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tification system

검색결과 363건 처리시간 0.024초

중량물 들기 작업에 대한 노동부고시(2003-24호)의 문제점 (Controversial Issues of the Notification of Ministry of Labor (No. 2003-24) on Manual Lifting Tasks)

  • 이윤근;윤덕기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84-289
    • /
    • 2006
  • In 2003, Korean government made the 11 scopes of overburdened work[Ministry of Labor(MOL), Notification No. 2003-24] to prevent musculoskeletal disorders(MSDs). MOL Notification was established based on 'Washington Administrative Code 296-62-051, Ergonomics'. When initially investigating the contents, the labor unions and the specialists pointed out the possibility of devaluation on risk factors of MSDs. The present study aimed to compare the result of the NIOSH revised lifting equation(NLE) analysis with the MOL Notification(No.8, 9, 10) on manual lifting tasks. A study sample of 568 manual lifting tasks (automobile parts, foods, and tire manufacture) were evaluated for this study. All 502 tasks exceed lifting index(LI) of 1.0, but 276 tasks(55.0%) out of 502 tasks were evaluated non-over burdened work for musculoskeletal system by the MOL Notification. Particularly, 47 tasks(30.9%), in spite of exceeding LI of 3.0, were evaluated non-over burdened work. This study has shown the possibility of devaluation on risk factors of MSDs, when evaluated by MOL Notification.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repeal or complement the scope of over-burdened work(MOL Notification) to prevent musculoskeletal disorders.

비상재난 발생 시 외부 VHF 장비와 연동하는 소형선박용 재난자동속보장치 (Automatic Distress Notification System Working with an External VHF Device in Small Ship)

  • 정헌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14-19
    • /
    • 2013
  • 본 논문은 소형 선박의 비상재난 발생 시 외부 VHF 장비와 연동하여 재난 상황을 자동으로 속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소형 선박용 재난자동속보장치에 대한 내용이다. 재난자동속보장치는 소형 선박의 재난 발생을 방지 또는 신속 대응하기 위한 시스템인 소형 선박재난분석시스템의 일부 장치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선박재난분석시스템으로부터 재난 인지 신호와 GPS 위치 정보를 입력 받는다. 비상 상황 발생 시 위치 정보를 구조 요청의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 VHF 장비를 통해 송출한다. VHF 장비와 재난자동속보장치가 물에 잠기기 전까지 계속적인 음성 구조 신호를 송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소형선박에 발생할 수 있는 갑작스런 재난상황의 대응과 인명손실을 예방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긴급 공공경보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mergency Public Warning System)

  • 강희조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879-886
    • /
    • 2011
  • 공공경보시스템은 재난, 경고 상황을 감지하여 사업자에게 경고를 제공하는 경고 정보 제공자 및 경고 정보를 단말에게 직접 전달하는 이동통신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일반적 경고 메시지 통지(Warning Notification) 시스템이다. 본 논문에서는 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재난경보시스템을 ISO TC223의 WG3의 공공경보(Public Warning) 모델, 우리나라의 재난 예 경보 시스템, 재난 예 경보 시스템의 역할, 컬러코드 경보(Colour-coded Alert) 등에 대하여 검토하도록 한다.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 LED 푸시 알람 시스템 (Smart LED Push Notification System based on Android)

  • 형재호;전호석;신창훈;장민호;안병구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97-102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 LED 푸시 알람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의 특징 및 기여도는 다음과 같다. 첫째, LED전구를 통해 메시지를 확인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을 휴대 하지 않아도 집안 어디서든 확인이 가능하다. 둘째, Web2py를 통한 외부 제어는 단순 LED 제어뿐만 아니라 동작 감지 센서, 온도 센서 등을 통해 집 내부의 상황을 알려주는 알림기능을 추가 할 수 있다. 제안된 시스템의 성능평가는 본 시스템이 실용성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실험에 초점을 두었다. 첫째, 네트워크 환경에 따른 LED 제어, 알림 기능의 반응 속도를 통해 들어오는 신호에 대해 얼마나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한가. 둘째, LED 전구의 빛이 바뀔 때 이를 인지할 수 있는가. 실험결과 제안된 시스템은 사용자 관점에서 효율성과 편의성이 입증되었다.

이벤트 알림 서비스의 구조설계와 성능분석 (Architecture Modeling and Performance Analysis of An Event Notification Service)

  • 한영태;민덕기
    • 한국시뮬레이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95-103
    • /
    • 2003
  • Event notification service is a event-based messaging middle ware service needed for various vertical domains, such as, business applications, distributed system management, and web service integration.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architecture of an event notification service that includes a subject-based event dissemination service and a flexible message communication service. The event dissemination service is in charge of transferring events asynchronously but speedy according to the subjects of events and their environmental knowledge. It also includes content-based message filtering. The messag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s a common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supporting variety types of messages and variety of protocols. Depending on application domains and situation, we can re-configurate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in order to optimize the efficiency and usability. This paper shows the performance analysis of our event notification service with various types of message formats and protocols.

  • PDF

A Disembarking Notification System in Public City Buses using Smart Device and High Frequency

  • Chung, Myoungbeo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8호
    • /
    • pp.55-63
    • /
    • 2020
  • 최근 대중교통을 이용하면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유투브, 넷플릭스, 왓챠 등과 같은 동영상이나 음악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으로 사람들은 자신이 하차해야 할 곳을 지나쳐 내리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우리는 버스 내부의 스피커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신호를 이용한 스마트 기기 기반 시내 공공 버스 하차 알림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고주파 신호는 버스의 정류장 안내 방송과 함께 발생하며, 스마트 기기는 내장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하차 역에 도달할 경우 스마트 기기에서 하차 알림을 발생한다. 제안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 시스템의 성능 검증을 위해 총 1,000 번의 실시간 알림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제안 시스템은 98.9%의 정확도를 나타냈으며, 기존 Open API만을 이용한 알림 서비스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따라서 제안 시스템은 시내 공공 버스를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목적지 도착 시 하차 지점을 정확히 알려줄 수 있는 유용한 기술이 될 것이다. 또한, 이 기술은 스피커로 도착지를 안내 방송하는 세계의 다양한 대중교통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는 우수한 기술이 될 것이다.

AI Fire Detection & Notification System

  • Na, You-min;Hyun, Dong-hwan;Park, Do-hyun;Hwang, Se-hyun;Lee, Soo-ho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2호
    • /
    • pp.63-71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최근 가장 신뢰도 높은 인공지능 탐지 알고리즘인 YOLOv3와 EfficientDet을 이용한 화재 탐지 기술과 문자, 웹, 앱, 이메일 등 4종류의 알림을 동시에 전송하는 알림서비스 그리고 화재 탐지와 알림서비스를 연동하는 AWS 시스템을 제안한다. 우리의 정확도 높은 화재 탐지 알고리즘은 두 종류인데, 로컬에서 작동하는 YOLOv3 기반의 화재탐지 모델은 2000개 이상의 화재 데이터를 이용해 데이터 증강을 통해 학습하였고, 클라우드에서 작동하는 EfficientDet은 사전학습모델(Pretrained Model)에서 추가로 학습(Transfer Learning)을 진행하였다. 4종류의 알림서비스는 AWS 서비스와 FCM 서비스를 이용해 구축하였는데, 웹, 앱, 메일의 경우 알림 전송 직후 알림이 수신되며, 기지국을 거치는 문자시스템의 경우 지연시간이 1초 이내로 충분히 빨랐다. 화재 영상의 화재 탐지 실험을 통해 우리의 화재 탐지 기술의 정확성을 입증하였으며, 화재 탐지 시간과 알림서비스 시간을 측정해 화재 발생 후 알림 전송까지의 시간도 확인해보았다. 본 논문의 AI 화재 탐지 및 알림서비스 시스템은 과거의 화재탐지 시스템들보다 더 정확하고 빨라서 화재사고 시 골든타임 확보에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기대된다.

스마트폰 상에서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기반의 일정 통지 및 이슈추적 시스템 (Project Schedule Notification and Issue Tracking System Based on Social Networking Service on a Smartphone)

  • 강대기;장원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669-677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상에서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기반의 일정 통지 및 이슈추적 시스템을 새롭게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서버 시스템과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나뉜다. 서버 시스템은 기존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참여자에게 프로젝트 작업의 데드라인에 대한 통지와 이슈 추적을 가능하게 한다. 스마트폰 상에서 개발된 클라이언트 시스템은 프로젝트 참여자에게 간트 차트를 디스플레이 해 주고, 자신의 일정을 입력 내지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기존의 스마트폰이 가지고 있는 이동성과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가 가지는 연결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프로젝트 개발에서의 일정 통지 및 이슈추적에 이용하며, 이를 통해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의 새로운 용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vent Notification System for Real-time Tracking in Logistics

  • Lee Yongmi;Jin Long;Seo Sungbo;Ryu Keun Ho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4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4
    • /
    • pp.83-86
    • /
    • 2004
  • With the proliferation of smart devices, applications under ubiquitous environment must provide transparent access to computer resources. However, existing u-Logistics systems can not properly react on such requirements, because the status information of objects is input only in fixed milestones by system's operators. In this paper, we introduce an event notification service suitable for u-Logistics environment. The system is based on RFID infrastructure and provides real-time tracking by combining the event of objects with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GPS satellites. The system also provides a graphical user interface based on a state/transition approach, making it easy that clients facilitate definition of profile, and uses XML structure to more easily represent and exchange events.

  • PDF

시설보호아동의 복지 관점에서 본 소년법상 통고제도 (The effect of notification disposition in the current juvenile justice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s welfare)

  • 이형섭;정선욱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6호
    • /
    • pp.69-99
    • /
    • 2016
  • 본 연구는 시설보호아동이 시설보호 양육과정에서 경험하는 소년법상 통고제도를 아동의 복지라는 관점에서 고찰한 것이다. 소년법상 통고제도는 10세부터 19세 미만 연령대의 소년 중 비행을 했거나 장래 비행을 할 우려가 높은 소년을 보호자, 학교장, 사회복지시설장, 보호관찰소장 등이 경찰이나 검찰과 같은 수사기관을 거치지 않고 직접 사건을 법원에 접수시키는 절차이다. 본 연구에서 시설보호아동이 경험하는 통고 현황 분석을 위해 사용한 자료는 시설장 등의 통고로 법원 소년부의 심리 개시 이후 보호관찰 보호처분 결정을 받은 사례, 법원 처분 결정서 등이다. 분석 결과, 아동복지 시설장에 의한 시설보호아동 통고 사례는 실제 있었으며, 주요 통고 사유로는 절도, 가출, 폭력, 음주?흡연 등의 비행 혹은 지위 비행이나 '다른 시설 아동들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침', '반성의 기미가 보이지 않음', '죄의식이 없음', '시설 양육의 어려움' 등이 많았다. 이렇게 통고된 아동에 대한 보호처분에서는 병합처분이, 병합 처분 가운데는 5호(장기보호관찰)와 6호(아동복지시설 및 소년보호시설 위탁)가 가장 많았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시설보호아동에 대한 통고의 문제를 1) 우범 시설보호아동의 문제를 소년법원의 심리(재판)에 의지하여 해결하고자 한다는 점, 2) 보호처분 결과로 보호조치 변경, 표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 3) 시설장이 통고권자일 수 없다는 점 등으로 나눠 정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