보건기관 근무 치과위생사외 구강보건업무 담당시간은 전체 업무시간의 57.8%를 차지하였고, 투입시간 비율은 치과실내에서의 치과진료업무가 41.6%로 가장 많았다. 구강보건업무 중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업무로는 구강보건실 내에서의 구강보건업무 학교구강보건사업, 수직적 구강보건사업 순이었다. 보건기관에서의 구강보건 업무를 수행하는데 문제점으로는 공중보건치과의사의 부족으로 치과위생사 고유 업무에 종사 하지 못함, 구강보건사업에 대한 관심부족, 예산 및 인력부족 순이었다. 개선방안으로는 보건복지부와 도에 치과위생사 배치, 인력 및 예산확보 등이었다. 이상의 결과, 보건기관 근무 치과위생사의 효율적인 활용방안이 강구되어야 하겠는데, 타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치과위생사의 재배치를 통해 구강보건업무에 종사하도록 하여야 하겠고, 치과위생사의 업무를 치과진료실 내에서의 진료보조 업무에서 구강보건교육과 예방진료 등으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겠으며, 공중보건 치과의사 미배치지역에 대해서는 지역설정에 맞게 치과 진료실을 구강보건실로 전환하여 구강보건사업에 활용하도록 하여야 하겠다. 또한 치과위생사익 전문성 제고를 위하여 직무교육, 연구사업, 특수사업 등의 참여 기회를 확대 부여하도록 하여야 하겠고, 치과위생사에 대한 6급 승진 기회 부여와 시 도에 구강보건 담당부서 설치 및 치과위생사 배치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