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se-print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2초

비문 인식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사용한 동물 관리 시스템 (Animal Administration System Using Nose-Print Recognition and Blockchain Network)

  • 조지연;이성수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1477-1480
    • /
    • 2019
  • 동물이 미리 등록된 특정 개체인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동물 인증은 동물 병원, 동물 입양 센터, 동물 보호소, 동물 보험사 등 다양한 곳에서 사용된다. 사람을 확인하기 위해 지문 인식을 수행하듯 동물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비문 인식이 널리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비문 인식을 통해 동물 등록 및 인증을 수행하고 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클라이언트와 연결해주는 동물 관리 시스템을 소개한다.

전자코를 이용한 홍삼 농축액의 원산지 판별을 위한 향기패턴 분석 (Analysis of Aroma Pattern for Geographical Origin of Red Ginseng Concentrated by Electronic Nose)

  • 허상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38-48
    • /
    • 2020
  • 중국산과 국내산 홍삼 농축액의 혼합비율에 따는 원산지 판별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전자코를 이용하여 향기 패턴을 분석하였다. 중국산 홍삼 농축액과 국내산 홍삼 농축액의 원산지 판별이 가능하였고 중국산 홍삼농축액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검출되어지는 향기 성분의 패턴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Frequency pattern, derivative pattern을 Vapor printTM 으로 도형화 하여 비교한 결과 서로 다른 패턴을 보여주어 중국산 홍삼 농축액 첨가비율에 따른 차이는 물론 원산지의 차이도 뚜렷하게 나타났다.

비문 인식, 펫 로봇 및 펫 밴드를 사용한 개체 맞춤형 반려동물 케어 및 훈련 시스템 (Customized Pet Care and Training System Using Nose-Print Recognition, Pet Robot, and Pet Band)

  • 조지연;이성수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909-912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IT 기술을 바탕으로 반려동물에게 맞춤형으로 케어와 훈련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소개한다. 먼저 비문 인식을 통해 특정 반려동물 개체를 인식하고, 펫 로봇이 반려동물을 유도하여 훈련기로 이동시킨다. 훈련기는 간식, 놀이, 클리커 등을 통해 동물을 훈련시키며, 애드온 디바이스를 추가하여 특정 훈련에 적합하도록 쉽게 확장할 수 있다. 펫 밴드는 바이털 모니터링, 집밖 탈출 방지, 운동량 측정 등을 수행한다. 이 시스템은 구성을 변경하여 분리 불안 완화, 배변 장소 유도, 특정 장소 출입금지 등 다양한 훈련 프로그램이 가능하며, 반려동물 행동을 각 개체별로 분석하여 맞춤형 훈련을 제공한다. 또한 주인이 없을 때에도 반려동물을 적절히 운동시키고 같이 놀아주며, 반려동물의 건강에 이상이 있으면 즉시 주인에게 알려준다.

반려동물 비문 인식을 위한 특징점 지역 기술자 연구 (A study on the Feature Local Descriptor for Recognition of Pet's Nose-print)

  • 김형오;홍상범;홍창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56-557
    • /
    • 2018
  • 전국 350여개의 보호소는 매년 약 10만 마리의 유기동물이 거쳐간다. 입양희망자에게 입양되지 않으면 보호소에 들어온 지 20일만에 4마리 중 1마리 꼴로 안락사를 당한다. 따라서 유기동물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손쉽게 반려동물을 등록하고 이력을 관리할 수 있는 비문 등록 기술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사람의 지문처럼 반려동물을 식별할 수 있는 비문을 통한 인식 기술을 개발 하기 위해 비문 영상에서 특징점을 기술 할 수 있는 지역 기술자에 대해 제안 했으며 시물레이션을 통해 효용성을 입증하였다.

  • PDF

전자코를 사용한 가열처리 야자유의 판별 (Discrimination of the Heated Coconut Oil using the Electronic Nose)

  • 한기영;오세연;김정환;윤예리;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6-21
    • /
    • 2006
  • 본 연구는 야자유를 190, $220^{\circ}C$에서 24시간 가열한 후 6개의 MOS로 구성된 전자코로 산패정도를 판별하였다. 주성분분석 결과 제1주성분 값이 열처리 시간에 따라 +0.952에서 0.325로 감소하였다. 가열 온도를 높임에 따라 야자유의 산패정도도 증가하였다. 또 다른 방법에 하나로 GC를 바탕으로 한 SAW센서가 부착된 전자코를 사용한 결과 후각이미지가 뚜렷하게 차이가 나는 것을 보여주었다. 160, $220^{\circ}C$에서 가열한 야자유로부터 휘발 성분에 대한 GC peak의 수와 넓이가 가열온도와 가열 처리 시간에 따라 증가함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방법은 신속하면서도 곧바로 알기 쉽게 데이터를 이미지화함으로써 가열 처리된 야자유의 휘발성분을 전자코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분석하여 가열 처리 정도가 예측 가능하였다.

유향성 황색계 호접란 육성 및 전자코를 이용한 향기패턴 분석 (Breeding of Fragrant Yellow Phalaenopsis and Scent Pattern Analysis by GC/SAW Electronic Nose System)

  • 빈철구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4호
    • /
    • pp.656-663
    • /
    • 2010
  • 노란색 유향성 호접란을 육성하기 위해 황화계 육종모본들을 이용하여 5종류의 교배조합이 작성되었으나 $Phal.$ Brother lawrence를 종자친으로 $Phal.$ Brother saragold를 화분친으로 한 교잡에서만 정상적인 교배와 꼬투리 형성 및 종자발아가 이루어졌다. 잡종후대로 약 500개체가 실생 조직배양을 통해 육성되어 온실에 심어졌으며 개화기에 화색과 화형 위주로 60여 우수개체가 1차 선발 되었고 다시 생육속도, 병충해저항성 등을 검정한 2차 선발에서 15계통이 육성되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향기가 비교적 강하고 꽃 수명이 길어 시장에서 기호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6계통을 최종 선발하였다. 최종 선발된 이들 유향종들과 이들 교잡종들의 양친을 대상으로 전자코를 이용한 향기패턴분석이 이루어졌다. 전자코로 꽃 향기를 분석한 후 GC chromatogram peak와 이 피크를 이용한 Polar derivative diagram을 작성 비교한 결과 양친에서는 retention time 7s와 9s 사이, retention time 20s와 25s 사이에서 강한 peak가 나타났다. 양친과 비교하여 잡종후대의 선발계통에서는 retention time 7s와 9s 사이 즉 8s 근처에서 하나의 강한 피크가 공통적으로 나타났으며 양친에서 나타났던 retention time 20s와 25s 사이에서 강한 2개의 피크는 교잡후대 중 4개의 계통에서 이 피크가 강하게 발현되었으나 2개의 계통에서는 오히려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VaporPrint^{TM}$ 이미지 분석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향기패턴을 시각적으로 이미지화 한 결과 더욱 명확하게 향기패턴을 비교 분석할 수 있었는데 마찬가지로 교잡양친과 교잡후대계통 모두에서 retention time 8s 근처에서 강한 peak가 공통적으로 나타났으며 이 피크의 성분은 노란색 유향종에서 주로 강하게 발현되는 향기성분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 피크는 향후 노란색 유향성 개체의 교잡선발 육종에 유용한 마커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A Method of Dog Recognition using Nose Print and Landmarks

  • Kwak, Ho-Young;Yun, Young-Min;Chang, Jin-Wook;Song, Woo Jin;Kim, Soo Ky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2호
    • /
    • pp.99-106
    • /
    • 2022
  • 본 논문은 비문과 반려견의 랜드마크를 설정하여 개체를 식별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최근 반려견을 유기하는 현상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유기된 개체 수도 급증하고 있다. 이 유기된 반려견은 야생화가 되어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많은 피해를 주고 있어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에 대한 해결 방법으로 동물등록제가 시행되고 있으나 일부 반려견 주인들은 칩을 삽입하는 등록 방법에 대해 기피하는 현상이 있어 완전한 등록제가 정착되지 않고 있다. 반려견을 등록할 때에 반려견주들의 혐오감이나 기피 현상을 제거하는 것이 반려동물등록제를 정착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기피 현상을 없애고 반려견주들이 친근하게 반려견을 등록할 수 있도록 비문과 반려견의 랜드마크를 설정하여 개체를 식별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수집약쑥의 휘발성 향기성분 패턴분석 (Pattern Analysis of volatile Components for Collected Mugwort (Artemisia spp.))

  • 류수노;양종진;이동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200-203
    • /
    • 2005
  • 약쑥의 식물종 판별을 위해 SAW센서가 부착된 GC로 구축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휘발성 성분을 분석하였다. 사용된 재료는 별도의 전처리 과정없이 분석되어 15초 이내에 분석된 크로마토그램을 $VaporPrint^{TM}$ 이미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패턴화 하였으며 패턴인식을 통하여 비교한 결과, 싸주아리쑥과 사자발쑥, 인진쑥의 패턴 차이를 조사하였다. 1. 싸주아리쑥, 사자발쑥, 인진쑥의 휘발성분의 분석을 통해 polar derivative패턴이 확연히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용매추출과 같은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전처리의 과정없이 20초간의 Vapor성분 분석만으로도 쑥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었다. 2.쑥의 보존기간별 향의 변화를 측정해 본 결과, 수확당년의 시료에 비해 해가 갈수록 성분들의 양이 줄어듦이 확인되었고 2년 이후의 시료들에서는 그 변화가 적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4분대의 특정향기성분의 경우에는 오히려 그 양이 증가함을 볼 수 있었다.

GC-SAW(Surface Acoustic Wave) 전자코를 활용한 볶은 커피의 원산지 및 배합 커피의 상품별 분류 (Application of GC-SAW(Surface Acoustic Wave) Electronic Nose to Classification of Origins and Blended Commercial Brands in Roasted Ground Coffee Beans)

  • 서한석;강희진;정은희;황인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3호통권93호
    • /
    • pp.299-306
    • /
    • 2006
  • The numerous varieties of coffee beans contain a wide range prices and qualities. While the varieties of green coffee beans can generally be distinguished by their appearance, this visual criterion is impossible after the roasting process. Therefore, we need to develop a classification method or device. In this study, the potential of a new type of electronic nose, fast gas chromatography based on a surface acoustic wave sensor(SAW), was evaluated for the classification of origins and blended commercial brands in roasted coffee beans. Eight blended commercial brands and the origins of four similarly roasted ground coffee beans(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color) were rapidly(90 sec/sample) classified. The reproductive results were easily understandable over the aroma image pattern by $VaporPrint^{TM}$. In conclusion, GC-SAW electronic nose can be applied to the classification of origins and commercial brands in roasted ground coffee beans and to e evaluation of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volatile pattern between samples.

Metal oxide 센서를 바탕으로한 전자코와 SAW 센서를 바탕으로한 GC를 이용한 저장 중 김의 품질 평가 (Quality Evaluation of Dried Laver (Porphyra yezoensis Ueda) Using Electronic Nose Based on Metal Oxide Sensor or GC with SAW Sensor During Storage)

  • 조연수;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947-953
    • /
    • 2002
  • 시중에서 판매되는 김을 구입하여 습도가 32%, 43%, 75%, 온도는 $5^{\circ}C,\;15^{\circ}C,\;30^{\circ}C$에서 각각 김을 보관 한 후 저장 기간에 따른 김의 품질변화를 metal oxide 센서로 구성된 전자코와 SAW 센서를 바탕으로한 GC(z-Nos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PCA 분석결과, $5^{\circ}C$, 32%에서 보관한 김의 경우는 저장기간이 지나도 김의 품질변화가 거의 없었다. 이것은 온도와 습도가 모두 낮아 김의 품질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RH 43%, RH 75%에서 보관한 김의 경우는 저장기간이 지날수록 제 1 주성분 값이 양의 값$(+0.2{\sim}0.4})$에서 음의 값$(-0.4{\sim}\;-0.2)$으로 변화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RH 43% 보다 75%의 경우가 더 뚜렷한 감소를 보였으며 높은 상대습도 조건에서는 $15^{\circ}C$$30^{\circ}C$에서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z-Nose로 얻은 데이터를 패턴 분석한 결과 저장 기간이 지나면서 저장 온도와 습도에 따라 변질된 향시성분의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것은 미생물 수를 측정할 때와 마찬가지의 결과$(r^2=0.87)$를 보였으며 색도와는 크게 영향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으로 보면 전자코를 이용하여 조건을 달리하여 보관한 김의 품질관리를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