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jectives : This study is to dental knowledge and awarenes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Methods : This study is conducted with a total of 244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Dae Gu, Gyeong Buk, Gyeong Nam, Bu San city from 1st April to 30th April, 2011. Results : More healthy state of oral health reflected higher point of oral health behavior. In the correlation among the oral health knowledge, behavior and education, higher oral health knowledge reflected higher oral health behavior. In the obstacle factors against oral health education, 41.0% was in the lack of professionalism and understanding of oral health education. The majority method for oral health education was regular teaching and the oral health in charge of education was school nurse 67.1%. The most important point for improvement for oral health class enabled was oral health recognition of teachers about the importance of education. Conclusions : For improving the oral health of the disabled, it is needed to develop the educational program or awareness of oral health monitoring like applying fluorine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including the necessity of various oral health education development suitable for the special education school to make awareness in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oral health.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창의성 계발을 위한 디자인 교육의 품질에 대한 속성을 유아교육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디자인교육이 갖추어야할 속성에 대해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실질적인 개선 혹은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심층분석결과 중요도-만족도 간의 차이검증(T-test)을 통해 유아의 디자인교육의 정책적 혹은/그리고 재정적 지원의 필요성, 문제나 자극에 대한 아이디어 산출을 통한 사고활동, 주변의 환경이나 상황에 대해 예민하고 섬세한 관심으로 새로운 탐색영역에 대한 태도 등이 조사되었다. 중요도-만족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에서는 디자인 전문 교사의 필요성, 정책적 및 재정적 지원 그리고 관련교육기관의 의식전환이 요구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창의성 계발을 위한 디자인교육의 품질에 대한 속성을 인식하고 현장에 반영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최근 머신러닝, 빅데이터, 머신러닝 등의 기술 발전을 기반으로 인공지능(AI) 기술이 고도화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고, 미래 산업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에서는 AI 국가전략을 발표하는 등 미래 AI 기술 발전과 환경 구축의 발판을 마련하고 있으며, 교육 분야에서도 AI 인재 양성을 위한 각종 정책을 개발하고 있다. 그런데 AI의 중요성이나 필요성에 대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동의하고 있으면서도, 구체적인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 형성은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관련 연구를 살펴보면 AI교육의 내용이나 방법론 등의 방향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방향을 설정하는 전제 조건이 되고, 이에 따라 교육 내용과 방법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와 학교 현장의 AI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해보고 이를 토대로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AI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AI교육의 방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recognition of food labeling of high school students (males 94 and females 85) in Yongin region. Recognition of food labeling was very high at 81.6%. For checking food labeling at the time of purchasing, 53.6% of the respondents always checked and the main reason was healthier food choice (49.2%). Satisfaction of food labeling was very low at 18.4%. In spite of very low satisfaction, 70.9% of respondents recognized necessity for education of food labeling. In terms of education method, respondents preferred 'school lecture' the most with 48.6%, which are in the following order: TV/newspaper/journal/book (37.4%) > internet lecture (10.1%) > education from parents (3.9%). Moreover, 83.2% of respondents answered 'positive change (ex. checking food labeling)' after getting education. Consequently, high school students had low level of utilization of food labeling at the time of purchasing. However, they showed high level of perception and educational need of food labeling as well as possibility of positive change after receiving education. Therefore, appropriate school education for food labeling may be able to lead a healthy eating habit of high school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ttitudes of Korean parents on environmental education for their elementary children. To accomplish of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to 231 (55 males, 176 females) parents from elementary school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Korea. The self-reported Environmental Education Attitude Scale was revised and adopted to measure the difference among children's grade, gender, and age of parents. The SPSS 12.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represented that elementary parents have a great understanding about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the analyses, this study found several thing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ade and age in the necessi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However, there were no gender differences in this field. In other words, parents have strong agreement with the necessi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childhood.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ade in the effect of environmental education. However, there were no gender and age differences in this area.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ade and gender in proper areas of environmental education according to academic year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age difference in this questionnaire. 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ade, gender, and age group in the level of environmental education. 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ade, gender, and age in the subject for environmental education. Further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Purpose: To investigate disaster safety education and the safety awareness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following the Sewol ferry incident.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1022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from September 7 to 26, 2015. The questionnaire comprised questions pertain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disaster safety education, and safety awareness, which were measured on a four-point Likert. Results: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3.12{\pm}0.61$); however, most did not know where safety devices were located. After the Sewol ferry incident, awareness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was $2.11{\pm}0.64$, and the necessity of education was relatively low. More than half the students (53.5%) responded that disaster safety education must be conducted in professional education facilities. Conclusion: It is important to develop and implement regular disaster safety educ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in professional education facilities.
Y. R$\acute{e}$ball$\acute{e}$ [11]교수는 쇼케이적분 기준에 의한 필요측도의 표현에 관해 조사한다. 또한 쇼케이적분 표현관 관련된 필요측도의 순위를 결정 연장을 생각한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결정연장이 쇼케이 기대효용에 따른 애매한(구간치로 명명함) 필요측도를 가지는 경우를 생각한다. 더욱이, 구간치 필요측도에 대한 단조 집합치 함수를 갖는 기호에 대한 약 쇼케이적분표현과 필요측도에 대한 구간치 효용함수를 갖는 기호에 대한 강 쇼케이적분 표현에 대한 두 가지 정리를 증명한다.
Many educators and teacher-librarians have emphasized many times on the necessity and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school library. But actually the necessity and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school library is not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ones in the educational system. Therefore I tried to find out several ways on the development of the school library and the promotion of the teacher-librarian focusing on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school library. In order to develop the school library, it is necessary that the function of the school library should be maximized and transformed to effective system. I would like to suggest the following methods : 1) Transform the present school library into the school library media center. 2) Connect the running system S.L.M.C. to the curriculum of the school. 3) Emphasis of the reading education. 4) Guidance on the use of library. At last I studied on the definition, the legal status and the education of the teacher-libraria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d the level of moral development of dental hygiene students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 reported questionnaires received from 197 dental hygiene students from May 6 to 28, 2008. The Korean version of the DIT(Defining issues Test) was adopted to evaluate levels of moral development that the score of P(%) and stage 4. The data were analyzed by a descriptive analyses and t-test. The mean score of P(%) and stage 4 was $45.21{\pm}12.69$ and $21.28{\pm}11.06$ respectively. The score of P(%)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 by experience of ethical education, medical ethics education and work ethics education and necessity of medical and work ethics education, clinical practice exercise. The score of stage 4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necessity of work ethics education, participation of ethics education and importance of ethics education. In conclusion, for enhancing dental hygienists' moral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urriculum and to develop the ethics education.
Purpose : The study aim was to determine the present stat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Korea in terms of the Model of Human Occupation (MOHO). We collected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by investigating recognition by occupational therapists for applications of the MOHO and the necessity thereof. Specifically, we explored ways to effectively apply the MOHO in occupational therapy. Methods : We conducted a study from December 3, 2023, to January 18, 2024.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163 occupational therapist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recognition, and necessity of the MOHO were examined using a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Results : The most responses to "degree of ease of access to the MOHO information" were for "disagree" 56 people(34 %). Regarding "degree of satisfaction with information about [the] MOHO," 53 people (33 %) responded with "disagree" (the highest response rate). Only 22 % had applied the MOHO previously. Second, occupational therapists thought that the MOHO should be applied in occupational therapy clinical practice; they also believed that related education was needed for occupational therapy university/college students and occupational therapists. In response to the question, "What channels do you think MOHO education will be helpful for?", 118 people (32 %) answered "continuing education at the association level," and 86 people (23 %) answered "educational institutions aimed at MOHO." Conclusion : Based on these results, I recommend the following. For application of the MOHO in occupational therapy clinical practice, an occupation-based concept must first be established. In addition, related knowledge must be acquired through the expansion of education regarding the MOHO. The efficient application of the MOHO will ultimately lead to improvement in the health of clients.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