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ic Learning Theory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7초

Edwin E. Gordon의 음악학습 이론을 적용한 스즈키 지도법 (Suzuki Methods for the Beginners, Applying Gordon's Music Learning Theory)

  • 이가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372-382
    • /
    • 2018
  • 본 연구는 고든의 음악 학습 이론을 스즈키 바이올린 교육에 통합하여 어린이들을 위한 바이올린 교수 학습모델을 만드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스즈키 교육에 음악 학습 이론의 원리를 적용하는 주된 목적을 학생들의 오디에이션 개발에 두고 있으며, 스즈키 바이올린 교육과 고든의 음악 학습 이론 원리와의 관련성을 토대로, 스즈키 철학과 커리큘럼의 틀 안에서 오디에이션을 어떻게 가르칠 수 있는지 수업예시로 보여 줄 수 있도록 하였다. 이번 연구는 음악 학습 이론을 적용 할 수 있는 방법들 중 한 가지 가능성만을 제시하고 있으며, 스즈키 바이올린 교육에 음악 학습 이론을 체계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제시된 수업 계획의 효과와 강점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스즈키 레퍼토리에서 사용 된 조성 및 리듬 패턴에 대한 보다 완벽한 안내서가 필요하다. 악기를 연주하는 학생들의 오디에이션 능력이 함양된다면, 기계적인 움직임이 아닌, 그들이 듣고, 연주하고, 작곡하는 음악에 대한 이해를 더 깊이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se of Innov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In Music Lessons

  • Potapchuk, Tetiana;Fabryka-Protska, Olga;Gunder, Liubov;Dutchak, Violetta;Osypenko, Yaroslav;Fomin, Kateryna;Shvets, Natalii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12호
    • /
    • pp.300-308
    • /
    • 2021
  • The processes of informatization of the modern educational space are inextricably linked with the active introduction of innovative information technologies, which diversify the forms of education and upbringing. The use of these technologies in education due to their specific properties significantly enhances the clarity of learning, emotional impact on students, helps to deepen interdisciplinary links, intensifies students' work, and improves the organization of educational activities. Innovative information technologies offer new opportunities for the use of text, audio, graphic, and video information in lessons, enriching the methodological possibilities of the lesson. Today, the use of these technologies is becoming an integral part of the study of any subject. Using multimedia presentations, publications, and websites created by students in the learning process, they can develop learning skills. According to researchers, there are many multimedia programs for working with a computer in a music lesson, namely: a music player, a program for singing karaoke, a music constructor, music encyclopedias, and training programs. The introduction of innovative information technologies in the system of music education allows expanding learning opportunities.

Designing an Interdisciplinary Learning Environment for Conservatory Students: Using the Liberal Arts to Expand Education and Better Support Performance Interpretation

  • Auh, Yoonil;Shin, Yeon Sook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0권2호
    • /
    • pp.1-8
    • /
    • 2014
  • This paper discusses designing an interdisciplinary learning environment to promote learning of the liberal arts for advanced music students in order to expand the boundaries of their education experience beyond the technical mastery of their musical instruments. The paper discusses the utilization of salient features of information,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and the use of instructional theory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how individual pieces of music can be connected to knowledge of the context in which they were created to support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in the world and musical composition.

Distance Learning In Ukraine: Problems And Connection With Modern Computer Technologies

  • Skoromnyi, Viktor;Voichenko, Olha;Ostapenko, Liliya;Trynko, Olga;Shportko, Oleksii;Tishkina, Ole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8호
    • /
    • pp.105-110
    • /
    • 2021
  • The article presents the idea that in the conditions of modernization of higher professional education, there is an obvious contradiction between the practical need of higher education for a scientifically grounded theory and methodology of distance learning for students and the lack of the necessary didactic and content-methodological guidelines for its implementation. In theoretical research and applied development, as a rule, the technocratic approach prevails. The emphasis is on the technical capabilities of modern computers and telecommunications. Productively, from a pedagogical point of view, this contradiction can be resolved on the basis of modeling distance learning management for students,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corporate information educational environment in universities,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the methodology of pedagogical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distance learning.

음악활동으로서의 일상생활놀이 - 교육목표 및 방법 (Ordinary Life Plays as Musical Activities - Objectives and Methods)

  • 노주희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2권1호
    • /
    • pp.47-65
    • /
    • 2005
  •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음악수업의 교육적 목표 가운데 중요한 한 가지는 음악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확립하는 것이다. '나는 음악이 참 좋아' 이 생각은 비단 유아뿐만 아니라 연령을 막론하고 효과적인 음악교육을 실행할 수 있게 하는 전제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음악소리를 향하여 귀를 기울이며 마음을 열고 음악과 반응할 수 있도록 만드는 태도가 형성되어 있다면 교육의 과정에서 따르는 어려움과 좌절은 그 만큼 줄어들 것이며 궁극적으로 극복될 수 있기 때문이다. 좋아하는 마음의 힘에 대하여 교육학자들 모두가 주목하고 있으나 좋아하는 마음을 키워주기 위하여 어떠한 노력을 기울여야하는 지 유아기 교육현장의 환경조성에 관련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은 것이 사실이다. 음악학습이론의 주창자 고든 (Edwin E. Gordon)은 유아기에 마련되어야 하는 음악교육환경의 조건은 음악적으로 풍부하여야 한다는 원론을 제시하고 있다. 유아라는 이유로 단순하고 쉬운 음악만을 들려주거나 아동을 위하여 작곡된 동요에 음악세계를 국한하거나 아이들은 잘 듣지 못하므로 음질이 떨어지는 음악을 들어도 무방하다는 생각은 잘못되었다고 분명히 선을 긋는다. 유아들이 최상의 음악을 듣고 자라나야 하며 그것도 상호작용이 왕성하게 일어나는 교육환경이 필요조건이라고 하였다. 음악학습이론의 철학과 방법론의 틀 속에서 유아들의 음악 감수성의 성장을 돕는 '오디'가 교육대상의 긍정적인 음악태도를 형성하는 전략의 하나는 음악을 일상생활 속에서 살아있는 대상으로 느끼게 돕는 것이다. 음악이 자신과 뚝 떨어져있는 객관적 대상이 아니라 이야기를 나누고 자신의 실생활 속에서 즐거움을 주는 친구라는 생각을 하게끔 돕는 것이다. 음악을 좋아하는 힘 속에서 음악을 이해할 수 있는 경험능력 즉 오디에이션 능력이 건강하게 자라날 수 있다고 믿는다. 즐거운 교육현장을 조성하려는 오디의 음악활동, 일상생활 음악놀이가 많은 아이들에게 음악을 따뜻하게 느끼도록 도와주기 바란다. 소리 그 자체는 음악이 아니며 그 소리가 마음속으로 의미 있게 다가올 때 비로소 음악이 된다는 음악학습이론의 철학을 실천하는 노력이 일상생활놀이의 의미이다.

  • PDF

음악의 인지기술과 학습 기술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Music Cognitive Skills and Academic Skills)

  • 정현주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3권1호
    • /
    • pp.63-76
    • /
    • 2006
  • 1980년대 이후 음악과 학습에 관한 많은 연구들은 다양한 학습 기술에 필요한 인지기술의 영역에 대한 음악의 효과성을 계속해서 입증해 오고 있다. 음악과 학습에 관한 많은 연구들은 주로 음악의 인지기술과 학습의 세부적 기술들을 개별적으로 연관 지어 다루고 있으며, 음악이 비음악적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관심을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지 학습기술과 음악적 인지기술과의 상관관계를 설명하고 있는 다양한 이론 및 연구들을 소개하고, 이를 통해 음악이 비음악적 능력 중 학습 기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정리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음악적 능력과 공간 지각력과의 상관관계를 설명하는 두 가지 이론으로서, "신경적 연계성(neural theories)" 이론과 "근접적 전이(near transfer)" 이론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음악적 기술과 공간적 기술을 담당하는 대뇌의 신경망 구조에서 음악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이 어떻게 공간적-시간적 정보처리 과정과 연계되는 지를 설명하였다. 또한 음악이 학습과정에 필요한 주의력, 관찰력, 독립적 사고, 문제해결력, 비판적 사고 등을 강화시킨다고 제안하는 "동기이론"을 소개하였다. 이러한 이론들에 근거하여 음악과 학습기술과의 상관관계를 메타분석한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많은 연구들이 음악기술과 학습기술의 상관관계는 물론 유의미한 인과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이러한 결과들은 음악적 훈련 과정에서 습득되는 음악의 공간적, 시간적 개념이 학습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지지한다. 다양한 학습기술에서도 공간 지각 능력을 주로 사용하는 수학과 읽기에 관한 연구가 많았는데, 특히 수학적 개념 중에서 분수나 집합 개념과 같은 추상적 개념들이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읽기 능력에서는 시간적 개념에 근거한 단어 나열, 문자로 상징된 언어를 해석(decode)하는 기술이 강화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음악과 학습과의 관계를 설명한 많은 연구들은 음악의 지각인지 기술이 다른 학습 분야에 전이된다는 사실을 이론적으로 지지하며, 또한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는 세 가지 가설은 구조화된 음악활동이 학습 현장에 있는 아동들에게 효율적인 치료 교육적 개입이 될 수 있다는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인공지능 기반 작곡 프로그램 현황 및 제언 (Artificial Intelligence Applications to Music Composition)

  • 이성훈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4호
    • /
    • pp.261-266
    • /
    • 2018
  • 본 연구는 인공지능 기반 작곡 프로그램 현황을 살펴보고 실정을 고려한 제언을 제공하고자 한다. 인공지능 기반 작곡 프로그램은 기존의 '전문가 시스템' 방식의 알고리즘을 벗어나 심층신경망 이론의 발전 및 빅데이터 처리 기술 향상과 더불어 눈부신 성장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클래식 음악과, 팝음악을 작곡하는데 있어 인공지능 기반 작곡 프로그램이 학계와 산업계에서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으며, 최근 수년 사이 대중의 평가도 달라지고 있다. 다만 해당 기술 개발과 관련하여 여전한 한계점들이 분명히 존재하는 바, 대중의 인식 문제, 데이터베이스화되지 않은 가치 있는 사료들의 누락, 관련 법규의 미비, 음악적인 부분보다는 기술적 관점에서 해당 산업이 주도되는 점 등을 개선할 필요가 있겠다. 이 같은 점이 보완된다면, 인공지능 기반 기술은 국가 경쟁력 확보와 유지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해낼 것으로 보인다.

Music Key Identification using Chroma Features and Hidden Markov Models

  • Kanyange, Pamela;Sin, Bong-Kee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1502-1508
    • /
    • 2017
  • A musical key is a fundamental concept in Western music theory. It is a collective characterization of pitches and chords that together create a musical perception of the entire piece. It is based on a group of pitches in a scale with which a music is constructed. Each key specifies the set of seven primary chromatic notes that are used out of the twelve possible notes.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that identifies the key of a song using Hidden Markov Models given a sequence of chroma features. Given an input song, a sequence of chroma features are computed. It is then classified into one of the 24 keys using a discrete Hidden Markov Models. The proposed method can help musicians and disc-jockeys in mixing a segment of tracks to create a medley. When tested on 120 songs, the success rate of the music key identification reached around 87.5%.

정신지체장애인의 음악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MMCP 이론을 활용한 웹기반 학습 시스템 설계 (Design of a Web-based Learning System for Enhancing Music Cognition Ability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Using MMCP Theory)

  • 권미경;전우천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43-149
    • /
    • 2010
  • 최근 정신지체아들을 위한 음악교육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으나 그들의 인지적 정의적 결함으로 인해 종래의 일반적인 음악수업 방식만으로는 음악 인지를 발달시키는 학습을 기대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MMCP (Manhattanville Music Curriculum Program)이론에 근거한 정신지체아의 음악인지능력 (음악 동일성, 음악 유목화, 음악 서열화)을 향상시키기 위한 컨텐츠를 설계하였다. MMCP 이론은 음악의 본질을 이해시키며 특징음악 (18~19C의 음악) 만을 취급하는 음악이 아닌 모든 민족의 음악문화를 이해하고 포함하는 보다 포괄적인 음악교육이다. 본 시스템으로 기대할 수 있는 효과로는 첫째, 정신지체장애인의 음악적 인지 발달 뿐 아니라 인지적, 신체적, 사회적, 정서적 발달을 고양시킬 수 있다. 둘째, 정신지체장애인을 위한 개별화 음악교육이 가능하다. 셋째, 능동적이고 상호작용적인 음악교육이 가능하다.

  • PDF

The Essence Of Pedagogical Technologies In Modern Education

  • Korets, Mykola;Popova, Alla;Sinenko, Oksana;Trynko, Olga;Karolop, Olena;Krasovskyi, Serhii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5호
    • /
    • pp.48-51
    • /
    • 2021
  • The article discusses the use of modern technologies in the learning process. It has been determined that the modern period of the development of society is characterized by a strong influence of computer technologies on it, a new education system is being formed, focused on entering the world information and educational space. This process is accompanied by significant changes in the pedagogical theory and practice of the educational process associated with making adjustments to the content of learning technologies, which should be adequate to modern technical capabilities, and contribute to the harmonious entry of a teenager into the information society. Computer technologies are designed to become not an additional "makeweight" in training, but an integral part of a holistic educational process, significantly increasing its effective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