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eum by experience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27초

과학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따른 과학관 비교 분석 - 패널전시 설명문을 중심으로 (Science Museum Comparative analysis by Achievement Standards of Science Curriculum - Focused on the Panel Exhibition)

  • 김태형;이창진;신명경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과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92-302
    • /
    • 2005
  • 과학관은 학생들이 학교 과학 수업 이외에 과학을 경험할 수 있는 대표적인 학교밖 과학활동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중학교 지구과학내용체계와 영역별 성취기준을 근거로 과학관 패널전시물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성취수준과 전시의 연계성이 미흡하였고, 지질영역 전시에 편중됨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교육과정을 고려한 전시물이 요구된다. 차후 이 연구의 결과는 과학관의 전시 및 교육의 방향과 개선 방안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 PDF

박물관 전시공간구조와 관람분포의 상관성 검토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patial Configuration and Visitor's Distribution in Museum)

  • 박무호;유태현;임채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68-171
    • /
    • 2005
  • A movement of visitor is a practical means that provides a spatial arrangement of exhibits and validity to that principle. Thus, an exhibition of a museum cannot be completed by an intrinsic value of exhibition itself. Rather, the meaning and value of exhibition can be genuinely evaluated by a visitor's experience and reactions. Therefore, focusing on an correlation between exhibits' spatial configuration and a behavior in a museum, this thesis will establish effective indicators of analysis and their validity in predicting a frequency of visitor's visit depending on the structural form of exhibition space.

  • PDF

이공계 대학생이 참여하는 청소년 교육용 과학관 전시 콘텐츠 개발 (Development of Science Museum Exhibition Contents for Youth Education Developed by Science and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 김승규;한현택;박종래
    • 공학교육연구
    • /
    • 제24권3호
    • /
    • pp.11-20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to experience social contribution through voluntary projects. The method of research is to create and introduce the exhibits and its exhibition commentary of Science Museum for local youth. The exhibition commentary is a project that stimulates student's interests in science and technology by providing scientific knowledge and research information. Producing exhibits is a project that discovers local technologies as well as introduces its history, technology, and scientific principles to young students. Two projects confirmed the positive effects of creating opportunities for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to contribute to society and expanding scientific content, and showed implications for engineering education.

박물관 교육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선을 위한 어포던스 이론 적용 인터페이스 연구 (A study of interface with affordance theory for museum education mobile application improvement)

  • 황윤자;안미리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25-34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박물관 교육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원활한 사용과 행동유도성을 위해 Norman(1998)이 제시한 물리적, 인지적 어포던스로 나눠 어포던스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박물관에 G과학관 교육 모바일 기기 애플리케이션을 선정하여 관찰 및 면담, 생각 소리내어 말하기 프로토콜을 통해 어포던스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하였다. 본 연구는 박물관 교육 모바일 시스템을 사용하는 학습자의 입장에서 어포던스 문제점을 살펴보고 실질적인 개선을 통해 학습자가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정보를 지각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학습자가 낯선 박물관 모바일 환경에서도 학습자가 바로 적절한 행동을 유도하게 될 것이다. 또한 학습자들이 박물관 콘텐츠를 직접 조작하고 상호작용하는 학습 체험을 경험하여 탐구적 활동을 촉발하고 의미 있는 학습과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미술관 블록버스터 전시의 상업주의적 경향 연구 (The Commercialization of Blockbuster Exhibitions in Museums)

  • 황경자
    • 미술이론과 현장
    • /
    • 제2호
    • /
    • pp.191-213
    • /
    • 2004
  • The trend of "Blockbuster Exhibitions" over the past decade has led to the unfortunate reality that museums, losing sight of their role as an Academic organization, are becoming increasingly influenced by the corporate world. In my dissertation entitled "The Commercialization of Blockbuster Exhibitions in Museums," I explore the modern tendency toward Blockbuster exhibitions in art museums and the negative impact of those exhibitions on the art world. Museums of the modern day have expanded their territory from the traditional venue of public education to the hybrid cultural space. This mission, evident in the museum's attempt to satisfy audiences with the offering of diverse activities, has changed the concept of the museum, giving priority to the desire for financial gain. From the viewpoint of this new museology, the museum considers Blockbuster exhibitions as the safest method to increase ticket sales. As a program that openly reveals the commercialism of the museum, I explore the Blockbuster show and its strategies as a means of exposing the influence of the corporate world on art. A key component to the Blockbuster exhibition is the "hype" that is created to attract an audience. This devotion to increased publicity distracts from what should be the goal of public education, as the primary focus leans towards the desire for a large number of visitors. Consequently, this unavoidably standardized exhibition is presented to the public in a manner that deprives the audience of a unique experience. With large crowds and increased ticket prices, it is difficult to form a genuine appreciation of the artwork. In addition to the profit gained by increased ticket prices and the commercial sales of "souvenirs" from the museum gift shop, Blockbuster shows are used as a means to attract the attention of corporate sponsors. As explained in my dissertation, the importance that the museum places on corporate sponsorship as a capital resource is evident, however the degree to which the museum allows itself to he influenced by the desire for capital gain poses a threat to its function as an academic organization. Circumstances in American museum history, in particular, have influenced the transition from academic resource to corporation within museology. In keeping with the nation's tendency towards capitalism, art museums in the United States were initially established and developed by individual capitalists who applied principals of corporate operation to museum management. As a result, in modern days, We witness the influence of enterprise on museum programs, while corporate management may be able to guarantee immediate fiscal benefits, however, it is unable insure the future of the museum. In Slim, my dissertation discusses the mechanism of the commercialized "Blockbuster Exhibition" and the impact that it has on the future of the museum as an industry. This research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consider the role of the museum as an academic institution, particularly in regard to the need to decrease the capitalization of exhibitions and refocus their influence on the art world as an educational resource.

  • PDF

웹 뮤지엄에서 디지털 스토리텔링 유형분석을 위한 평가모형 개발 및 적용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ng Model to Analyze the Type of Digital Storytelling in Web Museums)

  • 김미례;박수진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2호
    • /
    • pp.301-312
    • /
    • 2006
  • IT 기술의 발달과 향상된 PC의 보급은 웹 컨텐츠의 표현 방식과 사용자 경험에 지속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러한 웹 환경은 가상현실 감상이 가능한 웹 뮤지엄을 탄생시켰으며 이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 그러나 웹 뮤지엄 관련 연구는 시각적 표현 방식, 가상현실 구현과 관련한 인터페이스를 위주로 한 사례 분석이 주를 이루고 있다. 본 연구는 사용자 경험을 중심으로 웹 뮤지엄의 기능성을 강조할 수 있는 디지털 스토리텔링에 대해 고찰해 보고 웹 뮤지엄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자체 평가모형의 개발을 시도해 보았다. 본 연구는 웹 뮤지엄의 새로운 디지털 스토리텔링 평가모형 개발과 그 적용을 통해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적용 효용성을 검증해 보고 평가 결과를 통한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유형화를 최종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웹 뮤지엄 제작에 있어 디지털 스토리델링 적용의 가이드라인이 됨과 동시에 제작된 웹 뮤지엄의 사용자 경험 제고를 위한 체크리스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 PDF

관람자 행태에 의한 미술관 전시공간의 특성 연구 - 전시대상과 전시공간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ttribute of an Art Museum Exhibit Space by a Spectator Behavior)

  • 윤재은;김주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81-88
    • /
    • 2006
  • The form and function of modern museum present more a variety of aspects in need of transition of the mature civil society and culture than the past. Considering that an art museum is the space where a multitude of unspecified visitors inspect simultaneously, exhibitions and adequate construction make visitors lead to successively visual contact. Consequently a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at there is correlation between exhibit space and exhibitions and to suggest an alternative plan at exhibition through relationship among exhibitions, exhibit space and spectators' behavior. Two Art galleries (one is a large-sized gallery and the other is a small-sized one) located in Pyung-Chang dong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and suggest the better display for the exhibition. The finding of the study is following. The exhibit space which spectators recognize is assumed diverse forms by an unique characteristics of exhibits and space and an arrangement of exhibitions and the path of flow of spectator who walking ahead have an huge effect on a spectators' behavior. In other words, spectators' watching patterns are affected by display of exhibitions and the path of flow. That is to say, the spectators' behavior and the concentration to watch exhibitions is decided by the exhibit form in the museum, and the quality of watching experience is depended on the spectators' relevant knowledge prior to exhibitions.

실감콘텐츠의 인터랙션 연구 -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실감영상관과 아르떼뮤지엄제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teraction of Immersive Contents Focusing o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mmersive Digital Gallery and Arte Museum Jeju)

  • 안혜령;김치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575-584
    • /
    • 2022
  • 본 연구는 실감콘텐츠에서 다양하게 나타나는 인터랙션 유형을 존 듀이의 경험이론을 통해 도출하고, 도출된 유형이 실제 사례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전달되는지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 실감 영상관'과 '아르떼미술관제주'의 두 사례를 경험이론에서 도출된 인터랙션 유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경험이론을 바탕으로 도출한 인터랙션 유형은 '다중감각'과 '동시체험' 그리고 '감각확장' 이다. 이 유형들이 두 사례에서 공통적으로 하나씩 접목되어 나타나기보다는 연결되어 나타났다. 단방향에서는 '다중감각'에서 '감각확장'으로 이어지고 양방향에서는 '동시체험'에서 '감각확장'으로 연결되었다. 이처럼 기술과 인간이 소통하는 핵심 유형은 한 가지씩만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다중적인 방법으로 인터랙션 순환 고리가 형성되었다. 따라서 실감콘텐츠의 인터랙션 유형은 1:1의 부분적인 전달 방식이 아닌 다방면에서 다양한 감각과 체험이 융합되어 단계적으로 확장된다고 볼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실감콘텐츠에서 인터랙션이 구현되었을 때 유형들은 어떻게 확장되고 관람객들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박물관 전시용 기능성 게임을 위한 가이드라인 연구 (Guidelines for Serious Game Museum Exhibits)

  • 권정민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19-138
    • /
    • 2019
  • 박물관에서의 디지털 전시의 확장에 따라 사용자의 경험 또한 점차로 강조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기존의 박물관 관련 게임 연구는 주로 게임 개발 기술과 사례 소개 등 개발자 중심의 연구가 주를 이루어 왔으며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융합하여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는 노력은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박물관 전시로서의 기능성 게임이 박물관의 목적에 부합하게 디자인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박물관 교육, 공공장소에서의 HCI, 기능성 게임, 유니버설 디자인 등의 분야에서 박물관 게임과 관련된 문헌을 찾아 각 분야 연구를 내용분석하여 코딩한 후 좋은 디자인의 기준을 종합하여 정리하였다. 연구 결과 인지/물리, 개인/사회적 맥락 학습모형에 기초하여 총 16개 항목의 가이드라인이 추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가이드라인은 향후 박물관 내 기능성 게임의 디자인과 전시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중국 스마트(智慧) 박물관에 관한 연구: 둔황 박물관, 고궁 박물관, 중국공예미술대사 박물관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mart(智慧) Museum in China: on the case of Dunhuang Museum, The Palace Museum, China Arts and Crafts Master Museum)

  • 김보경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69-74
    • /
    • 2023
  • 온라인 전시관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智慧) 박물관은 문화 예술을 체험 할 수 있는 예술과 미래 기술의 접목으로 4차 산업혁명의 움직임과 그 맥락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본고는 중국 스마트 박물관에 대해 둔황박물관, 고궁박물관, 중국 공예미술대사 박물관의 적용 사례를 통해 중국이 4차산업의 기술을 어떻게 수용하고 기술을 적용하여 선도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공통적으로 중국 스마트 박물관은 환경데이터 수집 및 통합 디지털 어플리케이션 설립, VR AR을 통해 컬렉션 보전, 서비스, 관리, 전시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었다. 본 연구자는 중국 스마트(智慧) 박물관 사례를 통한 온라인 전시는 운영상의 효용성이 뛰어나고 이미지 복제품 아니라 다른 차원에 존재하는 공간으로 파악하였다. 따라서 온라인 전시는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는 최적의 매체이며, 감상자들은 박물관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박물관 전시실을 구석구석 거닐며 박물관의 모든 콘텐츠와 소통할 수 있다. 스마트 박물관의 온라인 전시를 통해 관람객과 감상자는 보다 적극적인 문화소비자로 전환될 수 있으며 집단 역량을 키울 수 있다.