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Vivo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31초

사회복지관의 조직 사명문 분석 (Analysis of Mission Statement of Social Welfare Centers)

  • 권순애;김선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425-432
    • /
    • 2017
  • 전국 사회복지관의 조직 사명문을 분석함으로써 조직의 정체성과 가치에 대해 실제적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조직 사명문에 나타난 사회복지관의 표적성, 방향 및 전략, 이미지에 대해서 분석하기 위해서 전국 385곳의 사회복지관의 조직 사명문을 수집하였다. 분석은 NVivo 1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전체 수집된 단어수는 1,401개였으며, 조직의 표적성에 해당되는 대상 448개(32.0%)의 단어, 문제 51개(3.6%)의 단어, 방향성에 해당되는 단어 118개(8.4%), 전략에 해당되는 단어 545개(38.9%), 이미지에 해당되는 단어 239개(17.1%)였다. 구체적으로 표적성에 해당되는 대상은 지역주민, 지역사회, 공동체가 높게 나타났고, 문제는 지역문제, 빈곤, 소외였다. 전략성에 해당되는 방향성은 복지공동체/마을, 사회복지, 역량강화가 높게 나타났고, 전략은 형성/구축, 나눔/섬김, 개선(발)/발전/향상이었다. 조직사명문에 나타난 이미지는 복지관, 우리, 전문기관, 이웃 순이었다. 이번 사회복지관의 조직 사명문을 분석함으로써 사회복지관은 '지역성'을 기반으로 설립된 기관으로서의 정체성을 명확히 보여주었다. 표적으로 삼은 문제와 대상, 방향성 모두 지역사회와 관련한 단어들의 분포가 단연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사회복지관의 조직사명문의 구성요소 및 특성만을 분석하였는데, 조직 사명문이 조직의 성과와 실제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은 실시하지 못한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보완은 추후 연구에서 발전되기를 제안한다.

중.고등학교 교사들의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인식과 수업 진행 방식에 대한 탐색 (Second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and their Application Methods of Problem-based Learning)

  • 윤회정;우애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621-635
    • /
    • 2010
  •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PBL)을 적용한 수업이 인지적 정의적 영역을 포함한 다양한 측면에서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낸다는 연구 결과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중고등학교에서는 PBL의 적용이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의 PBL에 대한 인식과 PBL 수업 진행 방식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PBL을 효과적으로 학교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을 탐색해 보는 것이다. 중 고등학교 교사 9인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 내용은 전사 후, Nvivo 2.0을 이용하여 범주화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PBL 수업 경험이 있는 교사들은 PBL의 학습 효과, 학생들의 수업 수행 능력과 학생들의 PBL 수업 만족도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다. PBL 수업 경험이 없는 교사들도 PBL이 자기주도학습, 협동학습, 문제 해결능력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문제 개발에 대한 부담, 학생지도에 요구되는 시간, 학생들의 토론 능력 부족, 수업 시간의 부족, 입시 등이 PBL 적용에 부정적으로 작용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PBL 수업 경험이 없는 교사들은 이 외에도 학생들의 수업 수행 능력, PBL의 학습 효과에 대한 불안감을 나타냈다. 이는 PBL 수업 경험이 있는 교사들에게는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PBL 수업 경험에 따라 교사들의 PBL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BL 수업 경험이 있는 교사들의 수업 방식을 통해 PBL을 효과적으로 학교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해보고, 교사들이 인식하는 PBL에 대한 부정적인 요인을 줄이기 위해 필요한 것을 알아보았다.

의료사회복지사를 소진으로부터 보호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Protective Factors for Social Workers in a Medical Setting that Prevent Burnout)

  • 최명민;현진희;전혜성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4호
    • /
    • pp.343-370
    • /
    • 2005
  •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대해 그 유발 요인이나 과정에 집중해온 기존 연구들과 달리 의료사회복지사를 소진으로부터 보호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7년 이상의 실무경력을 가진 의료사회복지사 중 동료들로부터 유능하다고 인정받은 10명의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하고 그 내용을 질적분석 컴퓨터소프트웨어인 Nvivo2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문적 역량', '성취와 보람', '일에 대한 확고한 가치와 신념', '좋은 팀워크', '개인적 자질', '구조적 뒷받침', '가족의 인정과 지원'의 소진보호요인들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그동안 소진연구의 부수적 결과로 다뤄져온 소진보호요인을 총체적으로 제시하는 것으로서, 의료사회복지사들이 다양한 기제를 활용하여 소진의 위험을 감소시키고 소진을 극복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들 소진보호요인은 의료세팅이라는 특수성을 반영하고 있으며, 특히 전문적 역량의 개발 및 관리가 강조된다는 것이 특징적이었다.

  • PDF

언론매체 분석을 통한 대통령경호조직의 효율성 제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ensifying Efficiency of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Organiz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Press Media)

  • 김일곤;안영규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23-32
    • /
    • 2014
  • 이 연구는 대통령경호실이 출범한 1963년 제3공화국부터 박근혜 정부에 이르기까지 대통령경호실에 대한 신문 또는 인터넷 등의 언론매체의 내용을 중심으로 NVivo 10을 활용하여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부적으로는 조직의 활동영역 확장으로 내실을 다지고 외부적으로는 그 동안 일부 특권층에게만 신변보호를 제공하여 이질감을 떨치고 대중으로 다가설 필요가 있다. 둘째, 업무특성과 지위 우월성을 악용한 범죄행위나 이권개입과 관련된 외압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대통령 등의 경호에 관한 법률"제 10조의 직권면직의 사유에 범죄와 관련된 사유 신설이 요구된다. 셋째, 임무수행과 관련하여 업무태만 및 허위사실 보고 등에 대해 "대통령 등의 경호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31조의 "공무원 징계령" 적용과 더불어 대통령경호실이라는 특수성과 중요성에 입각하여 징계 수위를 "공무원 징계령" 보다 엄격히 규정함으로써 정부의 타 조직과의 차별성을 두어 매우 중요한 조직으로 인식시킬 필요가 있다.

초등 예비교사들이 개발한 과학관 활동지의 유형 및 요건, 필요성에 대한 관점 분석 (An Analysis of Types of Science Museum Worksheets developed by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nd Their Perspectives on the Requirements and Necessity)

  • 김동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5권2호
    • /
    • pp.150-165
    • /
    • 2016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ypes of science museum worksheets developed by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nd their perspectives on the requirements and necessity of science museum worksheets. As analysis subjects, this study selected 38 kinds of worksheets and reports developed by 114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ho were in the third year of university of education. In this study, the science museum selected for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to develop worksheets was a national science museum, composed of 'Nature and Discovery Museum', 'Science Technology and Industry Museum' and 'Children's Museum', which was located in a metropolitan city and opened in 2013.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cience museum worksheets developed by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 experience type with hands-on and observation techniques applied was most, and as an approach method, direct manipulation, look-in observation and close observation were most. However, although these science museum worksheets were experience-oriented, many of them were survey-oriented ones that suggested too many questions through various exhibits.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zing requirements of science museum worksheets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thought and described through the word tree of NVivo 10, this study extracted 10 kinds of main themes, out of which the requirement, 'A limited amount of activity should be required',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Third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ecessity of science museum worksheets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thought and described through the word tree of NVivo 10, this study extracted 9 kinds of main themes, out of which the opinion, 'It is required to help students check an exhibit which may be passed by', was most.

관광경찰대 도입에 따른 구성원의 적응단계 구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daptive stages classification of the members by Tourist Police introduction)

  • 조민상;조현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228-8233
    • /
    • 2015
  •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는 서울지방경찰청 관광경찰대를 중심으로 관광경찰대의 도입과 적응단계에 관한 인식을 조사한 것이다. 관광경찰대의 목적, 운영방향, 활동분야의 성격, 근무 환경에 대한 심층 면접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관광경찰대 경찰공무원들의 활동에 대한 인식은 향후 관광경찰대 설치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다. 조사는 서울지방경찰청 관광경찰대 소속 경찰공무원 1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은 질적 연구 분석 프로그램인 NVivo 10.0을 통해 진행되었다. 관광경찰대원들의 업무 경험에서 나타나는 인식을 착수기, 시행착오기, 숙련기, 관망기로 구분하였으며, 각 단계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각 단계는 개인별 근무 기간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으며, 관광경찰대의 정착과 완성도에 대한 견해도 차이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교육정보공유체제 이용 활성화를 위한 교사의 요구 분석 (Analysis of Teachers' Needs for the Active Use of Educational Information Sharing System)

  • 조진숙;오미자;김미량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97-110
    • /
    • 2013
  • 본 연구는 교육정보공유체제의 이용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주 사용자인 교사들의 요구사항을 분석하였다. 교사들이 생각하는 현행 시스템의 문제점과 개선점 및 희망 컨텐츠가 무엇인지에 대한 세 가지 연구과제를 설정하고, 구체적인 의견 수렴을 위해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NVivo 1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현 시스템은 기능적 문제, 자료의 신뢰성 부족 문제, 공유 및 활용을 위한 체제 문제를 갖고 있으며, 교사들은 개인의 상황에 맞는 매우 다양한 자료들을 요구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맞춤형 검색이 가능한 새로운 검색엔진 도입, 컨텐츠 저작 도구 탑재 등의 웹사이트 기능 개선을 제안하였다. 또한 다양한 교사의 요구를 만족하기 위하여 교사가 주도적으로 컨텐츠를 생산 공유 유통할 수 있는 오픈마켓 서비스 체제를 제안하였고, 교사들의 교육정보공유체제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저작권의 문제가 선결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 PDF

프로그래밍 과정에서 나타나는 초보학습자들의 행동 및 사고과정 분석 (Analysis of Programming Processes Through Novices' Thinking Aloud in Computational Literacy Education)

  • 김수환;한선관;김현철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3-21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CL(Computatioanl Literacy) 교육에서 중요한 교육 내용인 프로그래밍 문제해결 과정을 규명하는데 있다. 프로그래밍 초보학습자들의 인지적 사고과정 분석을 통해 프로그래밍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사고 특성을 조망하는 분석틀을 제시하고, 실제 CL 문제해결 과정에서의 초보학습자들의 사고과정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고발성법을 적용하여 프로그래밍 과정에서 나타나는 여러 상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사고 특성을 추출하는 분석코드와 프로그래밍 과정 코드를 이용한 코딩조직를 개발하였고, 프로그래밍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과 이를 해결하는 과정을 Nvivo를 사용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프로그래밍 과정에서 나타나는 사고력의 활용에 대한 분석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프로그래밍 과정에서 나타나는 인지적 사고 특성과 흐름을 이해하는데 기여하며 프로그래밍에서의 사고 과정을 과학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준거를 제시한다.

  • PDF

질적연구방법을 이용한 지역축제의 참여농가 영향모델 - 청원생명축제를 중심으로 - (An Effects Model of Local Festival on the Participating Local Farms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 - Focused on the Cheongwon Organic Life Festival -)

  • 김숙종;엄성준;황성기;이준설;리신호
    • 농촌계획
    • /
    • 제23권1호
    • /
    • pp.11-19
    • /
    • 2017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Cheongwon Organic Life Festival, a rural festival, affects the farmers of the local farms in Cheongju. Based on grounded theory, this study analyzed the objective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program, the Nvivo11 program.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 depth interviews from 13 farmers who participated in the Cheongwon Organic Life Festival, and were also residents of Chungcheungbuk-do. The roles of the local festival expected by farmers, were the sale of local agricultural products, local public relations, regional revitalization, a sense of pride as a farmer, exchange of business ideas for sales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a line of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farmers and consumers. The farmers who participated in the Cheongwon Organic Life Festival insisted that sales should ris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armers who participated in the festival felt socially and psychologically stable while participating. The programs at the Cheongwon Organic Life Festival include a concert, hands on involvement, and agricultural sales, which have a direct influence on both sales and attracting visitors during the local festival. Farmers who participated in the Cheongwon Organic Life Festival ask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festival, including the problems with the admission tickets, parking, arrangement of facilities, festival venue, time, and etc. The suggested improvements for the Cheongwon Organic Life Festival focused on the quality certification system of agricultural products, as well as the organic farming of products, thereby to gain trust from the consumers.

해체된 재혼의 특성에 관한 연구: 재혼모를 대상으로 (A Qualitative Analysis of Dissolution of Remarriage)

  • 김연옥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2호
    • /
    • pp.171-195
    • /
    • 2007
  • 본 연구는 재혼이 초혼보다 취약하며 재혼이혼율이 초혼이혼율보다 더 높음에도 불구하고 재혼해체에 관해서는 알려진 바가 전혀 없는 현실에 착안하여, 재혼이 어떻게, 왜 해체에 이르게 되는가를 이해하고자 재혼 후 이혼한 여성들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시도하였다. 총 7명을 심층 면담한 녹취록을 질적자료 분석프로그램인 Nvivo2로 분석하여 분석의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분석결과 정서적 애착이 결여된 재혼동기, 취약한 부부유대, 계자녀와의 갈등, 시집의 소외 등이 해체된 재혼생활의 특성으로 도출되었는데, 이러한 재혼생활의 특성들이 재혼생활의 안정성을 위협하고 직, 간접으로 재혼의 해체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재혼과 재혼가족에 대한 사회복지 개입의 필요성을 강력히 시사해 주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