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otypes and Distributions of Escherichia coli Strains Isolated from Marine Products in Wholesale Market

시판 해산물에서 분리한 대장균의 혈청형 및 월별, 산지별 분포

  • Published : 2008.03.31

Abstract

For prevention of E. coli related with food poisoning including diarrhea, urinal infection, peritonitis and infant septicemia, two hundreds and twelve E. coli strains(10.3%) were isolated among 2,066 seafood products in Seoul Garak fishery market from 2005 to 2007. Most strains were isolated from fishes (7.0%), shellfishes (12.8%), crustaceans (8.7%), and molluscs (11.0%) in summer. Serotypes of E. coli isolates were determined as O6, O8, O25, O26, O27, O55, O78, O126, O158, O167, and O168. Conclusively, we knew that E. coli could be contaminated in various seafood products.

서울시 가락농수산물시장에서 수거한 총 2,066건의 해산물(어류 573건, 패류 721건, 갑각류 208건 그리고 연체류 564건)을 대상으로 대장균을 분리 동정한 결과 10.3%(212/2,066)의 검출율을 보였다. 분리된 212주의 대장균의 월별 분포를 살펴보면, 1월 4.0%, 2월 1.0%, 3월 0.7%, 4월 9.5%, 5월 4.4%, 6월 9.4%, 7월 30.5%, 8월 42.1%, 9월 21.2%, 10월 6.6%, 11월 0.7% 그리고 12월 4.6%의 검출율을 보여, 6-9월 등 하절기에 많은 대장균이 분포됨을 알 수 있었고, 검체별 분포를 살펴보면, 어류가 7.0%(40/573), 패류 12.8%(92/721), 갑각류 8.7%(18/208) 그리고 연체류 11.0%(62/564)의 검출율을 보여, 패류, 연체류가 어류, 갑각류에 비해 대장균 분리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지역별 분포를 살펴보면, 강원 21.3%의 검출율을 보였고, 인천 15.6%,경남 12.1%, 전남 11.5%, 전북 22.2%, 충남 11.6%, 제주 6.7% 그리고 우리나라 이외의 지역에서 9.0%의 검출율을 보였다. 212주를 대상으로 혈청형 동정을 실시한 결과, O6은 소라, 키조개, 그리고 건해삼에서 각각 1건씩, O25는 문어, 멍게에서 각각 1건씩, O29는 소라, 키조개에서 각각 1건씩, 그리고 O8, O25, O26, O27, O55, O78, O126, O158, O168은 문어, 갈치, 미더덕, 바지락, 낙지, 쭈꾸미, 소라, 오징어 알에서 각각 1건씩, O167도 소라에서 1건 확인되어 총 16주 (7.5% = 16/212)의 O 혈청형이 동정되어 어패류 등 해산물에 대장균이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한창호, 홍채규, 이재인, 유영아, 차영섭, 전수진, 강신명, 한기영, 김성원, 이정자: 수산물에서 분리한 대장균의 혈 청형 및 항생제 감수성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논문집, 35, 37-44(1999)
  2. 김교창, 도대흥 : 돼지에서 유래한 병원성대장균의 내열 성 장독소 생산 유전자의 Cloning 및 발현,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6, 147-155(1991)
  3. 이재인, 한창호, 차영섭, 홍채규, 유영아, 전수진, 한기영, 서병태, 이정자: 수산물에서 분리한 대장균의 O 항원형 및 항생제 감수성.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논문집, 36, 32-38(2000)
  4.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 Bacteriological Analytical Manual, 7th ed. AOAC, International, (1992)
  5. Marshall, R.T.: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dairy products, Washington,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1993)
  6. 식품의약품 안전청 : 식품공전, 문영사, pp78-111(2000)
  7. Ayulo, A.M.R. and Machado, R.A.: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and Staphylococcus aureus in fish and seafood from the southern region of Brazil. Int. J. Food Microbiol., 24, 171-178 (1994) https://doi.org/10.1016/0168-1605(94)90116-3
  8. Warburton, D.W., Harrison, B., Crawford, C., Foster, R., Fox, C., Gour, L., and Purvis, U.: Current microbiological status of health foods' sold in Canada. Int. J. Food Microbiol., 42, 1-7 (1998) https://doi.org/10.1016/S0168-1605(98)00073-7
  9. Kumiko K., Hiroshi U., Machiko J., Teruyoshi A., Mie I., Takeshi I., and Sumio Y. : Results of Bacterial Contamination of Commercial Raw Fish and Shellfish in Tama, Tokyo (1986-1996). Jpn. J. Food Microbiol., 15, 161-165 (1998) https://doi.org/10.5803/jsfm.15.161
  10. Chourio G.L. and Montiel de M.M. : Microbiological quality of the clanup Tivela Mactroides (guacuno) from Cano Sagua, Zulia State. Ciencia, 5, 219-226 (1997)
  11. Elmossalami, M.K. and Emara, M.T.: Safety and quality of fresh water crayfish Procambarus clarkii in the river Nile, Nahrung, 43, 126-128 (1999) https://doi.org/10.1002/(SICI)1521-3803(19990301)43:2<126::AID-FOOD126>3.0.CO;2-O
  12. Mitsuda, T., Muto, T., Yamada, M., Kobayashi, N., Toba, M., Aihara, Y., Ito, A., and Yokota, S. :Epidemiological study of a food-borne outbreak of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O25 NM by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and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analysis. J. Clin. Microbiol., 36, 652-656 (1998)
  13. Guyon, R., Dorey, F., Collobert, J.F., Foret, J., Goubert, C., Mariau, V., and Malas, J.P. : Detection of shiga toxin-producing Escherichia coli O157 in shellfish (Crassostrea gigas). Sciences des Aliments, 20, 457-466 (2000) https://doi.org/10.3166/sda.20.457-466
  14. Makino, S., Kii, T., Asakura, H., Shirahata, T., Ikeda, T., Takeshi, K., and Itoh, K. : Does enterohemorhagic Escherichia coli O157:H7 enter the viable but nonculturable state in salted salmon roe?. App. Environ. Microbiol., 66, 5536-5539 (2000) https://doi.org/10.1128/AEM.66.12.5536-5539.2000
  15. 함희진, 한창호, 차영섭 : 서울시내 수산시장에 설치된 가 판수족관수의 세균분포, 한국환경위생학회지, 27, 47-50 (2001)
  16. Singh, B.R. and Kulshrestha S.B. : Incidence of Escherichia coli in Fishes and Seafoods : Isolation, Serotyping and Enterotoxigenicity Evaluation. J. Food Sci. Technol., 31, 324-326 (1994)
  17. Ewing, W.H. : Edwards and Ewing's Isolation of Enterobacteriaceae, 4th ed. Elsevier, New York, pp. 94-101 (1986)
  18. 김정현, 이용욱, 이후장, 나승식 : 시판 어패류에서 분리한 대장균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12, 354-360 (1997)
  19. 함희진, 진영희 : 수산물에서 분리한 대장균의 혈청형 및 생화학적 특성,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18, 1-5(2003)
  20. James, M.T., Martin J.L., and David A.G. : Modern Food Microbiology, Seventh Edition, Springer Science Business Media Inc., pp. 637-650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