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ER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6초

국내 OER(Open Educational Resource) 현황 분석 및 발전방향 탐색 (Study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directions of OER systems)

  • 정효정;권숙진;조항철;김동식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1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23-22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국내 OER의 현황을 분석하고, OER의 교육적 가치를 극대화하고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발전 방향을 탐색하였다. 현황 분석 결과 국내 OER은 주로 기존의 전통적인 교육 콘텐츠를 무료로 제공하고 확산시키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는 더욱 넓은 의미에서 논의되고 있는 OER의 정의와 해외 동향을 살펴볼 때에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본질적 의미에서의 '개방'을 실천하고, 사용자들의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OER 활용을 촉진함으로써 더욱 진화된 형태의 OER을 실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 PDF

아시아지역의 공개교육자원 활용현황 분석 (An Analysis of the Status of OER(Open Educational Resources) Usage in Asia)

  • 이은정;김용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41-53
    • /
    • 2012
  • OER은 상호지식정보 교류의 확산을 가능하게 하며 사용자와 기관 모두에게 비용절감, 콘텐츠 품질 향상, 관계 형성 등의 이점을 가져다준다. OER 관련 연구는 정규교육과의 연계, 저작권 동향, 기업이러닝과 관련하여 진행된 바 있다. 그렇지만 활용현황과 문제점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OER의 활성화를 위해 기관들을 대상으로 활용현황을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기관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황조사는 아시아 14개 지역의 200여개 기관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분석결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자료로는 '이미지, 시각자료'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사용 상의 저해요인으로는 '인식부족', '기술부족', '보상시스템의 부재' 등으로 나타났으며, 협력에 대한 참여도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OER의 활성화를 위해서 각 기관에서는 인식과 활용 기술, 저작권에 대한 연수를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보상시스템과 활용을 위한 환경 구축에 대한 지원도 필요하다. 그리고 OER 공유를 위한 기관 간 협력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참여가 요구된다.

국내 대학도서관 OER 현황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alysis of OER service in University Libraries)

  • 한선영;황혜림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6년도 제23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81-86
    • /
    • 2016
  • 공개자원운동의 일환으로 등장한 OER, OCW 컨텐츠를 정보자원으로서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 OER 현황분석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성균관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부산대학교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컨텐츠 및 컨텐츠 품질, 홍보, 플랫폼 세 항목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OER을 정보자원으로서 체계적으로 수집 관리해야 할 대상으로 보고 있지 않았다. 둘째, OER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홍보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셋째, 이용자들이 참여할 수 있는 OER 플랫폼은 구축되어 있으나 이용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수준이라 보기 어려웠다.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모색하여 대학도서관이 교내정보자원의 통합관리기관으로서 역할제고 방안에 대해 고찰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 PDF

알칼라인 조건에서의 산소발생반응을 위한 N-doped NiO 촉매 (Nitrogen-doped Nickel Oxide Catalysts for Oxygen-Evolution Reactions)

  • 이진구;전옥성;설용건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7권5호
    • /
    • pp.701-705
    • /
    • 2019
  • 알칼라인 조건에서의 산소발생 반응(oxygen-evolution reaction: OER)은 다양한 에너지 시스템에 중요한 반응으로 여겨지고 있다. 큰 overpotential을 감소시키기 위해 다양한 촉매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중 NiO는 높은 활성도에 대한 가능성으로 인해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촉매의 표면에서 OER에 대한 메커니즘은 정확하게 규명되지는 않았지만, 산화물 촉매에서 Ni 또는 O vacancy와 같은 결함들은 많은 전기화학반응에서 활성점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nitrogen을 ethylenediamine을 이용하여 NiO의 O위치에 치환하여 Ni vacancy를 형성하고 그로 인해서 OER의 activity와 내구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공개교육자원(OER)을 활용한 자기조절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웹기반 교원연수 프로그램 설계 전략 (Design Guidelines fo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that Help Improve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through OER)

  • 차현진;박태정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69-83
    • /
    • 2013
  • 본 연구는 확장되고 있는 OER 환경과 교사의 전문성 제고를 연계하여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제공하면서 교사의 자기조절학습능력도 향상시킬 수 있는 환경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선행문헌 고찰 및 사례 분석을 토대로 하여 성인 학습자로서 교사의 자기조절학습 능력 증진시키면서 교사의 전문성을 개발하고 교수 자료를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OER을 활용한 웹기반 교원연수 프로그램 설계 전략을 9개 영역 15개 항목으로 추출하였다. 또한 전문가 검토를 통해 최종 개발된 설계 전략을 기반으로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였고, 7인의 교사에 의해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사용성 평가의 결과로는 설계 전략 및 프로토타입의 개선점을 찾아내었고, 교사들이 자기조절학습 능력 향상과 OER을 활용한 교수자료 개발의 목적을 가진 교원연수과정에 대한 타당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 또한 OER을 활용한 교원연수프로그램에서 교사들이 자기조절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요구사항도 도출할 수 있었다.

  • PDF

Heat-treatment effects on oxygen evolution reaction of nickel-cobalt layered double hydroxide

  • Lee, Jung-Il;Ko, Daehyeon;Mhin, Sungwook;Ryu, Jeong Ho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43-148
    • /
    • 2021
  • Alkaline oxygen evolution reaction (OER) electrocatalysts have been widely studied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and green hydrogen production through electrochemical water splitting. Transition metal-based electrocatalysts have emerged as promising materials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hydrogen production costs. Among the available electrocatalysts, transition metal-based layered double hydroxides (LDHs) have demonstrated outstanding OER performance owing to the abundant active sites and favorable adsorption-desorption energies for OER intermediates. Currently, cobalt doped nickel LDHs (NiCo LDHs) are regarded as the benchmark electrocatalyst for alkaline OER, primarily owing to the physicochemical synergetic effects between Ni and Co. We report effects of heat-treatment of the as-grown NiCo LDH on electrocatalytic activities in a temperature range from 250 to 400℃. Electrocatalytic OER properties were analysed by linear sweep voltammetry (LSV) and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EIS). The heat-treatment temperature was found to play a crucial role in catalytic activity. The optimum heat-treatment temperature was discussed with respect to their OER performance.

수전해용 Nd1.5Ba1.5CoFeMnOx 전기촉매 특성 분석 (Electrocatalytic properties of Nd1.5Ba1.5CoFeMnOx for water splitting)

  • 이호준;조경원;류정호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7-20
    • /
    • 2020
  • 고성능의 산소생성반응(OER)과 수소생성반응(HER) 전기촉매 개발은 수전해 시스템의 상용화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게 여겨진다. 특히 HER에 비하여 OER이 상대적으로 높은 과전압을 가지기 때문에, OER의 과전압을 효과적으로 낮추는 촉매를 개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매우 간단한 공정을 통하여 triple perovskite 구조의 Nd1.5Ba1.5CoFeMnOx 전기촉매를 합성하였으며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합성된 Nd1.5Ba1.5CoFeMnOx는 OER 뿐만 아니라 HER에서도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높은 결정성을 가지는 triple perovskite 구조가 간단한 연소 합성법(combustion synthetic method)을 통하여 합성될 수 있으며 알칼리 전해질 하에서 매우 우수한 촉매특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높은 OER, HER 특성을 보이는 Nd1.5Ba1.5CoFeMnOx triple perovskite 촉매는 수전해 시스템의 상용화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ssociation between Optic Nerve Sheath Diameter/Eyeball Transverse Diameter Ratio and Neurological Outcomes in Patients with Aneurysmal Subarachnoid Hemorrhage

  • Jinsung Kim;Hyungoo Shin;Heekyung Lee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6권6호
    • /
    • pp.664-671
    • /
    • 2023
  • Objective : The optic nerve sheath diameter (ONSD)/eyeball transverse diameter (ETD) ratio is a more reliable marker of intracranial pressure than the ONSD alone. We aimed to investigate the predictive value of the ONSD/ETD ratio (OER) for neurological outcomes in patients with aneurysmal subarachnoid hemorrhage (aSAH). Methods : Adult patients with aSAH who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of a tertiary hospital connected to a South Korean university between January 2015 and December 2021 were included. Data on patient characteristics and brain computed tomography scan findings, including the ONSD and ETD, were collected using a predefined protocol. According to the neurological outcome at hospital discharge,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e unfavorable neurological outcome (UNO; cerebral performance category [CPC] score 3-5) and the favorable neurological outcome (FNO; CPC score 1-2) groups. The primary outcome was the association between the OER and neurological outcomes in patients with aSAH. Results : A total of 171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of whom 118 patients (69%) had UNO. Neither the ONSD (p=0.075) nor ETD (p=0.403)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the OE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UNO group in the univariate analysis (p=0.045). The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of the OER for predicting UNO was 0.603 (p=0.031). There was no independent relationship between the OER and UNO in the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djusted odds ratio, 0.010; p=0.576). Conclusion : The OE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UNO than in those with FNO, and the OER was more reliable than the ONSD alone. However, the OER had limited utility in predicting UNO in patients with aSAH.

{100} 단결정 수소화 티타네이트(H2Ti3O7)를 활용한 저함량 Irridium 수전해 양극 촉매 개발 (Low-iridium Doped Single-crystalline Hydrogenated Titanates (H2Ti3O7) with Large Exposed {100} Facets for Enhanced Oxygen Evolution Reaction under Acidic Conditions)

  • 정선영;한혁수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9-89
    • /
    • 2023
  • 산성 조건에서의 산소 발생 반응(OER)의 효율 향상 및 안정적인 전기 촉매 개발은 양이온 교환 막 (PEM) 수전해 장치의 상용화를 위한 바람직한 목표다. 여기서 우리는 산성 OER에 대해 Ir 함량이 낮은 유망한 촉매로서 Ir이 도핑된 수소화 티타네이트 (Ir-HTO) 나노벨트를 보고한다. 크게 확인할 수 있는 {100}면이 있는 단결정 HTO 나노벨트에 낮은 함량의 Ir(~3.36 at %)을 추가하면 산성 조건에서 OER에 대한 촉매 활성과 안정성이 크게 향상된다. Ir-HTO는 상용적인 대조군 IrO2 촉매보다 성능이 뛰어나다. 10mA cm-2의 전류밀도에서 과전압은 Ir-HTO가 25% 감소했다. Ir-HTO 촉매 성능은 산성 OER에 대한 가장 효율적인 전기 촉매로서 자리 잡고 있다. 심층적인 전기화학적 특성화를 통해 Ir-HTO에 대해 개선된 고유한 촉매 활성 및 안정성도 확인되었다. 따라서, 우리의 실험결과는 낮은 함량의 Ir이 도핑된 단결정 HTO 나노벨트가 산성조건에서 효율적이고 내구성 있는 OER 촉매로 유망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Size Effects of MoS2 on Hydrogen and Oxygen Evolution Reaction

  • Ghanashyam, Gyawali;Jeong, Hae Kyung
    • Journal of Electrochem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3권1호
    • /
    • pp.120-127
    • /
    • 2022
  • Molybdenum disulfide (MoS2) has been widely used as a catalyst for the bifunctional activities of hydrogen and oxygen evolution reactions (HER and OER). Here, we investigated size dependent HER and OER performance of MoS2. The smallest size (90 nm) of MoS2 exhibits the lowest overpotential of -0.28 V at -10 mAcm-2 and 1.52 V at 300 mAcm-2 with the smallest Tafel slopes of 151 and 176 mVdec-1 for HER and OER, respectively, compared to bigger sizes (2 ㎛ and 6 ㎛) of MoS2. The better HER and OER performance is attributed to high electrochemical active surface area (6 × 10-4 cm2) with edge sites and low charge transfer resistance (18.1 Ω), confirming that the smaller MoS2 nanosheets have the better catalytic behav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