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ak mushroom

검색결과 221건 처리시간 0.026초

액체종균(液體種菌) 접종(接種)에 의한 표고톱밥재배(栽培) 효과(效果) (Effect of Sawdust Culture on Oak Mushroom, Lentinula edodes (Berk.) Pegler by Inoculation of the Liquid Spawn)

  • 이태수;조남석;민두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6권1호
    • /
    • pp.19-28
    • /
    • 1998
  • For cultivation on sawdust-bed of oak-mushroom until present time, inoculation of spawn on sawdust bed has been performed by sawdust spawn. But, liquid spawn may have advantages for rapid mass production of spawn, and now, sawdust-cultivation by liquid spawn inoculation should be applied instead of sawdust spawn. Therefore, investigation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awdust-cultivation by liquid spawn inocul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When 11 kinds of liquid media were applied, the oak-mushroom culture medium was the most excellent in growth. Most suitable temperature at PDA was $25^{\circ}C$, and $22.5\sim27.5^{\circ}C$ in range were optimal for liquid culture. In liquid culture, amount of mycelial growth increases rapidly up to 40 days of cultivation. Incubation at fermentor brought yield of 106mg dry mycelia per 40ml media after 17 days. 2. In 1l-spawn bottle, growth of mycelium by inoculation of 20ml-liquid spawns were faster than 6g-sawdust spawn in spread of mycelia. On 2kg-bag culture, inoculations of 10ml-, 20ml- and 30ml-liquid spawns were all slower than 20g-sawdust spawn in mycelial spread. So, amount increasement in ampunt of liquid spawn should be discussed. Yields of mushrooms until third sproutings of 2kg-bag culture were 580g in 30ml-liquid spawn inoculation, but 510g, 486g and 470g from 20g-sawdust spawn, 20ml-liquid spawn and 10ml-liquid spawn, respectively. Thus, 30ml-liquid spawn inoculation was highest in yield.

  • PDF

시장성이 없는 품질의 갈변 표고버섯(Lentinus edodes)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Extracts from Browned Oak Mushroom (Lentinus edodes) with Unmarketable Quality)

  • 강미영;김설이;윤혜정;남석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648-654
    • /
    • 2004
  • 갈변된 표고버섯을 건강기능성 식품산업의 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는 일환으로서 갈변된 표고버섯의 생리활성을 항산화 활성을 지표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DPPH 라디칼에 대한 전자공여능과 superoxide radical 및 hydroxyl radical에 대한 소거활성, 그리고 linoleic arid 자동산화반응에 대한 억제활성을 조사하여 각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갈변 표고버섯의 전자공여능은 생 표고버섯보다 추출방법에 따라 2-4배 정도 높았지만, 건조 표고버섯보다는 높거나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Superoxide radical에 대한 소거활성도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는데, 갈변 표고버섯의 소거활성은 생 표고버섯보다 2배 정도 높았다. 또한 이와 같은 갈변화에 따른 superoxide radical 소거활성의 증가는 직접적인 radical 소거작용의 결과일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의 경우, 추출방법에 관계없이 소거활성은 갈변 표고버섯 > 건조 표고버섯 > 생 표고버섯의 순서로 낮아졌으며, superoxide radical 소거작용과 마찬가지로 시료가 직접적으로 hydroxyl radical을 소거했을 가능성이 암시되었다. Linoleic acid 자동산화반응을 이용한 지질과산화에 대한 억제활성을 측정한 결과, 전반적으로 70% 에탄올추출물의 활성이 열수추출물보다 높았고, 억제활성도 갈변 표고버섯 > 건조 표고버섯 > 생 표고버섯의 순서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상품성을 상실한 갈변 표고버섯이 건강기능성을 지향한 다양한 가공식품의 개발을 위한 적절한 소재임을 보여주었다.

국내 표고버섯 재배사에 바이오에어로졸로서 분포하는 진균의 농도와 종 분석 (Analysis of Fungal Concentration and Species Present as Bio-aerosols in Oak Mushroom Cultivation Houses)

  • 김성환;김지은;김준영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93-403
    • /
    • 2018
  • 공기에 의해 운반되는 바이오에어러졸은 농산물 오염을 널리 일으키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진균 포자는 버섯 재배 중에 버섯과 인간의 건강에 해를 끼치는 바이오에어로졸이다. 본 연구는 한국의 표고버섯 재배사 실내의 공기 중에 존재하는 진균의 농도 및 종 분포에 관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5년과 2016년에 국내 6 개의 다른 지역에 위치한 13 개의 표고버섯 재배 농장에서 21 차례 실내공기로부터 진균 포자를 샘플링하고 분석하였다. 공기 중 진균 농도는 $1.30{\times}10^2-1.59{\times}10^4cfu/m^3$ 범위였다. 중요하게도 20 차례의 농장방문 시료 채취 결과에서 진균 농도가 환경부의 실내공기질 권장 기준 농도인 $500cfu/m^3$를 초과하였다. 총 450 균주의 진균이 분리되었으며 46 속 33 종으로 동정되었다. 이중에 인체 위해균(4 속 4 종)과 식물병원균(10 속 13 종)이 존재하였다. 또한, 버섯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해로운 종인 Trichoderma harzianum, T. atroviride 및 T. longibrachiatum가 21 건 시료 채취 중 17 건에서 빈도 높게 검출되었다. 본 결과는 버섯생산의 재배관리를 위해서 재배사 실내 공기질을 개선해야 한다는 증거를 제시하였다.

최근 국내 표고 재배사의 온도, 습도 변화 성향 조사 (Investigation of the shift trends of temperature and humidity in greenhouses for oak mushroom cultivation)

  • 김지은;김준영;안홍석;권혁우;고한규;김성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42-346
    • /
    • 2018
  • 기후 변화에 따른 표고 재배사내 온도와 습도의 변화 추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5년 동안 봄, 여름, 가을 기간에 걸쳐 국내 49곳의 표고버섯 재배사에서 온도와 습도를 측정 분석하였다. 톱밥배지 재배사의 5년간 평균 온도와 습도는 $24.7^{\circ}C$와 60.5%이었다. 원목 재배사의 5년간 평균 온도는 $24.4^{\circ}C$, 평균 습도는 60.0%로 나타났다. 여름철 기간 중 온도 평균은 원목재배사의 경우는 2016년 $29.8^{\circ}C$, 2017년 $29.1^{\circ}C$, 2018년 $33.3^{\circ}C$이었으며 톱밥배지 재배사의 경우는 2016년 $26.8^{\circ}C$, 2017년 $20.4^{\circ}C$, 2018년 $24.2^{\circ}C$이었다. 조사 기간 중 $30^{\circ}C$가 넘는 고온으로 측정된 재배사는 봄철에 1곳, 여름철에 5곳이었으며 원목 재배사가 5곳을 차지하였다. 원목재배에서 온도가 $20^{\circ}C$를 넘지 않는 재배사는 4곳으로 모두 가을에 조사된 온도였다. 본 연구 조사는 기후변화에 대비해 표고 재배사의 경우 원목 재배사 관리에 우선적으로 대비해야 함을 시사하였다.

A Deletion in Fungal Ras Promoter in Two Korean Strains of Oak Mushroom (Lentinula edodes)

  • Noh, Eun-Woon;Lee, Jae-Soon;Park, Young-Im;Park, Won-Chul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8권2호
    • /
    • pp.74-76
    • /
    • 2002
  • This study unexpectedly detected a deletion in the promoter region of ras gene in two Korean strains of oak mushrooms, Lentinula edodes (Berk.). Sequencing of the promoter regions revealed that one type consisting of two strains had a 113 bp deletion in the region. The pas promoter region of Korean strains differed by 16 bases from that of the Japanese strains. Between the two types of Korean strains, except for the deleted portion, only a single site appeared to be different.

목질진흙버섯 에탄을 추출물의 세포독성에 따른 항암활성 (Antitumor Activities to Cytotoxicity of Phellinus linteus Ethanol Extract)

  • 한기원;이수원;한광수;이대진;이병의;장원철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9권2호
    • /
    • pp.147-152
    • /
    • 2003
  • We investigated antitumor activities of the ethanol extract from mushroom Phellinus linteus and Phellinus baumii on mulberry, oak and elm. in vitro test, the ethanol extract of mushroom cultivated on oak of Phellinus linteus showed highest activities about SK-OV-3, HCT15, XF498, SK-MEL-2 and A549. SK-OV-3 cell line showed 100% cytotoxicity in 100 $\mu\textrm{g}$/ml and HCT15 (98.39%), XF498 (89.62%), SK-MEL-2 (84.07%) and A549 (79.92%) cytotoxicity respectively. Also $IC_{50}$ showed 3.99 $\mu\textrm{g}$/ml to SK-OV-3 cell line and HCT15 (4.37 $\mu\textrm{g}$/ml), A549 (5.48 $\mu\textrm{g}$/ml), SK-MEL-2 (6.72 $\mu\textrm{g}$/ml), XF 498 (6.88 $\mu\textrm{g}$/ml). As those results, cultivated oak of Phellinus linteus showed a very low $IC_{50}$ value against SK-OV-3, HCT15, XF498, SK-MEL-2 and A549 cancer cell lines.

우리나라의 표고골목을 가해하는 주홍꼬리버섯의 불완전세대와 완전세대 관찰 (Observation of Anamorph (Libertella sp.) and Teleomorph (Diatrype stigma) of D. stigma Affecting Bed-log of Oak-mushroom in Korea)

  • 박원철;이봉훈;윤갑희;가강현;최중식;이태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8-40
    • /
    • 2000
  • Anamorph and teleomorph of Diatrype stigma on the bed-log inoculated with oak-mushroom (Lentinula edodes) in Korea were observed and identified. As the characters of anamorph of Diatrype stigma, conidia were hyaline, falcate or slightly curve, and $1{\sim}1.5{\times}12.5{\sim}17.5\;{\mu}m$, and conidia layer was confirmed under the bark. About teleomorph, perithecia $150{\sim}200{\times}450{\sim}500\;{\mu}m$, with ostiole ($30{\sim}40\;{\mu}m$, three- to four-sulcate). Size of ascus containing 8 ascospores was $5{\sim}6{\times}30{\sim}40\;{\mu}m$. Ascospores were hyaline to pale brown, $1.5{\sim}2{\times}5{\sim}7.5\;{\mu}m$ and mostly biguttulate.

  • PDF

참나무류(類) 칩을 이용(利用)한 표고버섯 재배(栽培) (On the Mushroom Cultivation of Oak(Quercus spp.) Chip)

  • 민두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1권1호
    • /
    • pp.7-14
    • /
    • 1993
  • To increase the production of mushrooms and the economic efficiency of mushroom cultivation, the pinchips(PC) and sawdusts(SD) of three Korean oak species were tested as cultivating media for Lentinus edodes with varing the composition of the media.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Organic acids(tannic acid and citric acid), which were added in the PC medium to enrich the quality of mushrooms, did not increase the growths of the mycelia and the quality. 2. The mushrooms were able to be harvrested from six months after beginning the cultiva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qualities of the mushrooms produced by various treatments. 3. The production rate of mushroom was relatively high with, 28.4~29.3% (700~730gr./2,500gr pack). The net profit estimated was about 1,450 won per pack.

  • PDF

팽이버섯 수확후배지를 이용한 곰팡이 균사체 기반 복합소재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fungal-mycelium-based composite materials using spent mushroom substrates of Flammulina velutipes)

  • 안기홍;최두호;한재구;이강효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85-189
    • /
    • 2023
  • 야생버섯 및 재배버섯들 중에서 생장이 우수한 균주를 선발하기 위하여 PDA 배지 상에서 생육이 빠른 9 균주를 선발하였다. 톱밥배지에서 균주별 균사체의 생장을 알아보기 위하여 참나무 톱밥과 미강 80% : 20% (w/w) 비율로 혼합한 배지에서 선발된 치마버섯(No. 7), 상황버섯(No. 29), 아까시재목버섯(No. 39), 영지(No. 52) 균주를 접종하여 14일간 배양한 결과, 영지(No. 52) 균주의 균사체 생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질 건조 후 취급비율도 영지버섯 균사체를 배양한 배지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수확후배지(SM)와 참나무 톱밥(OS) 혼합비율 50% : 50% (w/w), 60% : 40% (w/w), 80% : 20% (w/w)로 배지를 제조하여 선발 균주인 영지(No. 52) 균주를 접종하여 배양한 결과, 균사체의 직경은 수확후배지(SM) : 참나무 톱밥(OS) = 60% : 40% (w/w) 혼합배지에서 균사체 생육과 취급비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지(No. 52) 균주를 접종하여 배양한 균사체 소재 사각시편의 압축강도는 300.7 - 302.4 kgf로 스티로폼에 비하여 약 4배 정도 강도가 우수하였으나 탄력성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위와 같은 결과는 버섯농가의 고민거리인 수확후배지를 활용한 균사체 복합소재 개발을 통하여 수확후배지의 새활용을 위한 높은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도가 높으리라 기대된다.

감마선 조사와 훈증 처리된 건조 표고버섯의 저장성 및 조리 적성 (Storeability and Cooking Property of Dried Oak Mushroom Treated with Ethylene Oxide and Gamma Radiation)

  • 김영재;김종군;조한옥;변명우;권중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9-34
    • /
    • 1987
  • 건조 표고버섯의 위생적이고 안전한 품질 보존법 개발을 위하여 현행 방법인 ethylene oxide 훈증처리와 감마선조사가 저장 상대습도에 따른 시료의 미생물 및 조리시 재수화성과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검토하였다. 일반 곰팡이의 생육한계 수분 환성도인 0.80과 내건성 곰팡이의 생육한계 최저 수분활성도인 0.64에 해당하는 건조 표고버섯의 평형 수분함량은 $25^{\circ}C$에서 17%, 27%였다. 건조 표고버섯의 미생물 오염은 전세균이 $1.27{\times}10^5/g,\;곰팡이가\;4.80{\times}10^3/g이며,\;대장균군은\;1.20{\times}10^2/g$이 검출되었는데 3 kGy의 감마선조사로서 2-3 log cycles 정도 격감되었고, 대장균은 완전 살균되었으며, 5 kGy 조사로서는 미생물 검출 한계 이하로 살균되어 실온에서 3개월 저장 후에도 이들의 생육은 거의 없었는데 반해 ethylene oxide 처리구는 곰팡이의 살균이 다소 불충분하였다. ethylene oxide 처리와 감마선조사된 건조 표고버섯의 수화도는 각 시험구 모두 첨지온도와 조사선량이 높을수록 흡수속도가 빨랐으며, ethylene oxide 처리구가 충분한 수화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조사구에 비해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였다. 또한 조리적성 검토를 위한 관능 실험 결과에서 시료의 풍미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조직감에서는 감마선조사구가 타 처리구에 비해 우수함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