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cupational Performance

검색결과 789건 처리시간 0.029초

골덴하르 증후군(Goldenhar syndrome)아동에 대한 감각통합치료 평가와 중재: 사례연구 (Sensory Integration therapy Evaluation and Intervention in Clients With Goldenhar Syndrome : A Case Report)

  • 정희승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286-295
    • /
    • 2011
  • 본 연구는 전반적인 발달지연, 감각 예민성, 촉각 방어와 작업수행의 문제를 가진 골덴하르 증후군 아동에게 감각통합치료를 적용하여, 골덴하르 증후군 아동의 감각통합 치료적 중재 개입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증례 아동은 만 7세 10개월 남아로 학교와 일상생활에서, 놀이와 학습에 대한 어려움, 운동발달 지연을 주 호소로 하여 검사가 의뢰되었다. 감각통합치료를 위한 평가로 캐나다 작업수행 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시 바른 자세로 한글 읽고 쓰기가 첫째 작업수행 목표로 나타났고, 단축 감각프로파일(Short Sensory Profile) 과 감각 인터뷰에서는 감각 예민성과 촉각 처리영역에서 확연한 차이로 감각통합치료 중재가 요구되었다. 발달 프로파일 -3(Developmental Profile -3)은 5개 발달영역에서 전반적인 발달 지연이 나타났고, 운동 숙련도 검사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2)에서 운동발달 수준이 평균 이하로 나타났다. 본 증례 아동에 대한 감각통합 치료를 통해 전반적인 발달, 감각예민성, 촉각방어와 같은 감각조절 기능이 향상되고, 작업수행이 개선되는데 도움이 되었다. 본 사례연구를 통해서 국내 골덴하르 증후군 아동의 감각통합치료 접근법에 기초 자료가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국내 석면조사기관의 품질관리 수준에 대한 평가 (Evaluation of Quality Management of Domestic Asbestos Survey and Monitoring Service Providers)

  • 권지운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17-225
    • /
    • 2019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quality management systems of domestic asbestos survey and monitoring service providers and the relationships with the number of licenses or designations and sales performances. Methods: Data on quality management systems were collected by assessors who were assigned by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KOSHA) during a pilot evaluation program for designated asbestos survey and monitoring service providers in 2016 using evaluation criteria developed by KOSHA. Basic characteristics, evaluated scores, and sales performance were gather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Results: The median and arithmetic mean of the total scores were 0.64 and 0.66. Evaluation fields that scored highly with the highest percentages were sales performance, installation and availability of equipment, compliance with the mandatory minimum number of airborne samples, laboratory independence, and results of proficiency analytical testing, in that order. Evaluation fields that received low marks with the highest percentages were the training of personnel, blank field samples, calibration of flow rates, preliminary check and visual inspection of the work area prior to the clearance test, and review and approval of final reports, in that order. Comparison of normalized scores between service providers registered for asbestos and other tasks and those designated for only asbesto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evaluated scores. Sales performance did not show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valuated scores. Conclusions: The quality management systems of domestic asbestos survey and monitoring service providers were poor. High scores were recorded mostly in evaluation fields related to regulatory requirements. Low scores were recorded mostly in evaluation fields related to documentation and recordkeeping. Considering the low influence of quality on sales performance, the government needs to evaluate the quality management of asbestos survey and monitoring service providers and provide the results to public in order to address their low levels of quality management.

지역사회 재활이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게 미치는 효과: 체계적 고찰 (Effectiveness of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 A Systematic Review)

  • 박영주;장문영;김경미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3-23
    • /
    • 2012
  • 목적 :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지역사회 재활치료의 중재방법 및 중재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체계적 고찰을 하였다. 연구방법 : 자료는 데이터베이스인 Ovid와 PubMed를 통해 검색하였다. 사용된 검색어는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와 "traumatic brain injury rehabilitation"이었다. 그 중 외상성 뇌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지역사회 재활치료를 실시한 7편의 연구결과를 가지고 대상자, 평가도구, 중재방법과 중재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 대상자의 수, 연령, 손상정도, 손상기간은 다양하였다. 연구 설계는 모두 실험연구의 형태로, 평가도구는 작업수행을 평가하는 영역이 5개(27.7%)로 가장 많았다. 중재방법은 작업치료사가 참여하는 전반적 재활프로그램, 인지치료, 인지행동치료, 가정방문 작업치료를 시행하였다. 중재효과는 결과측정 방법에 따라 작업수행, 참여, 예방, 그리고 작업 정의 영역에서 효과적이었고 적응, 건강과 안녕 영역에서 부분적으로 효과를 보였으며, 역할능력에서는 효과가 없었다. 결론 : 지역사회를 기초로 한 재활치료는 작업수행, 참여, 예방, 작업 정의에서 효과적이었으나 역할능력에서는 효과적이지 않았다. 앞으로 지역사회 재활에서 각 영역별 중재 프로그램 및 평가도구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 PDF

스마트폰 기반 경험표집법을 통해 수집된 작업균형유형에 따른 대학생의 몰입과 정서경험 분석 (Analysis of Flow and Emotional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 Among Type of Occupational Balance Using Experience Sampling Methods Based on Smart Phone)

  • 홍승표;유연환;권재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2호
    • /
    • pp.227-23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경험표집법을 통해 학생들의 작업균형 유형을 구분하고, 그에 따른 몰입과 긍정 부정정서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대학생 12명에게 하루 8회, 5일간 경험표집법을 시행하였다. 경험표집법을 통해서 외적경험으로는 주활동을, 내적경험으로는 몰입과 긍정 부정정서 상태를 파악하였고, 주활동의 빈도수에 따라 작업균형유형을 분류하였다. 분류된 작업균형유형으로는 일상생활군 3명, 노동과다군 8명, 작업균형군 1명이었다. 일상생활군에서는 무관심을 경험한 활동이 34%로 가장 높았고, 노동과다군에서는 노동활동에서 몰입을 경험한 활동이 41%로 가장 높았다. 작업균형군에서는 노동과 여가활동의 빈도가 높았지만, 여가활동에서 지루함을 많이 경험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주활동 시 몰입을 경험할 때 긍정정서의 평균값이 가장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작업균형유형에 따른 작업수행영역별 몰입경험에 차이가 있음과 몰입을 경험하는 활동 시 누적된 긍정정서가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적시기술지도 시범사업의 현황 및 성과분석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and Performance Analysis for the Timely Technical Guidance Project)

  • 고원경;이영섭;이준원;박종일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104-109
    • /
    • 2014
  • More than 76% of occupational accidents occur in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SME) employing less than 50 workers, due to the lack of safety and health systems, and carelessness of workers and owners. Timely Technical Guidance(TTG) project of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th Agency(KOSHA) for SME was initiated to analyze and inform accident causes just after accidents occur. Improvement direction of TTG project is suggested through situation and performance analysis on TTG services conducted in 2012. KOSHA provided TTS services on 15,571 SMEs(suffering at least one accident in 2012), through which the working day losses from recurrence resulted in 19.0%p, 14.5%p and 31.3%p decreases in manufacturing, services and construction businesses, respectively.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Building Construction Field Managers

  • An, Sung-Hoon;Zhang, Zhen;Lee, Ung-Kyun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474-481
    • /
    • 2013
  • The success of a construction project hinges on the effective and efficient management of human resources. The stress of human resources is directly related with work performance, and as such, should be managed to improve work performance.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mong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 managers. A questionnaire to measure work performance was created by referring to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Questionnaire Short Form developed by the Korean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as well as a previous study. The mean job satisfaction score of field managers was 3.6, which suggests that they are generally satisfied in their current job environment. 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field managers that were satisfied with their job had less job stress. These results could be used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construction site managers and to improve their job performance in the field.

Developing a Best-Evidence Pre-employment Medical Examination: An Example from the Construction Industry

  • Gouttebarge, Vincent;van der Molen, Henk F.;Frings-Dresen, Monique H.W.;Sluiter, Judith K.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5권3호
    • /
    • pp.165-167
    • /
    • 2014
  • The Dutch construction industry has introduced a compulsory preemployment medical examination (PE-ME). Best-evidence contents related to specific job demands are, however, lacking and need to be gathered. After the identification of job demands and health problem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systematic literature search and expert meeting), specific job demands and related requirements were defined and instruments proposed. Finally, a work ability assessment was linked to the instruments' outcomes, resulting in the modular character of the developed PE-ME. Twenty-two specific job demands for all Dutch construction jobs were identified, including kneeling/squatting, working under time pressure, and exposure to hazardous substances. The next step was proposing self-report questions, screening questionnaires, clinical tests, and/or performance-based tests, leading to a work ability judgment. "Lifting/carrying" is described as an example. The new modular PE-ME enables a job-specific assessment of work ability to be made for more than 100 jobs in the Dutch construction industry.

일지역 보건교사의 지각된 직무스트레스와 우울 (Perceived Occupational Stress and Depression of School Nurses)

  • 오경옥;강문희;이선현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60-71
    • /
    • 201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occupational stress and to determine level of depression of school nurses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depression. Methods: A cross-sectional design was employ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included 146 school nurses from D cit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on January 17-21, 2011,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he SPSS/WIN 11.5 was used in performance of data analysis.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in occupational stress were observed according to age, occupation and perceived mental health status, and in depression according to marital status, perceived mental health status and physical disease. Depression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occupational stress (r=.35, p<.001). In regression analysis, occupational stress and physical health state were found to be the cause of depression in 17% of subject. Conclusion: Findings of this study allow fo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occupational stress and level of depression of school nurses in Korea. Further study using a larger random sample and various variables is needed.

거주시설 발달장애인을 위한 작업 기반 마트장보기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Occupation Based Grocery Shopping Skill Training Program For The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 주유미;김대윤;모영호;손성민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43-58
    • /
    • 2017
  • 목적 : 발달장애인의 마트장보기 과제의 독립적 수행을 위해 작업 기반 마트장보기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효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최종 프로토콜을 제안하고 그 효과를 입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작업 기반 마트장보기 훈련 그룹프로그램을 개발한 프로그램에 대해 전문가 내용타당도 평가를 실시한 후 프로토콜을 작성하였다. 이후 발달 장애인 3명에게 소규모 그룹프로그램의 프로토콜을 총 6회기에 걸쳐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는 훈련 전 후 및 5개월 후 3차례에 걸쳐 The Test of Grocery Shopping Skills (TOGSS)를 통해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작업 기반 마트장보기 훈련 그룹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3명의 대상자 모두 구매하고자 하는 물건의 항목비교 및 크기비교 수행기술에서 향상을 보였으며, 마트에서 장보는 시간이 훈련 전에 비해 감소되는 효과를 보였다. 또한 3명 중 2명의 대상자는 마트 내에서 물건위치 찾기 수행도가 향상되었다. 반면 가격비교는 3명 모두 수행도의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5개월 후 추적평가 시 대상자 2명은 마트장보기 수행기술이 유지되거나 향상된 모습을 보였고, 1명은 훈련효과가 퇴행하여 독립적으로 마트장보기가 불가능하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작업 기반 마트장보기 훈련 그룹프로그램은 발달장애인들의 마트장보기 수행 기술 향상에 도움이 된다. 이와 같이 마트장보기 훈련 프로그램은 지적장애인 거주시설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고, 전문가 내용 타당도 평가를 거쳐 구체적인 프로토콜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 것이 지역사회 작업치료서비스 분야에 필요한 임상적 의의를 지닌다.

치매노인에게 적용한 복합 중재프로그램의 효과 비교 연구 (The effect of the multi intervention program applying to dementia elderly)

  • 김희정;이춘엽;정혜림;이규한;김동현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21
    • /
    • 2015
  • 목적 : 본 연구는 복합 중재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작업수행능력, 인지, 균형, 삶의 질, 시간 사용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치매노인 15명을 대상으로 12주 동안 총 5단계로 복합 중재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 작업수행능력(COPM), 인지(MMSE-DS), 균형(BBS), 우울(GDS-K), 일상생활활동(MBI), 삶의 질(GQOL-D), 시간 사용(OQ)을 평가하였으며, 10주간의 중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결과 : 복합 중재프로그램 적용 후 치매노인의 작업수행능력의 만족도, 균형능력, 삶의 질, 시간 사용 형태 중 이동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 복합 중재프로그램은 치매노인의 작업수행 만족도와 삶의 질 및 균형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또한 시간 사용 형태 중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 사용량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어 치매노인의 삶의 다양한 측면에서 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