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5.15.08.598

The Study on the Perspective of Design Education Quality for Young Child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Focused on the Design Education for Enlightenment of Creativity in Young Child-  

Seo, Yong-Mo (충남대학교 경영학부)
Ahn, You-Jeong (충남대학교 디자인창의학과)
Lee, Ye-Joong (충남대학교 디자인창의학과)
Oh, Chi-Gyu (충남대학교 디자인창의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a quality properties of design education program for enlightenment of creativity in young child. We studied preschool education professionals for perspective of design education quality properties in young child. So the study contents of our paper are design education for enlightenment of creativity in young child using 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Results of T-test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we understand these facts: necessity for policy or/and financial support, thinking activities for production of ideas in problems or stimulus, delicate and detail attitude for search activities in environments and situations. In IPA, we realized that require the necessity of professional design educators, necessity for policy or/and financial support and change of mind at organizations related education. Our studies means a quality of design education program for enlightenment of creativity in young child. So, we expect our studies provide an useful data at a fields.
Keywords
Design; Creativity; Design Education; Young Child; IPA Analysi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조형숙, 박찬옥, 안해준, 김민정, 김설한, 김지해, 박선영, 안정은, 유아의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영상매체 활용 프로그램, 교육과학기술부, 2010
2 Joseph A. Schumpeter, Capitalism, Socialism, and Democracy, 3rd ed. 1942. New York: Harper and Brothers, 1950.
3 김주호, 창의성과 문화예술교육,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7.
4 D. M. Harrigton, J. Block, and J. H. Block, "Predicting creativity in preadolescence from divergent thinking in early childhoo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43, pp.603-623, 1983.
5 최재영, 최영숙, 민미경, 이정희, "창의성 계발을 위한 유아디자인 교육에 대한 연구", 미술교육논총, 제19권, 제1호, pp.155-176, 2005.
6 박라미, 안준희, "소비자시대 문제 중심 학습을 통한 디자인 교육방안 연구-초등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미술교육논총, 제17권, pp.235-262, 2003.
7 Victor Papanek, Design for the Real World : Human ecology and Social Change, Academy Chicago Publishers, 1985.
8 A. Rothenberg, Creativity and Madnes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0.
9 이정환, 유아교육의 통합적 미술교육과정, 서울: 창지사, 1995.
10 M. Csikszentmihalyi, Creativity :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NewYork: HarperCollins, 1996.
11 이병인, 창조성 개발을 위한 초등학교 디자인교육의 방법론,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초등미술교육전공, 1983.
12 이영표, "주관적 디자인 접근 방법과 이에 따른 디자인 교육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10권, 제1호, pp.65-77, 2004.
13 오치규, "디자인 매니지먼트 교육에서의 창의적 아이디어 발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호, pp.267-274, 2010.   DOI
14 Charles L. Owen, 정보화 사회에 있어서의 디자인 교육, 국제 디자인 세미나, 한국과학기술원 과학기술대학, 1989.
15 윤소영, 초등과정에서 디자인을 기초로 한 교육의 개선안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6 김규수, "창조성 증진을 위한 유아교육의 원리와 과제", 열린유아교육연구, 제4권, 제1호, pp.237-255, 1999.
17 김은경, 아동의 창의력 계발을 위한 기초 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18 이정은, 지각 능력 발달을 위한 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19 유예순, 창의적 표현력 신장을 위한 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20 박은덕, "국내.외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의 비교 분석", 조형연구, 제19권, pp.59-77, 2002.
21 서용모, 이예중, 안유정, 오치규, "유아의 창의성 계발을 위한 디자인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2호, pp.1047-1057, 2014.   DOI
22 오세진, "대학교육에서의 TQM적용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논총, 제8권, 제1호, 1999.
23 E. Saliis, Total Quality Management in Education, Kogan page, 2002.
24 J. R. C. Martilla and J. C. James,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Vol.41, No.1, pp.77-79, 1977.   DOI   ScienceOn
25 W. E. Hammit, D. N. Bixler, and P. Francis, Going beyond to analyze to analyze the observance-influence of park impact, Journal of park and recreation administration, Vol.14, No.1, pp.45-62, 1996.
26 조인석, 김경호, "IPA 기법을 활용한 관광객의 재방문의사에 관한 연구: 전주 한옥마을을 중심으로", 경영교육연구, 제71권, pp.259-278,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