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ic Composition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19초

『성호사설(星湖僿說)』의 형성 배경과 인용서목 분석 (An Analysis on the Foundation Background and Cited References of Miscellaneous Explanations of Seongho (星湖僿說))

  • 손계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11-441
    • /
    • 2016
  • 본 연구는 성호 이익의 대표적인 저술인 "성호사설"에 인용된 문헌 443종을 추출하여 인용문헌의 규모 및 문헌의 성격, 중국본의 비중, 최신본의 비중, 주제별 비중 등을 분석하였다. "성호사설" 인용문헌 443종을 살펴본 결과, 고려 조선본이 전체 23.3%, 중국본이 76.7%를 차지하였고, 중국본의 편찬시기를 살펴본 결과, 송대 이전 편찬본이 70% 이상을 차지한 반면, 명 청대 문헌은 22.7%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용문헌의 주제별 비중을 살펴보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주제영역은 역사서류(歷史書類), 시문집류(詩文集類), 유교경전류(儒敎經典類), 소설필기류(小說筆記類)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성호 이익은 이외에도 잡가류, 유가류, 지리류, 제도규정류, 서화음악류, 자전류, 전기류, 백과사전류 등 다양한 주제에 관심을 가졌던 것으로 조사되었다.

Visual Representation in Glam Style under the Influence of Andy Warhol

  • Kim, Hyun-Soo;Sooyeon Hahn;Yang, Sook-Hi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Culture
    • /
    • 제5권1호
    • /
    • pp.1-13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minate the relations between Pop Art and pop music, which formed a serious coupling loop in an identical cultural background. Also this study intends to set up a position of visualized sexual identity as it Points out the conceptional characteristics of glam, a subculture outside mainstream, which includes the matters of sexual minorities such as homosexuality and bisexuality under the influence of the aesthetic and philosophical composition by Andy Warhol. In conjunction herewith, we explore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glam style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Warhol. The classification and explanation about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glam style under the influence of Warhol are practised by distinguishing as denotative representation and connotative representation. For the denotative representation shown in the glum style, first, the discordant images were put together by bricolage, then adapted into the new dramatic symbol of youth. Second, through a visually androgynous style a subversion of sex for symbols of sexuality and gender was represented. Third, the factitiveness as a weird display and fallacy is shown from boisterous make-up and unisex sかling in theatricality and put-ons, featuring artificiality, assemblage and unnaturality. And the connaotative representation shown in glum inglam style, first, glam style implies its experimental nature which attempts to break down boundaries between masculinity and femininity, homosexuality and heterosex-uality. Second, the bricolage in sequin and other discordant elements have connotative meanings as sensuality and excessiveness. Third, mixing various style as sexual play shows ironic visual images, in accordance with Superior Theory and Discord Theory.

  • PDF

온라인 콘서트의 사용자 경험 연구 -KPOP 온라인 콘서트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ser Experience of Online Concert -Focusing on the case of KPOP Online Concert-)

  • 홍현주;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349-354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19사태로 인하여 국내가요의 콘서트 시장이 온라인 무대로 옮겨지면서, 온라인콘서트의 사용자 경험을 측정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는 K-POP(Korean Pop Music) 온라인 콘서트에 참여한 20-30대 남녀를 대상으로 스티븐 앤더슨(Stephen P. Anderson)이 제안한 감성 인터페이스(Creating Pleasurable Interface)의 6단계 피라미드 구조를 바탕으로 설문조사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자의 성향과 콘서트 콘텐츠 구성, 플랫폼에서 지원하는 기술과 양질 등 단일 요인이 아닌 다양한 요인들이 사용자 경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새로운 기술의 접목은 기술적 완성도가 높을 경우 유희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만, 완성도가 다소 떨어질 경우 부정적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앞으로 온라인 콘서트 발전 방향에 참고가 되길 기대한다.

토니상 오케스트레이션상 수상작으로 살펴보는 편곡의 중요성 : <스위니 토드>, <스프링 어웨이크닝>, <인 더 하이츠>를 중심으로 (The Importance of Arrangement focusing on Tony Awards Winners for Best Orchestration : with , , and )

  • 성찬경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21-131
    • /
    • 2020
  • 뮤지컬에서 편곡에 관한 연구는 극작 및 작곡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외되어온 영역이다. 그러나 편곡의 과정 없이 절대 온전한 뮤지컬 음악이 존재할 수 없듯 편곡가는 극작가나 작곡가만큼 막중한 역할을 맡는 주요 창작가이며, 최종적으로 뮤지컬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한다. 권위 있는 토니상 오케스트레이션상 수상작품 중 <스위니토드>(2006), <스프링 어웨이크닝>(2007), <인 더 하이츠>(2008)의 수록곡을 바탕으로 기악 편곡의 특징을 악기 편성, 악기 배합과 배치, 대선율 삽입으로 나누어 분석함으로써 극작 및 작곡가의 의도에 부합하는 편곡가의 영민한 오케스트레이션 테크닉과 함께 편곡가의 새로운 상상력과 창의력을 발견할 수 있다.

Human Capital as a Development Factor for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 Horban, Yurii;Dolbenko, Tetiana;Yaroshenko, Tetiana;Sokol, Oleksandr;Miatenko, Natalii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12spc호
    • /
    • pp.604-610
    • /
    • 2021
  • Human capital is the defining value of the national economy under market conditions. The manifestation of human capital is realized as an intellectual and creative capital, theoretically grounded and proven. The realization of intellectual capital is realized through the research creativity of scientists and researchers, and creative capital is manifested through artists and thinkers. Accordingly, creativity in market conditions forms a separate source of income and is an essential article in the formation of the GDP of the national economy.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human capital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Research methods: systematization; comparative analysis of individual indicators of advanced countries of the world on the training system; statistical, taking into account macroeconomic indicators to assess the level of national creativity potential; system and logical analysis; method of information synthesis. Research results. The structural and quantitative composition of the factors of intellectual and creative capital formation has been systematized. The article proves that the unique properties of human capital, knowledge, creativity, experience and professional skills are the push factors of creativity development of the national economy and provide the priority development of creative and cultural industry that allows generating the added value on the national scale. The functions of creativity in the sphere of cultural industries are highlighted. It is noted that education and creativity of both intellectual and creative capital are the forming basis. The research of the world's advanced countries on the creativity index has pointed out the Netherlands as the leading country in the quantitative measurement of creativity. The economic development factors of the Netherlands were analyzed from the position of economic creativity, which allowed the formation of a two-factor model providing priority development of creativity in the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DSP를 이용한 가라오케용 고음질 멀티채널 오디오 시스템 (High Quality Multi-Channel Audio System for Karaoke Using DSP)

  • 김태훈;박양수;신경철;박종인;문태정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9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멀티채널 라이브 가라오케의 구현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TI사의 32비트 floating 연산 DSP인 TMS320C6713를 이용하여 6 채널의 MP3 복호화 및 템포/키 변환을 실시간으로 구현하였다. 6채널은 전면 L/R 악기, 후면 L/R 악기, 멜로디, 우퍼로 구성되며, 4 채널로 동작 시에는 후면 L/R 대신 드럼 L/R이 추가될 수 있다. 최종 출력 데이터는 5.1 채널 스피커에 맞춰서 출력된다. 템포 변환을 위하여 SOLA알고리즘을 적용시켰으며 시간영역에서 인터폴레이션(interpolation)과 데시메이션 (decimation)으로 키 변환을 수행하였다. 드럼 악기가 추가될 경우에는 일반악기와 분리하여 키 변환 시에 드럼 채널을 제외시키고, SOLA (Synchronized Overlap and Add) 수행 시에도 SOLA처리 단위인 프레임 사이즈를 다르게 두어 고음질의 템포 변환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실시간 처리를 위하여 최적화를 하였다 6 채널을 이용하여 다양한 채널 구성이 가능하며 본 논문의 멀티채널 오디오 시스템은 고음질의 라이브 반주가 필요한 어느 곳에서나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소설의 영화화를 위한 영상 언어 연구 : <키리시마가 동아리활동 그만둔대>를 중심으로 (Cinematic Language for Novel Adaptations : A Case Study of )

  • 황우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634-66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소설이 성공적으로 영화화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기존의 연구를 통해 소설의 서사구조가 영화라는 매체에 적합한 서사구조로 바뀌어야만 좋은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음은 익히 알려져있다. 그러나 서사구조의 변경은 성공적인 영화화의 필요조건이기는 하지만 충분조건이 되지는 않는다. 제시된 서사구조에 영화다운 표현을 붙여야 비로소 좋은 결과물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미지와 사운드의 구성과 배치를 말하는 영상 언어는 영화적인 표현의 핵심이다. 소설 "내 친구 기리시마 동아리 그만둔대"는 한 챕터 당 한 명의 일인칭 시점으로 고등학교 학생들의 일상을 그려낸 작품이다. 영화 <키리시마가 동아리활동 그만둔대>는 소설의 서사구조를 바꾸어, 전반부는 다양한 인물이 겹쳐보이도록 같은 시간대를 여러 번 반복하여 보여주고, 후반부는 인물들을 학교 옥상으로 모아 하나의 사건을 진행하는 단선적인 구도를 선택하였다. 그리고 이 구조를 표현하기 위해 여러 명을 동시에 표현할 수 있는 가로로 넓은 화면비, 반복되는 사건을 다르게 보여줄 수 있는 구도, 마지막 시퀀스에 힘을 주기 위한 조명과 음악의 대비 등 다양한 영상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

상상력의 연극 이미지의 무대구성작업에 관하여 김아라 연출작업에 나타난 새로운 무대언어 (Theatre of Imagination: Study on New Languages in the Theatre Experiment of Ara Kim)

  • 남상식
    • 한국연극학
    • /
    • 제48호
    • /
    • pp.261-288
    • /
    • 2012
  • This paper attempts to research on the new language in the directing of Ara Kim. She was cranky on working on the stage to experiment with her own style since the 1980s and so opened a new dawn in modern Korean theatre. She leaded the Korean experimental theatre. The background of this experiment is her idea on theatre. And here, we have to look the subject that she setted for the work in Chuksan: Ritual Past, Ritual Present. To her, the theatre has the function of ritual and fest. The theatre suggests universal tragedy given to human as natural life force and has its own agenda to drive people to healing. For it, Ara Kim explores archetypal forms and languages before the fragmentation of genres of art. Her theatre shows the results of experiments in which such languages are recreated with modernized sensibilities. We here, for example by outdoor performance in Chuksan Human Lear, try to interpret the aesthetic principles that body out her ritual theatre. And what we looked at though, is the base of the 'complex-genre-music-theatre', the methode to 'compose' the stage elements and put it all together. The directing of Ara Kim has, in terms of the composition of the stage elements, much of the indisputable artistic value. Her theatre is, so to speak, theatre of image, and it is theatre of imagination that completed by the audience's imagination. Human Lear which has its own characteristic in image fragments, convert the original Lear into a simple tale. It serves as background of the modern ritual that shows the most basic human instincts. We meet in Human Lear a ritual tale with some list of image for the human instincts. The arrangement of image, the montage of scene shows the performance as a kind of artistic space. In Human Lear the space is the natural one. It centers around the arena stage. The objects installed in the space changes it into the laboratory for 'seeing' the happening. The spectators see the performance and at the same time see themselves in the nature laboratory. They see, and equally, they are visible objects. They see the performance and us in the space in which the performance takes place. That is what Ara Kim with her modern ritual really aims. That aim is to this days still in effect. It is a major driver of her experiments to extend the boundary of the theatre. The ritualistic site-specific performance in Akor Wat, Cambodia, A Song of Mandala is the latest great product from her experiments. On the other hand, she continues on her way to experiment with pure stage elements. The 'Station' series(Station of Water, The Station of Sand, The Station of Wind) she recently showed are the non-verbal performance with all the stage elements: movement, sound, body, light, colour, objects and so on.

동서양 각국의 진태양시 보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rrection of True Solar Time in Eastern and Western Countries)

  • 최원호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3호
    • /
    • pp.137-152
    • /
    • 2023
  • 세계는 시간이 흐를수록 글로벌 사회로 나아가고 있기에 외국에서 출생한 사람의 사주를 해석하는 일은 앞으로 점점 늘어날 수밖에 없는 것은 당연한 현실이다. 출생 시간이 달라진다면 명리학 이론에서는 큰 문제가 생긴다. 그러므로 본 연구자는 외국 출생자의 사주 간명을 할 때 출생국가의 현지 표준 시간을 사용하는 것인지 한국시간대로 환산하는 것인가의 문제에 있어서는 태양의 위치가 시각과 날짜를 결정하기 때문에 출생한 현지의 표준 시간을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론을 내렸고 이를 뒷받침할 동서양 각국의 진태양시 보정에 관한 연구를 위해 현재 쓰이고 있는 국가표준시와 실제 경도선에 맞춘 진태양시와의 시간 차이가 예상되는 주요 국가들과 주요 도시들을 엄선하여 결과를 환산해 도출했다. 연구 결과 국가표준시와 진태양시의 시간은 보편적인 생각보다 매우 심한 차이가 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한편, 실제 외국 출생자의 사주 사례를 통하여 정확한 시차가 태어난 날짜와 절입 시각 등에 영향을 끼치는 것 이외에도 서머타임이 사주 구성에 미치는 큰 영향도 알아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외국 출생자의 사주 간명을 위한 동서양 각국의 진태양시 보정에 관한 명리학적 이론의 체계적인 기틀을 다졌다고 생각되며, 이로 인해 외국 출생자의 사주 간명 방법에 대하여 혼란을 줄일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뮤지컬 애니메이션 영화의 혼성적 영상연출 특성 -<겨울왕국, 2013>을 중심으로- (The Characteristics of Hybrid Visual Direction of Musical Animation Film -Focusing on -)

  • 이해라;이현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50-60
    • /
    • 2015
  • 주제가 'Let it go'로 세계적인 열품을 주도한 애니메이션 영화 <겨울왕국 (Frozen), 2013> 은 전미박스 오피스 1위를 넘어 역대 디즈니 애니메이션 중 최고의 흥행을 거두었다. 뮤지컬 애니메이션으로 재창조된 <겨울왕국, 2013>이 세계적인 흥행 효과를 거두는 이유에 대해 뮤지컬 애니메이션의 혼성적 영상연출 기법을 중심으로 분석코자 한다. 이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첫째, 뮤지컬 애니메이션에 대해 문헌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둘째, 뮤지컬의 음악적 특성과 애니메이션의 연출기법을 중심으로 분석기준을 도출하였다. 셋째, 이를 바탕으로 뮤지컬 애니메이션 <겨울왕국, 2013>을 사례로 하여 혼성적 영상연출기법에 대해 분석 및 검증한다. 본 연구를 통해 <겨울왕국, 2013>은 '연기의 과장성', '상황의미 전달', '감성의 극적인 표출' 등의 뮤지컬의 음악적 특성이 애니메이션 캐릭터를 통해 구현되고 있으며, 배경음악과 노래는 뮤지컬적 구성을 통해 '서사적 기능'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애니메이션의 VFX를 통한 눈의 효과가 뮤지컬의 음악적 특성과 함께 장면을 구성하면서 혼성적 영상연출이 구현되었다. 이를 통해, 혼종적 접목을 통한 뮤지컬 애니메이션의 영상 연출적 효과와 영상미학적 특성이 범세계적인 대중적 기호에 부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