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Mountainous Parks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3초

도시공원 특성에 따른 관리유형의 평가 (An Evaluation on Management Types by Characteristics of Urban Parks)

  • 김효정;강은지;조중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21-30
    • /
    • 2010
  • 본 연구는 최근 공원관리에 대한 새로운 방법론이 요구됨에 따라 공원유형을 재분류하고, 그에 적합한 관리방식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제안된 공원유형은 공원이용자, 이용시설 및 자원, 관리업무의 난이도에 따라 '산지자연형 공원', '생태목적형 공원', '시설집중형 공원'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공무원과 일반시민 등 이용자로 나누어 설문조사를 한 결과, 산지자연형 공원은 주민들이 일상적으로 이용하는 공원으로 전문적인 지식이나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자치구에서 관리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목적형 공원은 전문성이 요구되는 공원으로 전문성을 가진 민간단체를 지정하는 것이 좋으며, 시설집중형 공원은 복합적인 공간으로한 방식보다는 다양하고 복합적인 관리방식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시 남북녹지축 탐방로의 분포와 훼손특성 -산지형 도시자연공원을 사례로- (Trail Deterioration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outh-North Green Corridor in Incheon, Korea - A Case Study of Mountainous Type Urban Natural Parks -)

  • 조우;오강임;배중남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59-368
    • /
    • 2004
  • 본 연구는 최근 자연체험형 여가휴양 공간으로 이용이 커지고 있는 도시자연공원 탐방로의 분포와 훼손특성을 파악하여 향후 자연보전형 탐방로 정비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 자료 제시를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지는 계양공원, 백마공원, 약사공원, 문학공원, 청 량공원이었다. 이들 공원은 인천시 남북녹지축에 위치하여 도시생태계 보전의 핵심지역이 되고 있는 산지형 도시자연공원이며 등반형 탐방이 많이 일어나는 곳이다. 주 탐방 노선수는 계양공원 42개, 백마공원 43개, 약사공원 9개, 문학공원 28개, 청량공원 22개로서 면적에 비해 과도한 탐방로가 있었으며 샛길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연구대상지 탐방로의 평균 나지노폭은 3.5m, 평균 최대침식 깊이는 21.3cm로 나타났고 체계적인 정비가 없을 경우 훼손은 급격히 증가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훼손이 심해 복구가 요구되는 산림환경피해도 등급 5, 6등급의 비율은 19.6∼78.0%에 달했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인천 남북녹지축상의 산지형 도시자연공원 탐방로의 정비와 관리방안을 제안하였다.

생태적 설계지표와 입지특성에 따른 도시공원 생태성 평가 (Assessing the ecological aspects of urban parks based on ecological design indicators and location characteristics)

  • 손희정;김나영;송영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5-50
    • /
    • 2023
  • As urbanization progresses, there is a growing and continuous demand for green spaces that provide ecosystem services. However, increasing the quantity of green spaces within major cities is challenging.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pursue qualitative improvements that consider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existing green spaces. In this study, we focus on local neighborhood parks in Seoul and present the following two questions through an evaluation utilizing ecological design indicators and land use data: 1. Which factor, design or location, has a greater influence on the ecological quality of neighborhood parks in Seoul? 2. Additionally, when evaluating ecological characteristics, is there similarity between assessments based on land-use data and those utilizing ecological design indicators? For this study, we conducted research on 30 neighborhood parks in Seoul and classified them into mountainous types (adjacent to mountains, natural terrain parks) and urban types (independently designed within 300m without existing forests) based on previous studies. Firstly, we conducted evaluations according to park location types. When comparing the evaluation scores of urban types (14 parks) and mountainous types (16 park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with scores of 16.86 and 35.94, respectively. Statistical analysi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rk types. In terms of habitat quality, the average values for urban and mountainous parks were 0.33 and 0.53, respectivel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park types indicating differences in ecological potential according to park location. Secondly, when comparing the results of ecological potential evaluations based on park design and external connectivity, a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habitat quality and total scores according to evaluation indicators.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significant linear relationships between habitat quality and total scores, biodiversity scores, and ecosystem function scores, with high positiv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0.829, 0.861, and 0.802, respectively.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analyzing the ecological aspects of urban parks through the lens of both park location characteristics and design indicators. The analysis result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planning and managing ecologically sound urban parks contingent upon their location. Moreover, the utilization of appropriate ecological design indicators can help alleviate environmental limitations surrounding parks. Integrating these considerations could enhance the ecological quality and ecosystem services of urban green spaces.

국립공원의 구역 변천 및 용도지구 설정을 기반으로 한 해상·해안형 국립공원 관리개선방안에 대한 기초 연구 (A Basic Study on a Plan to Improve the Management of the Maritime or Coastal National Parks Based on the Change of the National Park Zoning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Use-specific Districts)

  • 이희원;염성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33-144
    • /
    • 2020
  • The national parks of South Korea take up an area of 6,726 ㎢, which accounts for 6.7% of the national land. They are national conservation areas with their area made up of 59.1% of land (3,972.6 ㎢) and 40.9% of seawaters (2,753.7 ㎢). And in 2019, the national parks are classified by type into 17 mountainous, 4 maritime or coastal, and 1 historical site. Here, the maritime or coastal nation parks are lately spotlighted as landmarks in maritime tourism. However, the area of the maritime or coastal national parks is continuously dwindling due to conflicts between the residents in the parks and Korea national park service, the continued pressure with respect to the regional tourism development and private investments, and the abolition of parks in relation to allegedly breached private properties. This study identifies the issues with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national parks as caused by the abolition of parks and the reduction of areas, and goes from there to do research with the aim of suggesting an institutionalized improvement plan with a view to more useful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maritime or coastal national parks. As a result, the natural resources in the sea and on land should be surveyed again to establish the standard for use-specific zoning and reorganize the park areas in adjusting the national park areas. Second, the use-specific districts need to be reviewed for their reorganization that meets the designation requirements by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fferent national parks with a view to ensuring reasonable natural conservation in the maritime or coastal national parks. Third, various support facilities for residents such as public path, lodgings, and rentals need to be created to reduce the conflicts between Korea national park service and those who live in the parks.

"국립공원의 개념-훼손-보존" 모형의 환경교육적 접근 (The "National Park Concept-Waste-Conservation" Model for the Environmental Education)

  • 이민부;한주엽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8권1호
    • /
    • pp.151-165
    • /
    • 1995
  • 1. This paper suggests one educational model of National Parks. The model includes main themes such as (1) concepts, (2) waste types, and (3) conservation policies of National Parks for the application at the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classes. 2. The study describes the origin of the national park system and concepts or policies for the conservation of the parks with cases of Japan, Taiwan, Canada, Australia, Swiss, Russia, and International Union for the Conservation of Nature and Natural Resources(IUCN). The main focuses of their concepts or policies are on the (1) public land, (2) conserved, (3) legally protected land, and (4) land for the education of the loving their country. 3. This research classifies wastes of parks as point, linear, areal, and cubic types, and explains wasting actions on each types, focused mainly on the mountainous national parks. 4. The suggested policies for the conserving national parks, in this paper, are (1) core-zoning policy, and (2) management policy within the core zone. 5. Some principles are suggested for the more effective realization of the policies: (1) enforcement, (2) abandonment,(3) restoration, (4) enlargement, (5) limitation, (6) incorporation, (7) monitoring, and (8) education. 6. Finally, the educational values of this model may be derived from concepts of (1) loving national land, (2) conservation of nature, (3) public responsibility for protection, and (4) education materials. Those concepts form the foundation of models for (1) civic education, (2) education of country, and (3) inquiry training.

  • PDF

국립공원 집단시설지구 자연경관관리를 위한 층고규제 합리화 방안 (A Study Identifying Improved Building Height Regulations for Managing Natural Landscape in Collective Facility Districts in and around National Parks)

  • 이관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48-56
    • /
    • 2011
  • 본 연구는 국립공원 내부 혹은 경계에 연접하고 있는 집단시설지구 내의 건축물 층고 규제 기준을 정량화 된 합리적 높이 기준으로 개선하는데 목표를 두고 진행되었다. 전국 국립공원의 집단시설지구 건축물의 높이를 시뮬레이션함으로써 주요 조망점으로부터 건축물 상단을 지나는 조망선이 배후산지의 몇 부 능선까지 도달하는지를 분석하는 과정을 거쳤다. 분석 결과로 내륙의 산악형 국립공원 내부 혹은 경계에 입지하는 시설지구와 배후 산지가 있는 해안형 국립공원내의 시설지구의 경우, 3부 능선 보전을 목표로 하게 될 때 최대 허용 건축물 높이를 8.82m로 산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층수로 환산하면 3~3.5층 정도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건축물 최대 허용 높이를 규정하는 것으로 랏지, 코티지 등을 제외한 호텔 등의 숙박시설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만 해안해상형 중에서 배후 산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별도의 기준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모든 집단시설지구에 동등한 일률적 기준을 적용하게 되면 지역 특성을 고려한 경관관리가 어렵다는 점과 조망점의 위치, 조망점 선정방법의 차이, 조망각도 차이 등의 변수에 따라 기준 적용 편차가 있을 수 있음을 고려하여야 한다. 향후 높이규정과 함께 각 지구별 경관계획에 의해 해당 지구의 자연환경에 적합한 차별화된 경관관리 전략이 필요하다.

가상가치평가법을 이용한 산지형 공원의 경제적 가치 평가 - 인천광역시 계양산을 중심으로 - (Economic Value of Mountainous Urban Park Based on Contingent Valuation Methods - Case of Gyeyangsan in Incheon -)

  • 김미리;이재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1-12
    • /
    • 2022
  • 최근 코로나19로 한곳에 머무르지 않고 이동하며 즐길 수 있는 도심 속 산지형 공원의 가치가 중요해지고 있으나 산지형 공원에 대한 경제적 가치평가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심지에 위치한 산지형 공원인 계양산을 대상으로 이용 및 보존가치를 통한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여 도시민들에게 제공하고 있는 자연자산의 가치를 계량화하고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산지형공원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도모함에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계양산의 경제적 가치 평가 결과, 이용가치는 1인당 2,210원으로 연간 약 44.2억 원, 보존가치는 1가구당 6,182원으로 연간 약 1,293.7억 원으로 나타났으며, 계양산의 총자산가치는 3조 683.9억 원으로 평가되었다. 둘째 이용가치에 대한 지불의사 및 최대지불의사금액 결정요인을 추정한 결과, 연령이 낮을수록, 방문빈도가 낮을수록, 이용 만족도가 높을수록 지불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연자원 보호 관심이 높을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이용가치를 더 높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존가치에 대한 지불의사 및 최대지불의사금액 결정요인을 추정한 결과, 재방문 의사가 높을수록, 자원봉사 참여의사가 높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성별은 여성보다 남성일수록, 거주지는 인천광역시에 거주할수록 지불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원봉사 참여의사가 높을수록 보존가치를 더 높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도심지에 위치한 산지형 공원의 유지관리 정책적 방안을 실무적으로 제시하여 향후 관리방향 설정 시 중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일본의 자연환경보전사조 및 관련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urrent Ideas and Institution of Natural Environmental Conservation in Japan -Policy and Institution of Open Space and Forest -)

  • 김승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6
    • /
    • 1989
  • ^x As mentioned above, I consider the change of role that is related with Japanese thought of Natural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I divide each part of periods into forest, farmland, open space, urban planning, environmental conservation etc. To summary the content of each period of Natural Environmental Conservation thought is as follows. 1) Previous period before formation(before 1919) In the previous period of Meiji, it could be said that the consciousness of the Natural Environmental Conservation was coming to existence. In this, so called, Natural Environmental Conservation, the thought of Forest Preservation was the main current and it was the thought of territorial integrity for the security of resource, the forestry conservancy and flood control in the forestry farmland. Since the age of Meiji, the theory of Natural Conservation appears from the theory of Japanese landscaping and systematic management about public parks was enforced, but the regular theory of Natural Environmental Conservation did not attain full growth. 2) The period of formation(1919~ 1954) In the period of formation, the base of Natural Environmental Conservation had been established. Parks and Open spaces were admitted as a public facilities in each city, and legislations which supported it had been continuously enacted and so on. In this period, the afforestation counter plan was emphasized on the side of territorial integrity. In the mountainous district. tree planting was emphasized to recover the forest which had been destroied by war. 3) The period of development(1955~ 1974) In the period of development, varied policies was institutionalized for the Natural Environmental Conservation. However, all sorts of development policy had performed simultaneously, thus development had complicated relation with preservation. But after 1970's the framework of system of Natural Environmental Conservation improvement was constituted to control the many kinds of development, and the spontaneous campaign of nature preservation by private lead was being taken root. This is the more progressive period. 4) The pried of root(after 1975) After the latter of 1970's, the role of Natural Environmental Conservation began to take root not in the direction of control but inducement, and, getting out of development - oriented policy, aimed at relation between human being and natural environment and the side of amenity of human environment. Besides, the current of Natural Environmental Conservation had been seperately progressed in the cities and forests. Since this period, it was the character that cities and forests began to be unified as 'amenity'space of man.

  • PDF

도시 녹지 공간의 재해 위험도 평가 연구 (A Study on Disaster Risk Assessment in the Urban Open Spaces)

  • 유주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13-27
    • /
    • 2015
  • 본 연구는 도시 내 녹지 공간을 대상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재해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재해유형, 녹지공간 유형에 따른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수해와 풍해, 평지형 공원과 산지형 공원으로 유형화 시키고, 각 유형별 평가항목으로는 자연적 요소 인공적 요소 사회적 요소로 구분하여 평가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해로 인한 재해 위험도 표준화 점수는 평지형 공원의 경우, 아시아 공원이 55.800점으로 서울숲 51.775점보다 높았으며, 산지형 공원의 경우 도곡 공원 58.428점, 배봉산 공원 58.374점의 지수를 보이고 있었다. 풍해로 인한 재해 위험도 표준화 점수를 살펴보면 우선 평지형 공원의 경우, 아시아 공원이 64.763점으로 서울숲 61.054점보다 높았으며, 산지형 공원의 경우, 배봉산 공원이 58.533점으로 도곡 공원 55.459점보다 높은 지수를 나타냈다. 기후변화 재해로 인한 오픈스페이스 위험도 평가의 필요성과 가치를 제기하고, 오픈스페이스만의 재해 위험도 평가모형을 정립하여 위험도 평가를 시도하였으며, 도시 녹지공간의 재해 위험도를 제고하였다.

산지형 도시근린공원의 배수시설 특성 - 서울시 배봉산공원과 오금공원을 사례로 - (A Study on Drainage Facilities in Mountainous Urban Neighborhood Parks - The Cases of Baebongsan Park and Ogeum Park in Seoul -)

  • 이상석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80-92
    • /
    • 2010
  • 본 연구는 서울시에 있는 산지형 도시근린공원을 대상으로 하여 배수시설의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배수현황, 우수유출량, 배수유출량,그리고 배수시설용량을 산출하고, 우수유출량과 배수유출량을 비교분석을 위해 배수유출량계수를 산출하고 배수시설의 설치규모를 분석하고자 배수시설용량계수를 도출하여 배수구역 및 공원별로 비교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배봉산공원의 전체배수면적은 34.13ha로서 배수유형별로는 표면배수구역 15.05ha(44.09%), 개수로배수구역 14.60ha(42.78%), 자연수로배수구역 4.48ha(13.13%)를 차지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표면배수구역이 넓어 자연상태의 표면유출이 많았다. 한편, 오금공원의 전체배수면적은 20.39ha로서 표면배수구역 2.52ha(12.36%), 자연수로배수구역 0.56ha(2.75%), 개수로배수구역 10.14ha(49.73%), 산마루측구배수구역 7.17ha(35.16%)를 차지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인공적인 배수시설구역이 높게 나타났다. 2. 배봉산공원의 총우수유출량은 $7.28m^3/s$로서 배수구역별 우수유출량 평균은 $0.23m^3/s$이며, 각 배수구역은 규모가 크고 길어서 우수유출거리가 크게 나타났다. 한편, 오금공원의 총우수유출량은 $4.37m^3/s$로서 배수구역별 우수유출량 평균은 $0.12m^3/s$으로 배봉산공원에 비해 절반 정도로 나타났으며, 지형의 기복이 뚜렷하지 않고 배수시설이 많아 배수구역이 작게 세분되었다. 3. 배봉산공원에 개수로가 설치된 배수구역의 전체 배수유출량은 $11.58m^3/s$이고, 배수구역별 평균배수유출량은 $0.77m^3/s$, 평균배수유출량계수는 5.26이었다. 한편, 오금공원은 전체 배수유출량은 $15.40m^3/s$이고, 배수구역별 평균배수유출량은 $0.34m^3/s$, 평균 배수유출량계수는 8.87로 나타났다. 배봉산공원은 배수구역별로 개수로의 규모와 경사 등이 커서 상대적으로 평균 배수유출량이 높게 나타났지만, 배수유출량계수는 배수구역별 우수유출량이 적은 오금공원 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4. 배봉산공원의 전체 배수시설용량은 $554.54m^3$로서, 배수시설용량계수는 평균 179.83으로 나타났다. 한편, 오금공원은 전체 배수시설용량은 $717.74m^3$로서, 배수시설용량계수는 평균 339.69로 나타났다. 오금공원이 배수시설용량계수가 훨씬 높게 나타나 상대적으로 오금공원에서 배수유역별로 설치된 배수시설의 총량이 많으며, 집약적으로 설치된 것임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적이고 조방적인 배수체계로 조성된 배봉산공원과 인공적이고 집약적인 배수체계로 조성된 오금공원을 대상으로 하여 배수유출량계수와 배수시설용량계수를 산정하여 비교분석함으로써 산지형 도시공원의 배수시설의 특성을 규명하였으며, 향후 공원의 배수유출량과 배수시설용량을 비교분석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본 결과는 도시공원의 배수시설 계획 및 설계와 우수의 저류 및 생태적 가치를 증진시키는 친환경적인 배수체계를 구축하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도시공원의 배수시설 특성은 지형 및 경사, 식생, 배수유형 등에 영향을 받게 되어 공원에 따라 그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향후 더욱 많은 공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와 공원에서 우수를 저류하고, 생태적 가치를 증진시키는 친환경적인 배수체계 및 방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