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i

검색결과 322건 처리시간 0.034초

개 빈맥에 대한 내관(PCO6) 및 심수(BLl5) 자침의 효과 (The Efficacy of Needle-Acupuncture at Nei Guan (PC06) and Xin Shu (BL15) on Canine Tachycardia)

  • 조영호;전형규;김남주;임수정;정해성;김상훈;유명조;김덕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359-362
    • /
    • 2008
  • 본 연구는 개 빈맥에 대한 내관 (PC06) 및 심수 (BLl5)자침의 효과를 입증하고자 실시하였다. 총 18두의 비글견을 대조군 (6두), PC06 군 (6두) 및 BL15 군 (6두)로 각각 나누었다. 빈맥은 glycopyrrolate를 근육주사하여 유발하였다. 대조군은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으나, 실험군은 glycopyrrolate 투여와 동시에 각각 PC06 및 BL15에 20분간 유침하였으며, R-R 간격의 변화 및 호흡수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PC06군과 BL15군에서의 R-R 간격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는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BL15군의 R-R 간격은 PC06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는 증가를 나타내었다. PC06군의 호흡수는 대조군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으나 BL15군은 대조군 및 PC06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는 감소를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PC06 및 BL15의 자침은 개 빈맥의 회복에 도움이 되며, BL15가 PC06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ISSR에 의한 잔디속 식물의 DNA 다형성과 유전적 관계 평가 (DNA Polymorphism and Assessments of Genetic Relationships in genus Zoysia Based on Simple Sequence Repeat Markers)

  • 허만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57-262
    • /
    • 2015
  • 한국에서 채집한 잔디속(genus Zoysia) 식물 종의 유전적 변이를 단순 서열 반복(Inter-Simple Sequence Repeat Markers, ISSR) 마커 시스템으로 조사하였다. 8개의 ISSR 시발체를 이용한 중합효소 사슬 증폭반응에서 86개의 분절의 증폭물을 얻었으며 이 중 76(87.1%)개 분절이 다형성을 나타내었다. ISSR 마커 시스템에서 다형성 정보 지수(PIC)는 0.848이었다. 다형성 대립유전자좌위의 퍼센트(Pp)는 41.2%에서 44.7%까지 나타내었다. 네이(Nei)의 유전자 다양성(H)은 0.149에서 0.186까지 이며 평균은 0.170이었다. 샤논(Shannon)의 정보 지수(I)의 평균값은 0.250이었다. 대립유전자좌위에 근거하여 전체 변이에서 종 간 차이를 나타내는 변이의 몫(GST)은 0.601였다. 이는 전체변이의 약 60.1%는 종 간에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변이의 약 39.9%는 종 내에 있었다. GST에 근거한 유전자 흐름(이동)은 잔디속 간에는 대단히 낮았다(Nm = 0.332). 계통도는 3개의 뚜렷한 분지군으로 분리되었다. 왕잔디(Zoysia macrostachya)와 금잔디(Z. tenuifolia) 분지군, 갯잔디(Z. sinica) 단독 분지군, 잔디(Z .japonica) 단독 분지군이었다. 결론적으로 잔디속 식물에 대한 ISSR 분석은 유전적 변이를 탐지하는데 유용하며, 종을 구분하는 유전자형의 대한 식별력을 주었다.

한국 재래품종과 외래품종의 구별을 위한 초위성체 마커의 개발 (Development of Microsatellite Markers for Discriminating Native Korean and Imported Cattle Breeds)

  • 김승창;조창연;노희종;연성흠;최성복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64-470
    • /
    • 2017
  • 성염색체에 위치하는 5 개의 초위성체 마커(INRA30, TGLA325, UMN0803, UMN0905, UMN0929) 를 이용하여 재래소 3품종과 외래소 7품종(칡소, 한우, 제주흑우, 홀스타인, 일본화우, 샤롤레, 앵거스, 헤어포드, 시멘탈, 한우X 샤롤레 교잡종)의 유전적 특징을 확인하였다.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소고기의 잘못된 원산지 표기를 통해 부당한 경제적 이득을 취하고자 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소고기 샘플을 빠르고 저비용으로 확인 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하기 위해 좌위 또는 품종 특이적 대립유전자를 탐색하고 좌위별 대립유전자수, 대립유전자빈도, 이형접합도 그리고 다형정보량(PIC)을 구하여 이들 10품종의 유전적 다양성을 평가하였다. STRUCTURE 분석을 통한 군락의 분류 및 유전적 균일성 분석에서 재래소 품종과 외래소 품종으로 두개의 주요 그룹으로 나뉘어진다. 이러한 결과들은 재래소와 외래소 품종의 특이적인 유전적 차이를 나타낸다. 또한 Nei's 표준 유전적 거리로 나타난 neighbor-joining tree에서도 독립적인 계통유전학적인 위치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 재래종과 외래품종 사이의 유전적 거리, 품종의 역사 및 그들의 지리적 기원 사이에 명백한 차이를 나타내는 증거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들로 이들 성염색체의 초위성체 마커들에 의해 소 품종들의 유전적 다양성과 연관성은 과학적인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재래소와 외래품종 소고기를 구별할 수 있는 DNA 마커들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마커들은 효율적인 이력추적 시스템을 만드는데 사용되어 원산지 표시 위반을 억제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분자지표를 이용한 고려인삼의 유전적 특성 비교 (Comparative Gen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Ginseng using DNA Markers)

  • 신미란;조익현;정종욱;김영창;이승호;김장욱;현동윤;김동휘;김기홍;문지영;노봉수;강성택;이동진;방경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444-454
    • /
    • 2013
  • The development of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d expressed sequence tag-derived simple sequence repeats (EST-SSRs) provided a useful tool for investigating Korean ginseng genetic diversity. In this study, 18 polymorphic markers (7 RAPD and 11 EST-SSR) selected to assess the genetic diversity in 31 ginseng accessions (11 Korean ginseng cultivars and 20 breeding lines). In RAPD analysis, a total of 53 unique polymorphic bands were obtained from ginseng accessions and number of amplicons ranged from 4 to 11 with a mean of 7.5 bands. Pair-wise genetic similarity coefficient (Nei) among all pairs of ginseng accessions varied from 0.01 to 0.32, with a mean of 0.11. On the basis of the resulting data, the 31 ginseng accessions were grouped into six clusters. As a result of EST-SSR analysis, 11 EST-SSR markers detected polymorphisms among the 31 ginseng accessions and revealed 49 alleles with a mean of 4.45 alleles per primer. The polymorphism information content (PIC) value ranged from 0.06 to 0.31, with an average of 0.198. The 31 ginseng accessions were classified into five groups by cluster analysis based on Nei's genetic distances. Consequently, the results of ginseng-specific RAPD and EST-SSR markers may prove useful for the evaluation of genetic diversity and discrimination of Korean ginseng cultivars and breeding lines.

한국의 산양(우제목, 소과)의 미토콘드리아 Cytochrome b 염기서열 다양성 (Sequence Diversity of Mitochondrial Cytochrome b Gene in Grey Goral Naemorhedus caudatus(Artiodactyla, Bovidae) from Korea)

  • Koh, Hung-Sun;Yang, Byong-Guk;Lee, Bae-Kun;Lee, Jong-Hyo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8권1호
    • /
    • pp.13-21
    • /
    • 2002
  • 한국의 산양 (Naemorhedus caudatus)의 유전정보를 종보전에 활용하기 위하여, 한국의 2개 장소에서 채집한 6마리의 미토콘드리아 cytochrome b 유전자 염기서열(606 bp)의 양상을 조사하였다 상응하는 중국의 산양의 염기서열은 GenBank에서 얻어서 이용하였다. 한국의 산양의 4개 haplotype의 각각과 중국의 산양의 한 haplotype간의 nucleotide Tamura-Nei 거리는 0.0650부터 0.0803 가지의 변이를 보였으며, 산양은 소과 내에서 높은 수준의 염기서열 다양성을 나타냈다 한국의 산양에서, 양구표본의 3개 haplotype간의 거리는 0.0151부터 0.0185로, 양구집단의 유전자 다양성이 낮은 수준으로 감소되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양구의 3개 haplotype의 각각과 삼척의 한 haplotype간의 거리는 0.0343에서 0.0479였다. 지리적 거리의 멀어짐에 따르는 유전자 거리의 증가가 서식처 단절에 의해 야기되었다고 판단됨으로, 한국의 산양의 유전자 다양성의 감소를 막기 위한 여러 가지 보전 대책이 즉각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산양의 분류학적 검토를 위하여 GenBank에 있는 히말라야산양 (N. goral)의 염기서열 (276 bp)도 이용하였으며, 산양은 히말라야산양과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산양과 히말라야 산양은 동종으로 판단할 수가 있지만, 두 종의 보다 많은 표본을 이용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수환경변화에 따른 갈대와 달뿌리풀의 유전적 변이 및 유연관계 (Genetic variations and relationships of Phragmites japonica and P. communis according to water environment change)

  • 김용현;김주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52-158
    • /
    • 2009
  • 갈대속 식물 두 종 달뿌리풀과 갈대의 종간 유연관계분석 및 수환경변화에 따른 종내 지역별 유연관계를 조사하기위해 RAPD 분석을 수행하였다. 총 9개의 oligoprimer를 이용한 효소중합반응에서 300 bp에서 1,900 bp 사이의 구간에서 142개의 유효한 polymorphic band를 확인하였다. Nei-Li의 genetic distance를 이용한 분석결과에 의하면, 비유사도지수가 달뿌리풀 개체군 종내에서는 0.012에서 0.061, 갈대 개체군 종내에서는 0.033에서 0.095의 낮은 상이성을 나타내어 종내 지역집단간에는 높은 유전적 유연관계를 보였으며, 달뿌리풀 개체군과 갈대 개체군 종간에서는 0.043에서 0.132의 상이성을 나타내어 달뿌리풀과 갈대 사이의 비유사도지수의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유전적으로 거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APD 결과 이 두 종 사이에 뚜렷한 차이를 구별할 수 있는 genetic marker를 확인하였고, UPGMA 유집분석에 의하면 두 종은 비슷한 수환경끼리 유연관계가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고 다른 수환경끼리는 유연관계가 먼 것으로 나타났다. RAPD 분석법은 갈대속 두 종의 분류학적 혼동 해결과 동시에, 수환경변화에 따른 종내 지역별 유전적 유연관계 확인에 매우 유용한 방법인 것으로 나타났다.

Evaluation of the taxonomic rank of the terrestrial orchid Cephalanthera subaphylla based on allozymes

  • CHUNG, Mi Yoon;SON, Sungwon;CHUNG, Jae Min;LOPEZ-PUJOL, Jordi;YUKAWA, Tomohisa;CHUNG, Myong Gi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18-126
    • /
    • 2019
  • The taxonomic rank of the tiny-leaved terrestrial orchid Cephalanthera subaphylla Miyabe & $Kud{\hat{o}}$ has been somewhat controversial, as it has been treated as a species or as an infraspecific taxon, under C. erecta (Thunb.) Blume [C. erecta var. subaphylla (Miyabe & $Kud{\hat{o}}$) Ohwi and C. erecta f. subaphylla (Miyabe & $Kud{\hat{o}}$) M. Hiro]. Allozyme markers, traditionally employed for delimiting species boundaries, are used here to gain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taxonomic status of C. subaphylla. To do this, we sampled three populations of five taxa (a total of 15 populations) of Cephalanthera native to the Korean Peninsula [C. erecta, C. falcata (Thunb.) Blume, C. longibracteata Blume, C. longifolia (L.) Fritsch, and C. subaphylla]. Among 20 putative loci resolved, three were monomorphic (Dia-2, Pgi-1, and Tpi-1) across the five species. Apart from C. longibracteata, there was no allozyme variation within the remaining four species. Of the 51 alleles harbored by these 17 polymorphic loci, each of the 27 alleles at 14 loci was unique to a single species. Accordingly, we found low average values of Nei's genetic identities (I) between ten species pairs (from I = 0.250 for C. erecta versus C. longifolia to I = 0.603 for C. falcata vs. C. longibracteata), with C. subaphylla being genetically clearly differentiated from the other species (from I = 0.349 for C. subaphylla vs. C. longifolia to 0.400 for C. subaphylla vs. C. falcata). These results clearly indicate that C. subaphylla is not genetically related to any of the other taxa of Cephalanthera that are native to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C. erecta. In a principal coordinate analysis (PCoA), C. subaphylla was positioned distant not only from C. falcata, C. longibracteata, and C. longifolia, but also from C. erecta. Finally, K = 5 was the best clustering scheme using a Bayesian approach, with five clusters precisely corresponding to the five taxa. Thus, our allozym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C. subaphylla merits the rank of species.

면색(面色), 설진(舌診), 음성(音聲) 문진(聞診)에서의 개체성(個體性) 관찰에 대한 문헌적 연구 (Study o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 Factor by the Inspection of Face Colour and Tongue & the Auscultation and Olfaction)

  • 김재필;김경철;이정원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478-485
    • /
    • 2014
  • In order to the excellent differentiation of syndromes, we study o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 factor by the inspection of face colour and tongue & the auscultation and olfaction. To the subject of diagnosis special books and diagnostics textbook of korean medicine, we arrange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 factor by the inspection of face colour and tongue & the auscultation and olfaction. The inspection o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 factor was analyzed the face colour, inspection of tongue. The auscultation and olfaction o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 factor was analyzed the 25 types by the five-voice (五音) in Huang Di Nei Jing (黃帝內經). As the results,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 factor is very important item of the four methods of diagnosis and the differentiation of syndromes. And Therefore the process on four methods of diagnosis and differentiation of syndromesis is necessary to divide the sign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 factor and the signs of disease.

Diversity in Six Goat Populations in the Middle and Lower Yangtze River Valley

  • Jiang, X.P.;Liu, G.Q.;Ding, J.T.;Yang, L.G.;Cao, S.X.;Cheng, S.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2호
    • /
    • pp.277-281
    • /
    • 2003
  •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FLPs) marker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genetic variation in six autochthonous goat populations distributed in the middle and lower Yangtze River valley. The goat populations were Chengdu Grey Goat (CGG), Chuandong White Goat (CWG), Banjiao Goat (BG), Matou Goat (MG), Hui Goat (HG) and Yangtze River Delta White Goat (YRDWG). A total of 180 individuals (30 per population) were analysed using ten selected AFLP primer combinations that produced 78 clear polymorphism loci. The variability at AFLP loci was largely maintained within populations, as indicated by the average genetic similarity, and they were ranged from 0.745 to 0.758 within populations and 0.951 to 0.970 between populations. No breed specific markers were identified. Cluster analysis based on Nei' genetic distance between populations indicated that Chengdu Grey Goat is the most distant population, while CWG and YROWG were the closest populations, followed by BG, HG and MG. Genetic diversity of the goat populations didn' confirm what was expected on the basis of their geographical location, which may reflect undocumented migrations and gene flows and identify an original genetic resource.

Individual Identification and Breed Allocation with Microsatellite Markers: An Evaluation in Indian Horses

  • Behl, Rahul;Behl, Jyotsna;Gupta, Neelam;Gupta, S.C.;Ahlawat, S.P.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1호
    • /
    • pp.25-30
    • /
    • 2007
  • The capability of microsatellite markers for individual identification and their potential for breed assignment of individuals was evaluated in two Indian horse breeds. The strength of these individual assignment methods was also evaluate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loci in increments of five. The probability of identity of two random horses from the two breeds at all twenty five studied loci was as low as $1.08{\times}10^{-32}$ showing their suitability to distinguish between individual horses and their products. In the phylogenetic approach for individual assignment using Nei's genetic distances, 10.81% of horses associated with breed other than the major cluster of the source breed horses when all twenty five microsatellite loci were implemented.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when the maximum likelihood approach for individual assignment was used.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proposed that, although microsatellite markers may prove very useful for individual identification, their utility for breed assignment of horses needs further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