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cupational Balance Assessment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형 작업균형 평가(Occupational Balance Assessment)의 동시타당도 연구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Korean Occupational Balance Assessment(OBA) Tool)

  • 홍소영;홍덕기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9
    • /
    • 2020
  • 목적 : 본 연구는 한국형 작업균형 평가(Occupational Balance Assessment: OBA)의 동시타당도를 검증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9년 10월 1일부터 10월 25일까지 101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OBA와 작업균형 설문지(Occupational Balance Questionnaire11: OBQ11)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와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OBA의 세 가지 영역별 점수와 OBQ11의 총점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1). 세 가지 영역 모두 양의 상관관계로 분석되었다. 시간사용 영역(r=.554)과 작업빈도 영역(r=.574)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작업특성 영역의 하위요인(중요도 r=.582, 목표성취 r=.633, 즐거움 r=.649, 건강 r=.650)은 대부분 높은 상관관계로 분석되었다. 결론 : OBA는 작업균형을 평가하기 위해 타당한 평가도구임을 검증하였다. 향후에는 임상적 유용성을 위해 작업균형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한국형 작업균형 평가도구 개발 (Development of Korean Occupational Balance Assessment(K-OBA) Tool)

  • 홍소영;홍덕기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43-58
    • /
    • 2019
  • 목적 : 본 연구는 한국형 작업균형을 측정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개발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2017년 3월부터 2019년 7월까지 선행연구 분석, 전문가 포커스 회의를 통해 예비문항을 작성하였고, 2차의 델파이조사를 통해 예비문항을 선정하였다. 문항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라쉬분석을 실시하여 대상자 및 문항적합도, 문항난이도, 평정척도, 분리신뢰도를 분석하여 최종문항을 도출하였다. 결과 : 조사대상자 141명 중 시간사용에서 9명(6.38%), 작업영역에서 11명(7.80%)이 부적합 대상자로 나타났다. 시간사용 적합대상자 132명, 작업영역 적합대상자 130명을 대상으로 문항의 적합도를 분석한 결과 3개 문항이 부적합 문항으로 판정되었으나, 이론 및 임상적 근거에 기초하여 최종적으로 작업특성 영역의 1개 문항을 삭제하였다. 문항의 난이도 분석에서 당신은 가정 내에서 다른 사람을 위한 활동에 사용하는 시간의 양은 어떠합니까?, 당신은 정규교육이나 관심분야를 위한 교육을 받고 있습니까? 문항이 높은 난이도를 보였다. 평정척도 분석결과에서는 5점 척도보다 4점 척도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고, 분리신뢰도는 .86~.94이었다. 최종적으로 3개 범주(시간사용, 작업영역, 작업특성), 18개 문항이 최종 선정되었다. 결론 : 작업균형 평가도구는 3개 범주 영역, 18개 문항을 최종 선정하였고, 4점 리커트 척도로 개발되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작업균형을 측정하는 다른 평가도구와의 상관관계를 통해 공인타당도를 입증하고, 작업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한글화된 균형 평가도구들의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 (The Analysis 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Version Balance Assessment Tools)

  • 장호영;이정훈;이석민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39-146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version of the balance assessment tools. METHODS: Two reviewers of this study independently evaluated the titles of articles and abstracts of studies published until December 2016 through electronic databases (RISS, NDSL, KISS, DBpia) using the keywords "Balance or posture or postural control or postural stability", "Test or assessment or measurement or outcome measure or assessment tool or measurement tool", "Korean version", "Reliability" and "Validity". Regarding the questions considered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consensus was reached after reading the full text. Selecting journals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y were analyzed as data. RESULTS: The reviewers selected nine papers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Korean-version of the balance assessment tools, included the Berg Balance Scale (BBS),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ABC) scale,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SS), Motor Assessment Scale (MAS), Trunk Impairment Scale (TIS), Falls Efficacy Scale (FES), Tinetti-Balance scale, Fullerton Advanced Balance (FAB) scale, and Function In Sitting Test (FIST). Our study showed tha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version of the balance assessment tools were high. CONCLUSION: The Korean-version of the balance assessment tools with high reliability and validity would enable physical therapists to make a more accurate evaluation of balance.

노인의 시지각 능력과 균형능력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Visual Perception Ability and Balance Ability in the Health Elderly)

  • 장용수;박창식;이형수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73-80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isual perception ability and the static dynamic balance ability in health elderly. Method: The Motor Free Visual Perception Test-Row Score(MVPT-RS) and MVPT-Process Time(MVPT-PT) were used for evaluating the visual perception abilities. Assessment of the balance ability was taken by using Good Balance System. In the assessment using Good Balance System, X, Y coordinate speed, anterior-posterior direction, medial-lateral direction and Velocity Movement(VM) in standing posture when eye open were measured as static balance abilities. Thirty-seven healthy elderly who live in Gwangyang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for 2 months, from October to November 2010. Results: 1.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MVPT-RS, MVPT-PT, NSB-X, NSB-Y, NSB-VM, OLB-X, and OLB-VM based on the gender(p<0.05). 2. The negative correlations of MVPT-RS:NSB-Y(r=-0.354), MVPT-RS:OLB-X(r=-0.4), MVPT-RS: OLB-Y(r=-0.371), but positive correlations of MVPT-PT:DTB-T showed a statistical significance(r=0.45, p<0.05). 3. The positive correlations of NSB-X:NSB-Y(r=0.54), NSB-X: NSB-VM(r=0.848), NSB-Y:NSB-VM(r=0.531), OLB-X:OLB-Y(r=0.876), OLB-X:OLB-VM(r=0.872), and OLB-Y:OLB-VM(r=0.787)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s(p<0.05).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visual perception ability was correlated with some balance ability in health elderly. Especially the perception test process time(MVPT-PT) has closely related with the DTB-T. The visual perception ability is considered as a factor on the balance ability in health elderly. Further study will focus on the development of improving program of visual perception ability as an improving method of balancing ability in health elderly.

  • PDF

복합운동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및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사례연구 (The Effects of Complex Exercise Program for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Balance Proficiency in Person With Stroke: A Case-Study)

  • 최유임;이상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4374-4381
    • /
    • 2010
  • 본 연구는 복합운동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및 균형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 대상자는 뇌졸중으로 인한 좌측 편마비 증상을 보이는 68세 여성이며, 연구 기간은 2005년 4월 17일부터 2007년 8월 30일까지였다. 복합운동프로그램은 관절가동범위운동, 근력강화운동 및 반복적인 과제-지향적 활동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대상자는 주 3회, 매 회기 1시간씩 복합운동프로그램을 수행하였다. 대상자의 상지 기능은 브론스트롬 손회복 및 상지 회복 단계, Fugl-Meyer Assessment of Motor Function, 뇌졸중 상지기능검사로 측정하였고, 균형 능력은 Tinetti Gait & Balance Scale과 One Leg Standing Test로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상지 기능 검사의 점수가 향상되었고, 균형 능력 검사 점수는 유지 및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나, 복합운동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균형 능령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노인에게 적용한 낙상예방 작업치료가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Fall-preventive Occupational Therapy Applied to Elderly in the Community upon Balance Ability)

  • 장기연;우희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32-240
    • /
    • 2010
  • 지역사회 여성노인에게 적용한 작업치료가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노인들의 낙상 예방을 위한 작업치료의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립보행이 가능하고 균형에 영향을 주는 약물 복용을 하지 않는 65세 이상 여성 노인들을 대상으로 실험군 13명, 대조군 13명으로 분류하여 낙상 예방을 위한 교육과 운동을 병행한 6주 간의 작업치료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균형 능력 평가는 Berg 균형척도와 Tetrax 낙상지수가 사용되었다. 실험 결과, 실험군의 Berg 균형척도는 6주간의 프로그램 적용을 통하여 48.38에서 50.69로 유의한 수준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p=.017). 실험군의 Tetrax 낙상지수 또한 6주간의 프로그램 적용을 통하여 46.77에서 35.54으로 유의한 수준의 변화를 나타내었다(p=.000).대조군의 Berg 균형척도와 Tetrax 낙상지수는 모두에서 유의한 수준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낙상예방 교육과 운동을 병행한 낙상예방 작업치료 프로그램의 6주 간의 적용이 노인의 균형 능력증진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았으며, 추후 낙상 예방 교육의 효과만을 다룬 연구들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판 삶의 균형 척도의 심리측정적 특성 및 감각 처리와의 관련성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of Korean Version of Life Balance Inventory (K-LBI) and Relationship Between Life Balance and Sensory Processing)

  • 김은영;이선욱;김영;이상헌;김혜진;권정아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36-49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한국판 삶의 균형 척도(Korean version of Life Balance Inventory; K-LBI)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고, 삶의 균형과 감각 처리 간 관련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K-LBI는 번역 및 역번역 과정을 통해 구성되었다. 후기 청소년기 대학생을 대상으로 K-LBI와 한국판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 한국판 삶의 만족도 척도, 성인 행동 평가 척도를 실시하여 수렴 타당도를 검증하였고, 내적 일관성 및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측정하였다. 감각 처리와 삶의 균형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판 청소년/성인 감각 프로파일과 K-LBI 간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K-LBI와 수렴 타당도를 위한 척도 간 유의미한 상관관계(r = .337~.449, p < .01), 양호한 반분 신뢰도(r = .906, p < .01) 및 검사-재검사 신뢰도(ICC = .669, p < .01)가 산출되었다. 감각민감 혹은 감각회피 성향과 관계 삶의 균형 영역 간 정적 상관(r = .422~.443, p < .01) 및 등록저하와 도전 삶의 균형 영역 간 부적 상관(r = -.373, p < .05)이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후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K-LBI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제시하였고 삶의 균형과 감각 처리 간의 관련성에 대한 이해를 제공한다.

기능적 과제훈련이 낙상경험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단일대상연구 (The Effects of Functional Task Training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the Fall Experienced Elderly)

  • 우지희;박혜연;김종배
    • 재활치료과학
    • /
    • 제5권1호
    • /
    • pp.43-54
    • /
    • 2016
  • 목적 : 본 연구는 낙상 후 회복에 대한 개입으로 기능적 과제훈련이 포함된 작업치료적 중재가 낙상경험노인의 일상 생활수행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낙상경험노인 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반전설계에 동시 중재 교차설계를 더한 것이다. 총 실험회기는 18회로 기초선 A와 A'는 주 3회 2주간 걸쳐 6회, 중재과정 B는 2가지 중재가 동일한 날 점진적 저항근력운동의 낙상중재프로그램 1회, 점진적 저항근력운동에 기능적 과제훈련이 더해진 낙상중재 프로그램 1회가 오전, 오후 교대로 적용하여 주 3회씩 4주간 총 12회 진행하였다. 기초선 6회기, 중재 매 회기 마다 버그균형척도(Berg-Balance Scale), 과제수정척도(Task Modification Scale), 한국어판 낙상 효능감(Korean versioin Fall Efficiency Scale)을 측정하였고 실험 전, 후에 대상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캐나다 작업수행평가(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ment)와 가정 내 일상생활활동평가(Assessment of Home-Based Activities)로 측정하였다. 결과 : 중재 전, 후에 일상생활수행능력은 수행도보다 만족도에서 향상되었고, 가정 내 일상생활활동의 독립성과 안전성 영역에서 점수가 더 향상됨을 보였다. 점진적 저항근력운동만 중재했을 때보다 점진적 저항근력운동에 기능적 과제훈련이 더해진 중재 후 낙상효능감과, 버그균형점수에서 통계적으로 더 큰 변화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는 낙상을 경험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치료 중재의 근거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과제 지향적 프로그램이 뇌졸중환자의 균형과 상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단일사례연구 (Effects of Task-Oriented programme on Balance and Upper Extremity in stroke)

  • 김은주;홍소영;김경미
    • 재활치료과학
    • /
    • 제1권1호
    • /
    • pp.17-28
    • /
    • 2012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과제 지향적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상지기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단일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자는 뇌졸중 진단을 받은 자로 균형검사는 Time up & go 검사, Nintendo Wii Balance Board Test로 실시하였고, 상지기능은 Manual Function Test(MFT)로 측정하였다. 과제지향적 프로그램은 운동처리 기술평가(AMPS)의 표준화된 과제 중 셔츠다리기, 자루걸레로 바닥 청소하기, 창문 청소하기, 손빨래하기를 환자에게 맞게 수정 보완하여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결과 : 환자의 동적 균형능력은 기초선 평균 51.53에서 42.62로 향상되었고, 정적 균형능력은 기초선에서는 좌우 균형차이가 평균 13.8 났으나, 중재 후 좌우 균형차이가 6.29로 보다 0에 가까워져 좌-우 균형이 안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기능은 MFT 검사결과 평균이 6점에서 7.6점으로의 증가 되었다. 결론 : 일상생활활동 과제로 구성된 과제지향 프로그램은 뇌졸중환자의 균형과 상지기능 향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 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유형과 특성을 가진 뇌졸중 환자들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