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 Serotype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초

구제역바이러스 신속진단을 위한 pan-serotype reverse transcription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RT-LAMP) 진단법 (Pan-serotype reverse transcription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RT-LAMP) for the rapid detection of foot-and-mouth disease virus)

  • 임다래;박유리;박선영;김혜령;박민지;구복경;나진주;유소윤;위성환;전효성;김지정;전보영;이형우;박최규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29-39
    • /
    • 2018
  •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sensitive and specific reverse transcription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RT-LAMP) assay for rapid visual detection of foot-and-mouth disease virus (FMDV) circulated in Korea. The RT-LAMP was completed in 40 min at $62^{\circ}C$ and the results of the assay were directly detected by naked eye without any detection process. The assay specifically amplified all 7 serotypes of FMDV RNAs but not amplified other viral and cellular nucleic acids. The sensitivity of the RT-LAMP was $10^2$, $10^3$ and $10^3TCID_{50}/mL$ for serotype O, A and Asia 1 FMDV, respectively, which was comparable to conventional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d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real time quantitative RT-PCR (qRT-PCR). Clinical evaluation of the RT-LAMP using different serotypes of Korean and foreign FMDV strains showed a 100% (35/35) agreement with the results of the RT-PCR and qRT-PCR.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RT-LAMP assay developed in this study could be a valuable diagnostic method for FMDV monitoring and surveillance.

독소원성 대장균(EC81)이 생산하는 이열성장독소와 Clostridium perfringens A형 (NCTC8238)이 생산하는 장독소의 검색을 위한 중합효소 연쇄반응기법의 감도 비교 (Comparison of Sensitivity for Detection of Heat-Labile Enterotoxin of Enterotoxienic Escherichia coli(EC 81) and Enterotoxin of Enterotoxigenic Clostridium perforngens type A (NCPC8238) by Means of a Polymerase Chain Reaction Assay)

  • 정희곤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5
    • /
    • 2000
  • Detection for heat-labile enterotoxin(LT) of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ETEC, EC81, O148:H28) and enterotoxin of enterotoxigentic Clostridium perfringents type A(CP, NCTC8238, Hobbs serotype 2) by use of a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ssay were positive reaction, which using LT gene-specific primers of ETEC with a detection limit equivalent from 100ng/${\mu}\ell$ to 1 pg of a DNA fragment of 417-bp in EC81 and enterotoxin gene-specific primers of CP with a detection limit equivalent from 100ng/${\mu}\ell$ to 10pg of a DNA fragment of 364-bp in NCTC8238. Detection for a LT gene of ETEC highly appeared 10-fold sensitivity than an enterotoxin gene of CP.

  • PDF

시판 해산물에서 분리한 대장균의 혈청형 및 월별, 산지별 분포 (Serotypes and Distributions of Escherichia coli Strains Isolated from Marine Products in Wholesale Market)

  • 함희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5-18
    • /
    • 2008
  • 서울시 가락농수산물시장에서 수거한 총 2,066건의 해산물(어류 573건, 패류 721건, 갑각류 208건 그리고 연체류 564건)을 대상으로 대장균을 분리 동정한 결과 10.3%(212/2,066)의 검출율을 보였다. 분리된 212주의 대장균의 월별 분포를 살펴보면, 1월 4.0%, 2월 1.0%, 3월 0.7%, 4월 9.5%, 5월 4.4%, 6월 9.4%, 7월 30.5%, 8월 42.1%, 9월 21.2%, 10월 6.6%, 11월 0.7% 그리고 12월 4.6%의 검출율을 보여, 6-9월 등 하절기에 많은 대장균이 분포됨을 알 수 있었고, 검체별 분포를 살펴보면, 어류가 7.0%(40/573), 패류 12.8%(92/721), 갑각류 8.7%(18/208) 그리고 연체류 11.0%(62/564)의 검출율을 보여, 패류, 연체류가 어류, 갑각류에 비해 대장균 분리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지역별 분포를 살펴보면, 강원 21.3%의 검출율을 보였고, 인천 15.6%,경남 12.1%, 전남 11.5%, 전북 22.2%, 충남 11.6%, 제주 6.7% 그리고 우리나라 이외의 지역에서 9.0%의 검출율을 보였다. 212주를 대상으로 혈청형 동정을 실시한 결과, O6은 소라, 키조개, 그리고 건해삼에서 각각 1건씩, O25는 문어, 멍게에서 각각 1건씩, O29는 소라, 키조개에서 각각 1건씩, 그리고 O8, O25, O26, O27, O55, O78, O126, O158, O168은 문어, 갈치, 미더덕, 바지락, 낙지, 쭈꾸미, 소라, 오징어 알에서 각각 1건씩, O167도 소라에서 1건 확인되어 총 16주 (7.5% = 16/212)의 O 혈청형이 동정되어 어패류 등 해산물에 대장균이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약재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edicinal Herb Extracts)

  • 장형수;최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61-269
    • /
    • 2012
  • 본 연구에서 18종의 한약재추출물을 제조하여 병원성세균에 대한 한약재의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오배자, 오미자 및 소목 메탄올 추출물은 대부분 균주에 대해 5 mg/mL 수준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냈으나 15여 종의 한약재추출물들은 30 mg/mL 수준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오배자의 S. epidermidis와 Bor. bronchiseptica에 대한 최소저해농도는 0.6 mg/mL로 나타났다. 우수한 항균활성이 확인된 오배자, 소목, 오미자, 황금을 대상으로 극성이 다른 5가지 용매로 순차 분획하여 항균활성을 검토한 결과 대부분의 균주에서 EtOAc층이 다른 분획층에 비해 성장억제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항균력이 우수한 한약재추출물의 미생물 증식억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증식배지에 0, 100, 300 및 500 ppm의 메탄올 추출물을 첨가하였다. 한약재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에서는 12시간 이후 급격한 균의 성장을 나타내고 있으나 오배자와 소목추출물의 첨가 농도가 높을수록 그람 양성균인 S. aureus, S. epidermidis 및 L. monocytogenes는 뚜렷한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오배자추출물은 그람음성균인 Sal. Pullorum과 Sal. Choleraesuis의 성장을 저해하였고 Bor. bronchiseptica, E. coli serotype $O_8$은 오배자와 소목추출물은 낮은 농도에서 성장이 다소 저해되었음을 보여주었고,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균의 성장이 강하게 억제되었다.

국내 연근해 및 환자로부터 분리된 vibrio vulnificus의 세균학적 특징

  • 신광훈;신영학;이종삼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5-29
    • /
    • 1992
  • 국내 연안의 어패류, 해구 및 환자 등으로부터 Vibrio vulnificus를 분리동정하여 생화학적 성상, 생장조건, 혈천형, 약제 감수성 시험 등 세균학적 특성을 밝혔다. V. vulnificus 균의 생화학적 성상은 유당을 발효(95%)하고 서당은 발효 (4%)않은 균주가 대부분이었으며, ornithine 발효능, gelatine 액화능, mannitol 분해능 등이 다른 연구자들과 동일한 결롸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이들 성상이 V. vulnivicus 동정에 그리 유용하지 않다. o 혈청형은 자연계 분리균주의 경우 o2 혈청형이 제일 많았고 (24%) 환자 분리균주의 경우 04 균(42%)이 제일 많았다. V. vulnificus 의 최적 생상조건은 염농도는 306%였고, 온도는 25-35.deg.C, pH는 8로 나타났다. V. vulnificus균은 chloramphenicol, erythromycin, tetracycline, ampicilin 에 높은 감수성을 지니고 있었고 gentamycin 에 대하여는 내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연계 분리균주가 환자 분리균주보다 이들 항생제에 더 높은 감수성을 지니고 있었다. chelating agent EDTA가 V. vulnificus에 대하여 생장억제효과가 있음이 밝혀졌으나 치사적으로 작용치는 않았다.

  • PDF

수산물에서 분리한 대장균의 혈청형 및 생화학적 특성 (Serotypes and Biochemical Properties of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Seafood Products)

  • 함희진;진영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5
    • /
    • 2003
  • 서울시 가락농수산물시장에서 2001년 1-12월 수거한 총 742건의 수산물(어류 192건, 패류 242건, 갑각류 39건 그리고 연체류 71건)을 대상으로 대장균을 분리 동정한 결과 12.4%(92/742) 검출율을 보였다. 분리된 92주의 월별분포를 살펴보면, 1월 10%(1/10), 2월 7.1%(2/28), 3월 9.7%(7/72), 4월 10.8%(8/74), 5월 1.9%(1/53), 6월 20.3%(16/79), 7월 13.3%(10/75), 8월 40.0%(20/50), 9월 8.1%(7/86), 10월 10.0%(9/90), 11월 8.3%(6/72) 그리고 12월 9.4%(5/53) 검출율을 보여 6-8월 등 하절기에 많은 대장균이 분포됨을 알 수 있었고, 검체별 분포를 살펴보면, 어류가 10.4%(20/192), 패류 14.5%(35/242), 갑각류 4.7%(10/212)그리고 연체류 28.1%(27/96) 검출율을 보여, 연체류가 어류, 패류 및 갑각류에 비해 대장균 분리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지역별 분포를 살펴보면, 강원 12.5%(8/64), 경기 8.7%(6/69), 경남 18.4%(25/136), 경북 33.3%(1/3), 전남 13.2%(30/228), 전북 11.8%(8/68), 충남 6.3%(2/32), 제주 17.7%(3/17) 그리고 우리나라 이외의 지역에서 7.2%(9/125) 검출율을 보였다 92주 가운데 61주를 대상으로 분리균들의 O 혈청형을 동정한 결과, 개미더덕 1건에서 O6, 숭어와 갈치 각각 1건에서 O25가 확인되었고, 개미더덕, 한치알, 백합 각각 1건에서 O29가, 개미더덕 1건에서 O78 그리고 굴, 갑오징어, 갈치, 병어, 적어, 동죽살 각각 1건씩에서 O112, O136, O146, O159, O166, O168이 각각 확인되어 총 21.3%(13/61) 혈청형이 동정되어 어패류 등 수산물에 대장균이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revalence of chigger mites and Orientia tsutsugamushi strains in northern regions of Gangwon-do, Korea

  • Soojin Kim;In Yong Lee;Sezim Monoldorova;Jiro Kim;Jang Hoon Seo;Tai-Soon Yong;Bo Young Jeo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61권3호
    • /
    • pp.263-271
    • /
    • 2023
  • The present study aimed to survey the prevalence of chigger mites and Orientia tsutsugamushi (O. tsutsugamushi) infection in the northern regions of Gangwon-do, Korea. From early February to early June 2015, a total of 17,050 chiggers were collected from striped field mice, Apodemus agrarius, in Cheorwon-gun, Hwacheon-gun, Yanggu-gun, and Goseong-gun, which are well-known endemic areas of scrub typhus in Korea. The chiggers were analyzed using molecular genomic methods, as previously described. Among the 7,964 identified chiggers, the predominant species was Leptotrombidium pallidum (76.9%), followed by L. zetum (16.4%), L. orientale (4.3%), L. palpale (0.3%), L. tectum (0.2%), and Neotrombicula tamiyai (1.8%). The chigger index (CI) was highest in Hwacheon (115.58), followed by Cheorwon (97.02), Yanggu (76.88), and Goseong (54.68). Out of the 79 O. tsutsugamushi-positive chigger pools, 67 (84.8%) were identified as the Boryong strain, 10 (12.7%) as the Youngworl strain, and only 2 were the Jecheon strain. Based on the high infestation of chiggers in striped field rodents and the high rate of O. tsutsugamushi infection in chigger mites, Hwacheon-gun and Cheorwon-gun are presumed to be high-risk areas for scrub typhus. Furthermore, L. pallidum, a major vector of scrub typhus, and the dominant O. tsutsugamushi serotype, the Boryong strain, were found in the northern regions of Gangwon-do, Korea.

2016년도 국내 해양환경내 병원성 비브리오균의 분포 및 해양환경인자간의 상관성 분석 (Distribution of Pathogenic Vibrios in the Aquatic Environment Adjacent to Coastal Areas of South Korea and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ir Occurrence)

  • 정영일;명고은;최은진;소상문;박기준;손태종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33-142
    • /
    • 2018
  • Objectives: The pathogenic Vibrios genus denotes halophilic bacteria that are distributed in aquatic environments, including both sea and freshwater. Vibrio cholerae, Vibrio vulnificus, and Vibrio parahaemolyticus are the most important species since they can be potent human pathogens and leading causes of septicemia, wound infections, and seafood borne gastroenteritis. The recent emergence of a potential pandemic clone, V. cholera serotype O1 and the cholera outbreak in South Korea in 2016 indicates the importance of consistent surveillance of pathogenic Vibrio genus within coastal areas. Methods: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where and how vibrios live in the aquatic environment adjacent to coastal areas of South Korea. For this survey, a total of 838 samples were obtained at 35 different sites in South Korean coastal areas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2016 to December 2016. Pathogenic vibrios was determined using the real-time PCR method, and its clones were isolated using three selective plating media. We also monitored changes in seawater and atmospheric temperature, salinity, turbidity, and hydrogen ion concentration at the collection points. Results: The total isolation rates of V. vulnificus, V. cholera (non-pathogenic, non-O1, non-O139 serogroups), and V. parahaemolyticus from seawater specimens in 2016 were 14.2, 13.48, and 67.06%,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isolation rates of pathogenic vibrios genu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emperature of seawater and atmosphere but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alinity and turbidity.

시판냉장, 냉동 및 포장육 중 식중독균의 분포 및 혈청형 (Prevalence and Serovar of Food Poisoning Bacteria in Retail Fresh, Frozen and Packed Meats)

  • 강호조;김용환;석주명;이성미;김종염;정석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27-332
    • /
    • 1999
  • 1996년 3월부터 1998년 10월간에 경남지방 시판 냉장육 888건, 냉동포장육 222건 및 수입 냉동육 117건의 시료로부터 식중독관련 병원균의 분포와 혈청형을 조사하였다. 식중독균의 분리률은 Staphylocorcus aureus. Campylobarter jejuni/coli, Listeria monocytogenes 및 Salmonella spp 순으로 높았고, Escherichia coli O157:H7은 전시료를 통해서 분리되지 않았다. C. jejuni /coli는 냉장육에서 높은 오염률을 나타내고, 냉동포장육에서는 거의 분리되지 않는데 반해서 L. monocytogenes는 냉장육에 이해서 냉동포장 계육에서 높은 분리율을 나타낸 것은 매우 흥미로운 일이다. 분리균의 혈청형 분포는 Sta. aureus의 경우 대부분이 enterotoxin type C와 D였고, Salmonella spp는 돈육유래균에서 모두 A group이었으며, 계육유래균은 대부분 B와 D group이었다. L. monocytogenes는 계육유래균의 대부분이 type 1 이었고, type 4는 소수로 분리되었다.

  • PDF

최근 한국에서 유행하는 장염비브리오균의 분자 역학적 특성 (Molecular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Vibrio Parahaemolyticus as Recently wilde-spreaded in Korea)

  • 김상숙;이희무;이중복
    • KSBB Journal
    • /
    • 제18권6호
    • /
    • pp.522-528
    • /
    • 2003
  • 본 연구는 식중독 환자로부터 분리한 장염비브리오균 120 균주를 세균학적 특성시험, 항균제 감수성 여부, 독소 유전자와 독소조절유전자의 검출 및 보유 여부를 PCR, RPLA 로 시험하였으며, 각 지역간의 분리 세균을 GS-PCR, PFGE 시험으로 병원체 상관 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장염비브리오균은 0%의 NaCl 농도에서는 성장을 보이지 않았고, 8% NaCl이 첨가된 농도에서는 성장을 보였다. 국내 설사환자의 장염비브리오균의 O, K 혈청형은 17가지로 나타났으며, 이 중 O3:K6형이 68.3%로 가장 많았다. Ampicillin 등 18가지 항균제 시험에서 Ampicillin, Ticacillin에 높은 내성을 보였으며, Ampicillin, Ticacillin, Vancomycin에 동시 내성을 나타낸 경우가 52.5%로 나타났다. 독소조절 유전자 toxR은 PCR시험에서 시험균주 모두 368bp 크기의 유전자를 가지고 있었으며 장염 비브리오균의 조기진단에 유용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독소유전자 tdh는 120균주 중 109 균주만이 199bp 크기의 유전자를 보유하고 11균주가 음성이었다. trh 독소 유전자를 보유한 균주는 시험균주 중 3 균주만이 250bp 크기의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tdh, trh 유전자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균주는 3균주로 이 균주의 TDH 독소 생성능은 x16 정도로 독소 생성능이 미약했다. 독소생성 Kanagawa 시험에서 120균주 중 107균주가 양성반응 을 나타내었으며, Kanagawa 양성반응을 보인 균주은 모두 tdh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었다. Group Specific-PCR에서 최근에 유행을 일으키는 O3:K6 혈청형의 유연관계를 찾는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유전자 toxRS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같은 혈청형이라도 3균주는 7개의 염기서열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현재 유행을 일으키는 균주와는 다른 균주임을 확인하였다. PFGE로 보다 더 세분화하여 혈청관계를 분류할 수 있었으며, 식중독 환자 유래 장염비브리오균은 3가지 type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균주 사이에는 상호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PFGE 기법으로 얻어진 결과는 분자 역학적으로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