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il Deterioration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outh-North Green Corridor in Incheon, Korea - A Case Study of Mountainous Type Urban Natural Parks -

인천시 남북녹지축 탐방로의 분포와 훼손특성 -산지형 도시자연공원을 사례로-

  • 조우 (상지대학교 관광학부) ;
  • 오강임 (인천발전연구원 환경생태연구실) ;
  • 배중남 (상지대학교 관광학부)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stribution and damages of the trails of inquiry of urban natural parks. Those parks were located at south-north green corridor at Incheon being mountainous type of urban natural parks that were core area of urban ecosystem preservation to of urban natural parks that citizens recently made use of them as nature experience type of leisure and recreation place from time to time, and to supply basic material deciding on the ways to improve the trails of nature preservation type. The survey sites included Geyang Park, Baekma Park, Yaksa Park, Munhak Park and Cheongryang Park. The number of main trails was 42 at Geyang Park, 43 at Baekma Park, 9 at Yaksa Park, 28 at Munhak Park, and 22 at Cheongryang Park, and it was excessively more than optimum needed: The number of branch trails of the parks seemed to increase. The bared trail width in average of the roads was 3.5m, while maximum depth in average was 21.3cm. The trails were thought to be deteriorated rapidly without systematic maintenance. The 5th and 6th grade of the impact rating class that required restoration because of serious deterioration occupied 19.6∼78.0%.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suggested ways to improve and manage the trails of inquiry of urban natural parks that were placed at south-north green corridor at Incheon.

본 연구는 최근 자연체험형 여가휴양 공간으로 이용이 커지고 있는 도시자연공원 탐방로의 분포와 훼손특성을 파악하여 향후 자연보전형 탐방로 정비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 자료 제시를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지는 계양공원, 백마공원, 약사공원, 문학공원, 청 량공원이었다. 이들 공원은 인천시 남북녹지축에 위치하여 도시생태계 보전의 핵심지역이 되고 있는 산지형 도시자연공원이며 등반형 탐방이 많이 일어나는 곳이다. 주 탐방 노선수는 계양공원 42개, 백마공원 43개, 약사공원 9개, 문학공원 28개, 청량공원 22개로서 면적에 비해 과도한 탐방로가 있었으며 샛길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연구대상지 탐방로의 평균 나지노폭은 3.5m, 평균 최대침식 깊이는 21.3cm로 나타났고 체계적인 정비가 없을 경우 훼손은 급격히 증가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훼손이 심해 복구가 요구되는 산림환경피해도 등급 5, 6등급의 비율은 19.6∼78.0%에 달했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인천 남북녹지축상의 산지형 도시자연공원 탐방로의 정비와 관리방안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공원관리공단(2001) 국립공원 등산로 훼손 . 세굴유형 분석과 복원 대책에 관한 연구, 161쪽
  2. 권태호, 오구균, 권영선(1988) 치악산국립공원의 둥산로 및 야영장 훼손과 주변토양 및 식생의 변화. 응용생태 연구 2(1): 50-65
  3. 권태호. 오구균. 정남훈(1989) 가야산국립공원의 등산로 및 야영장훼손과 주변환경에 대한 이용영향. 응용생태 연구 3(1): 81-94
  4. 권태호, 오구균. 이준우(1990) 속리산국립공원의 등산로 훼손과 주연부식생에 미치는 영향. 응용생태연구 4(1): 63-68
  5. 권태호. 오구균. 권순덕(1991) 지리산국립공원 등산로 및 야영장 주변 환경훼손에 대한 이용 영향. 응용생태 연구 4(1): 91-103
  6. 권태호. 오구균. 이준우(1993) 소백산국립공원 등산로의 환경훼손에 대한 이용영향. 응용생태연구 6(2): 198-179
  7. 권태호, 오구균, 이준우(1994) 덕유산국립공원 등산로 및 야영장의 환경훼손에 대한 이용영향. 응용생태연구 7(2): 241-251
  8. 권태호. 오구균, 이준우(1995) 주왕산국립공원 등산로의 이용패턴 및 주변환경훼손에 대한 이용영향. 응용생태연구 8(2): 167-176
  9. 권태호, 오구균. 이준우(1996) 오대산국립공원 이용에 따른 등산로 및 주변환경훼손. 환경생태학회지 9(2): 211-220
  10. 권태호, 오구균, 이준우(1997) 설악산 국립공원의 등산로 훼손 및 주연부식생. 환경생태학회지 10(2): 191-204
  11. 권태호, 오구균, 김보현(1998) 설악산국립공원 내설악지 구 등산로의 훼손 및 주연부식생. 환경생태학회지 11(4): 523-534
  12. 권태호. 이준우(2003) 백두대간 등산로 및 주변 환경의 훼손실태 -만복대-복성이재 구간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4): 465-474
  13. 권태호. 이준우. 김동욱(2004) 백두대간 마루금 등산로 의 훼손실태와 관리방향: 남덕유산-소사고개 구간을 대상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2): 175-183
  14. 권태호(2004) 숲탐방 환동에 의한 '숲길' 훼손실태 및 정비 방안. 2004년 자연친화적 숲탐방 문화 정 착을 위 한 심포지움 자료집, 23-53쪽
  15. 오구균, 권태호. 전용준(1987) 북한산국립공원의 등산로 훼손 및 주변식생 변화. 응응생태연구 1(1): 25-45
  16. 오구균. 허순호(1992) 한라산국립공원의 등산로와 주변의 환경훼손. 응용생태연구 6(1): 55-71
  17. 조우(2000) 인천시 공원 ·녹지축의 보전 및 복원방안. 인천발전연구원 연구보고서 2000-09, 96쪽
  18. Cole, D.N.(1983) Assessing and monitoring backcountry trail conditions. USDA Forest Service Research Paper INT-303, 10pp
  19. Frissell(1978) Judging recreation impacts on WiIderness campsites. Joumal of Forestry 73: 481-483
  20. Wenger, K.F.(ed.)(1984) Forestry handbook(snd ed.). John Wiley & Sons, New York, 1,335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