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regular Work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6초

융복합 시대 비정규직 여성과 실업부조 도입의 필요성 (Non-regular Female Workers toward Convergence Era: Description and Unemployment Assistance)

  • 유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7호
    • /
    • pp.33-45
    • /
    • 2015
  • 우리나라 여성들의 노동시장 참여는 계속 증가해 왔지만, 이 증가를 이끈 주된 고용 형태는 정규직이 아니라 비정규직이었다. 남성 배우자의 임금이 불안정해지거나 혹은 일자리를 잃게 되면 특히 저학력 저소득층의 40대 이상 여성들은 가족의 생계를 전담하거나 보조하기 위해 노동시장으로 나오지만, 우리 사회는 이들을 노동시장의 가장 하위 집단으로 취급하면서 비정규직으로 채용하는 것을 당연시한다. 여성 비정규직 속에는 20대 아르바이트생, 고학력 전문직 계약직 여성들, 학습지 교사와 같은 특수고용형태 노동자, 고령의 저학력 판매 서비스직 여성들도 포함되어 있다. 이런 배경에서 본 논문은 우리나라 비정규직 여성 중 가장 취약 집단이자 대표 집단은 누구인지 규명하는 데 일차 목적이 있으며, 아울러 그들을 위한 소득보장 제도로는 무엇이 합당할지 검토하는데 이차 목적이 있다. 문헌분석과 통계수치 분석을 연구방법으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여성 비정규직의 중에서, 40대 이상, 저학력, 저소득이면서, 남성배우자가 부재하거나 남성 소득에만 의지할 수 없는, 판매직 서비스직 단순노무직 여성들일수록 상대적으로 더욱 비정규직으로 취업한다는 결과를 제시한다. 따라서 그들을 위한 소득보장 제도는 정규직 위주, 남성 위주의 고용보험 제도의 개선보다는 실업부조의 도입이 더 현실적이고 시급함을 주장하고자 한다.

병원 비정규직 사무직의 차별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Association between Discrimination and Job Satisfaction among Non-regular Office Workers in Hospitals)

  • 양종현;장동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5호
    • /
    • pp.249-256
    • /
    • 2019
  • 본 연구는 병원의 비정규직 사무직을 대상으로 차별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2017년 12월 1일부터 12월 31일 사이에 전국의 7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비정규직 사무직 12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별경험, 직무만족 차이분석을 위한 t-검정, ANOVA 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보면, 환경불공정성, 지위불공정성 및 고용불안정성이 유의한 음(-)의 영향력을 보였고, 일반적 특성은 성별, 교육, 소득이 유의한 음(-)의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병원의 경우 여성이 남성에 비해 차별이 높고, 직무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병원에서는 비정규직 여성을 위한 친화적 직장 분위기를 만들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전북지역 산업체급식소 조리종사자의 고용형태에 따른 안전사고 실태 및 안전사고 예방관리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status of safety accidents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about precautions of safety accidents by employment type of industry foodservices in Jeonbuk area)

  • 소희;노정옥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0권4호
    • /
    • pp.402-414
    • /
    • 2017
  • 본 연구는 전북지역 산업체급식소의 정규직과 비정규직 조리종사자 282명을 대상으로 급식소에서의 안전사고, 안전교육 실태 및 안전사고 예방관리의 중요도 및 수행도를 조사하여 산업체급식소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는 정규직 42.2% (119명), 비정규직 57.8% (163명) 이며 96.5%는 여자이었다. 고용형태에 따라서는 연봉수준 (p < 0.001), 직급 (p < 0.001), 평균 연령 (p < 0.001), 급식횟수 (p < 0.001)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정규직의 66.4%, 비정규직의 53.4%가 안전사고의 경험이 있으며 (p < 0.05), 사고원인은 본인의 부주의 (53.5%)가 가장 큰 원인이었다. 사고처리는 정규직은 회사부담 (71.6%)이 높으며 비정규직은 산재처리 (44.6%)가 높았다. 안전사고는 정규직은 화상 (48.6%), 절단사고 (31.1%)가 높았으며 비정규직은 미끄러짐 (47.8%)과 화상 (44.6%)의 순으로 차이가 있었다. 사고부위는 주로 손과 팔 (63.3%) 이었다. 정규직의 98.3%, 비정규직의 95.1%가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교육을 받았으며, 교육은 주로 영양사 (93.4%)가 실시하나 정규직은 산업안전관리공단 (6.8%)과 협회(2.6%)의 교육도 받고 있었다. 교육 빈도는 정규직의 68.4%가 1회, 23.9%가 2회, 7.7%는 3회 이상의 교육을 받았으나 비정규직은 1회 50.3%, 2회 37.4%, 3회 이상 12,2%로 비정규직의 교육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p < 0.05). 교육방법은 주로 강의 (77.2%)로 진행되며, 교육 후 정규직의 37.6%는 별도의 평가가 없으나, 비정규직의 33.5%는 시험, 25.2%는 면담, 12.3%는 실기평가를 실시하고 있었다 (p < 0.05). 교육만족도는 조사대상자의 81.6%가 만족하며 비정규직 (85.2%)이 정규직 (76.9%)보다 더 만족하는 경향을 보였다. 교육 후 정규직의 73.5%, 비정규직의 71.6%만이 실제 작업에 교육내용을 적용하고 있었다. 적용하지 못하는 이유는 업무과중으로 인한 시간부족과 습관적인 작업행태 때문이었다. 산업체급식소의 정규직과 비정규직 조리종사원의 안전사고 예방관리에 대한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중요도는 각각 4.26점, 4.15점이며 수행도는 정규직 3.96점, 비정규직 3.94점이었다. 독립표본 t-test로 분석한 결과, 21개의 항목 중 '튀김요리 시 물이 튀지 않게 하며 화상에 주의한다'에서 정규직 (4.43점)이 비정규직 (4.24점)보다 중요도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p < 0.05), 수행도는 모든 항목에서 정규직과 비정규직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대응표본 t-test 분석결과, 정규직의 중요도와 수행도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 < 0.001). 전체 21개 항목의 중요도와 수행도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IPA분석결과, 중요도와 수행도가 높은 A영역 (Doing great)에서 '작업장 바닥의 물, 기름을 청소', '작업장과 통로의 물건 정리', '작업 시 미끄럼방지 안전화 착용', '사용하지 않는 호스는 감아서 정리', '화재위험 있는 전열기 코드 뽑기', '튀김요리 시 화상에 주의하며 조리'는 정규직과 비정규직 모두 해당되었으며, 이외 '물기 있는 손으로 전기시설 관리하지 않기'는 정규직에만 해당되었으며 '야채절단기 사용 시전용방망이 사용', '안전하게 칼 관리'는 비정규직에만 포함되었다. 중요도가 높으나 수행도가 낮은 B영역 (Focus here)에서 '출근 후 환기와 가스누출 확인', '콘센트 안전관리'는 정규직과 비정규직 모두 해당되었으며 이외에 '영양사에게 건강상태 보고' 및 '중량물 취급 시 올바른 자세로 작업'은 정규직에만 '가스차단기 작동확인'은 비정규직에만 포함되었다. 중요도는 낮으나 수행도가 높은 C영역(Overdone)에서 '기계설비 잠금장치 확인'은 정규직과 비정규직 모두에 해당되었으며 이외에 '야채절단기 사용 시 전용방망이 사용', '안전하게 칼 관리'는 정규직에 포함되었으며 '물기 있는 손으로 전기시설 관리하지 않기', '전기기구 연결 확인', '영양사에게 건강상태 보고' 및 '중량물 취급 시 올바른 자세로 작업'은 비정규직에 포함되었다. 중요도와 수행도가 낮은 D영역 (Low priority)에 'MSDS관리', '화학물질 위험표시 인지', '화학물질 취급 전 보호 장갑 등의 장비 착용', '작업 전 스트레칭 실시' 및 '보조도구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작업대 높이 조정'이 정규직과 비정규직에 포함되었으며 이외에 정규직에 '전기기구 연결 확인', '가스차단기 작동확인'이 추가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전북지역 산업체급식소에서의 안전교육 실시는 잘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도 교육을 받지 못하는 비정규직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경영주 및 영양사의 인식전환이 필요하겠다. 또한 조리종사원들의 안전사고 예방관리에 대한 중요도 인식은 고용형태 간 유의적인 차이 없이 높은 수준이었으나 교육 후 업무과중의 이유로 실제 적용하는 어려움이 있는 점을 볼 때 효율적인 업무관리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철저한 감독이 요구된다. 특히, 화학물질에 대한 이해 및 MSDS관리에 대한 조리종사원들의 낮은 중요도 인식과 수행도는 향후 안전교육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하겠다. 향후 정규직과 비정규직 구분에 따른 지원의 차이를 줄이고 소속감을 높여 조리종사원의 책임감과 안전의식을 높여 보다 안전한 급식소환경이 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핵심자기평가(CSE)와 일-가족 지원, 직장만족 그리고 이직의도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of Core-Self Evaluation, Work-Family Facilitati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 최현정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19-237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외식업계의 비정규직 직원을 대상으로 핵심자기평가, 일-가족 지원, 직장만족 그리고 이직의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직원의 이직을 줄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추후 이와 관련된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AMOS 4.0과 SPSS 1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분석 방법은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 그리고 공분산 구조분석(covariance structur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핵심자기평가는 일-가족 방향 지원과 가족-일 방향 지원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일-가족 지원과 직장만족의 관계에 있어서는 가족-일 방향 지원만이 직장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직장만족은 직원의 이직을 줄이는 것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 PDF

고용형태에 따른 IT 종사자의 건강습관과 직무스트레스 (Health Habits and Job Stress among IT Workers According to Employment Type)

  • 정혜선;장원기;최은희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71-379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and the influencing factors of health habits such as smoking, drinking, and exercise on job stress among IT workers. Methods: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otal of 300 people (30 persons per business place) at 10 IT work sites performing computer and information system tasks, and 275 data points were analyzed. The survey items were general characteristics,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employment type, physical burden, amount of drinking, smoking, exercise, and job stres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non-regular workers showed higher smoking, exercise, and job stress than did regular workers by employment type, but exercise was not significant. Regular workers had a higher rate of drinking than non-regular workers. Second, the factors affecting alcohol drinking were gender and age, and factors affecting smoking were gender and employment type. Third, factors affecting job stress were annual income, long working hours, physical burden, and employment type.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employment patterns in smoking, drinking, and job stress managemen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eply analyze what affects the health behaviors and job stress of IT workers and explore ways to mitigate them.

서비스업종 사업장의 고용형태 및 직업안전보건활동 특성과 개선방안 연구 (The Study of Preventive Improvement on Employment Type and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ctivity in the Very Small Service Industry)

  • 이관형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2-118
    • /
    • 2016
  • The labor force has moved to services industry. An industrial accidents of service industry is three people on 10 persons in 2013. This research conducted questionnaire surveys of 1:1 directly person interviews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intended for 150 service workplaces, in order to improv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in very small service workplace with less than 5 employee. The survey contents is employment typ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safety and health training, activities. In the results, working with non-regular(informal) workers is two people on 10 persons 27.1% and female workers is about five people on 10 persons with 58.1%, and that 67.9% of non-regular workers who are mainly engaged in the production line appeared. And the work-related injury and accident experience was 3.3% and the occupational injury rate was 1.02%, especially occupational injury rate of female workers was 0.88%. Workplace risk assessment carried out in response that it was very low as 10.0% of the total. Also the safety & health education and activities was very low. Thus the safety consciousness and education is urgently required in order to prevent the industrial accidents.

초소규모 제조업 사업장의 안전보건활동과 정부지원사업 효과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ivities and Effectiveness of Government Support Program in Very Small Manufacturing Workplaces)

  • 이관형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31-137
    • /
    • 2015
  • Last five years, Occupational injury rate is declining but still a standstill as 2%, if the rate of deaths all people from 2% to 1% in 2013, but decreased as,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in terms industrial accidents yet has a very weak structure in very small Manufacturing workpl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a 1:1 directly person interviews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intended for 150 a very small manufacturing workplace. In the results, working with non-regular(informal) workers is one in 10 persons 11.7% and female workers is about three people on 10 persons with 31.0%, and that 75% of non-regular workers who are mainly engaged in the production line appeared. And the work-related injury and accident experience was 4.0% and the occupational injury rate was 1.24%, especially occupational injury rate of older workers was 3.65%, a female workers 1.72%. Workplace risk assessment carried out in response that it was very low as 9.3% of the total. In the technology and funding programs that are supported by the government, was highest with 62.7% of the clean support program awareness, awareness of the rest of the programs is about 10-14% lower. And the satisfaction of supporting a clean support program were the highest 81.3%.

노인복지시설 영양사의 직무만족도와 직무특성 연구 (Study of the Job Satisfaction and Characteristics of Dietitians Working in the Elderly Health Care Facility)

  • 곽윤서;한명주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77-685
    • /
    • 2012
  • This study examined the job satisfaction and characteristics of dietitians working in an elderly health care facility.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116 dietitians who work in an elderly health care facility across the country. The following lists the items affecting the total satisfaction on each element of the job: the nature of work (4.20), coworkers (4.02), supervision (3.83), communication (3.81), pay (3.22), operating conditions (3.16), fringe benefits (3.05) and promotion (2.78). Regarding supervision, regular employees (3.90) had higher satisfaction than non-regular employees (3.11), and for fringe benefits, regular employees (3.10) had higher satisfaction than non-regular employees (2.52). Regarding fringe benefits, those with less than 10 years experience showed higher satisfaction than with more than 10 years'. In terms of the job characteristics, the following were found to affect job satisfaction: the task identity (3.33), variety (3.27), autonomy (3.18), feedback (3.05), friendship opportunities (3.01) and dealing with others (2.82) were listed in the highest order. For task identity, more than 41 years old (3.53) ha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Regarding diversity, graduate schools (3.37) ha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terms of income, those earning more than 2 million won (3.37 and 3.26) showed higher scores in autonomy and friendship opportunities than those earning less than 1.5 million won (2.79 and 2.57).

The relationship between shift work pattern and thyroid stimulating hormone in female workers

  • Hun Jeong;Chang Ho Chae;Jun Ho Lee;Hyo Won Chong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 /
    • 제35권
    • /
    • pp.14.1-14.10
    • /
    • 2023
  • Background: Shift work is known to cause changes in the circadian rhythm of the human body and adversely affect not only physical health but also mental health. Some studies have demonstrated the correlation between shift work and thyroid stimulating hormone (TSH), a hormone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diurnal rhythm, but few studies have reported the different TSH levels according to the shift work typ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changes in TSH according to the shift work type.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318 female workers who had a medical checkup at a university hospital in Changwon from 2015 to 2019. Shift work types were classified as non-shift work, regular 2 shifts, and irregular three shifts, and a TSH ≥ 4.2 mIU/L was defined as abnormal. A general linear model (GLM) was used to compare the TSH levels and the risk of subclinical hypothyroidism in each year, and a binary logistic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generalized estimation equation (GEE) to compare the risk of subclinical hypothyroidism over the 5-year period. Results: Of the 1,318 participants included in this study, 363, 711, and 244 were non-shift, two-shift, and irregular three-shift workers, respectively. In the GEE analysis, after adjusting for age, body mass index, smoking, and alcohol consumption, the odds ratios (ORs) were 1.81 (95% confidence interval [CI]: 1.15-2.86; p = 0.011) in 2 shifts and 2.02 (95% CI: 1.23-3.32; p = 0.006) in irregular three shifts, compared to non-shift. Conclusions: Our results showed that shift work had a higher risk of subclinical hypothyroidism than non-shift work a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isk of subclinical hypothyroidism according to the shift work typ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shift work type can be considered in future thyroid function tests and evaluations.

근로자의 고용형태별 직무만족도 차이에 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Levels by Type of Employee)

  • 김영흥;나승일;김지현;박용진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1호
    • /
    • pp.101-118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근로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선행연구를 종합하여 고용형태(정규직 및 비정규직)별 효과크기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메타분석에 사용된 논문은 총95편이었다. 자료 분석은 CMA(Comprehensive Meta-Analysis) 2.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5%(${\alpha}=0.05$)이었다. 이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규직 근로자가 비정규직 근로자 보다 직무만족도가 높으며, 고용형태의 효과크기는 중간 정도이다. 둘째, 5가지 직무만족도 구인 중에서 임금 및 승진 만족도의 차이가 인간관계, 업무 및 근로환경 만족도의 차이보다 크다. 셋째, 정규직 및 비정규직 근로자의 직무만족도 차이는 직업군에 따라 다르다. 넷째, 금융 보험, 음식 서비스 관련 직업군은 고용형태별 직무만족도 차이가 크며, 정규직 근로자가 비정규직 근로자보다 직무만족도가 높다. 반면, 보건 의료, 사회복지 종교 관련 직업군은 비정규직 근로자가 정규직 근로자 보다 직무만족도가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